목차
1. 쥐(子)
2. 소(丑)
3. 호랑이(寅)
4. 토끼(卯)
5. 용(辰)
6. 뱀(巳)
7. 말(午)
8. 양(未)
9. 원숭이(申)
10. 닭(酉)
11. 개(戌)
12. 돼지(亥)
【 참고자료 】
2. 소(丑)
3. 호랑이(寅)
4. 토끼(卯)
5. 용(辰)
6. 뱀(巳)
7. 말(午)
8. 양(未)
9. 원숭이(申)
10. 닭(酉)
11. 개(戌)
12. 돼지(亥)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큼을 나타내는 말이다.
● 내 노랑 병아리만 내라는 격이다.
- 모든 병아리는 노랗기 마련인데 그 중에서 내 노랑 병아리를 내놓으라고 억지를 부리고 무리한 요구를 하며 떼를 쓰는 상황을 말하고 있다.
11. 개(戌)
● 개도 기르면 은혜를 안다.
- 개도 주인에 대한 은혜를 아는데, 하물며 사람이 그 은혜를 모른다면 이는 개만도 못하다는 뜻
● 개도 꼬리를 흔들며 제 잘못을 안다.
- 개도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는 꼬리를 흔들며 주인에게 사죄하는데, 하물며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지 못한다면 이는 개만도 못하다는 뜻.
● 서당 개 삼년에 풍월을 한다.
- 배우지 못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들과 사귀면 유식하게 된다는 뜻.
●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는다.
- 필요한 때는 소중하게 대접하다가도 이용 가치가 없어지면 천대를 한다는 뜻.
● 오뉴월 개 팔자다.
- 여름철 더위에 그늘 밑에서 잠만 자는 개 팔자처럼 놀고 먹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않는다.
- 여름 감기는 개도 앓지 않는데 사람이 앓아서야 되겠느냐는 뜻.
● 밥 먹는 개는 쫓지 않는다.
- 개도 먹을 때는 때리지 않듯이, 아무리 잘못한 사람이라도 먹일 것은 편히 먹이고 처벌하라는 뜻.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범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어린 강아지가 범을 무서워할 리 없듯이, 무식하면 무서운 것을 모른다는 뜻.
●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말 많은 사람 치고 무서운 사람 없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 개꼬리 삼 년 묻어도 황모 안 된다.
- 아무리 겉치장을 해도 본성은 바뀌지 않는다.
12. 돼지(亥)
● 칠푼짜리 돼지 꼬리 같다.
- 돼지가 아무리 크고 좋더라도 그 꼬리는 작고 하찮은 것이니, 즉 어떤 것이 어처구니없게 작고 보잘 것 없음을 두고 이르는 말.
● 돼지가 그려 붙이겠다.
- 진귀한 음식을 자기 혼자 먹으면서 가까운 사람과 나누어 먹지 않음을 뜻한다. 사람의 탐욕스러운 성정을 나타내고 있다.
● 돼지가 기침을 하면 비가 온다.
- 돼지는 미련하지만 기압 변화에는 민감하기 때문에 비가 오려면 기침을 한다는 뜻
● 돼지에게 진주다.
⑴ 당치도 않는 일이라는 뜻,
⑵ 서로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뜻
● 언덕에 자빠진 돼지가 평지에 자빠진 돼지를 나무란다.
- 제 흉은 모르고 남의 흉만 탓한다는 뜻이다.
● 일에는 굼벵이요, 먹는 데는 돼지다.
- 일은 게으르게 느릿느릿 하면서도 먹는 것은 많이 먹는다는 뜻.
【 참고자료 】
아동교육문화연구회(2001)「지혜와 유머가 톡툭 튀는 속담천국」상서각
동흠(2010)「한·중 동물 속담 비교 연구 : ‘개’에 관한 속담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최미영(2006)「한일 양국의 동물속담 비교분석 : 12지 동물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정임(2004)「한국과 영·미 문화권의 동물속담 비교 연구」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John Mark D. Minguillan(2006)「한국과 영미 문화권 동물 속담의 문화언어학적 비교」전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 내 노랑 병아리만 내라는 격이다.
- 모든 병아리는 노랗기 마련인데 그 중에서 내 노랑 병아리를 내놓으라고 억지를 부리고 무리한 요구를 하며 떼를 쓰는 상황을 말하고 있다.
11. 개(戌)
● 개도 기르면 은혜를 안다.
- 개도 주인에 대한 은혜를 아는데, 하물며 사람이 그 은혜를 모른다면 이는 개만도 못하다는 뜻
● 개도 꼬리를 흔들며 제 잘못을 안다.
- 개도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는 꼬리를 흔들며 주인에게 사죄하는데, 하물며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지 못한다면 이는 개만도 못하다는 뜻.
● 서당 개 삼년에 풍월을 한다.
- 배우지 못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들과 사귀면 유식하게 된다는 뜻.
●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는다.
- 필요한 때는 소중하게 대접하다가도 이용 가치가 없어지면 천대를 한다는 뜻.
● 오뉴월 개 팔자다.
- 여름철 더위에 그늘 밑에서 잠만 자는 개 팔자처럼 놀고 먹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않는다.
- 여름 감기는 개도 앓지 않는데 사람이 앓아서야 되겠느냐는 뜻.
● 밥 먹는 개는 쫓지 않는다.
- 개도 먹을 때는 때리지 않듯이, 아무리 잘못한 사람이라도 먹일 것은 편히 먹이고 처벌하라는 뜻.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범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어린 강아지가 범을 무서워할 리 없듯이, 무식하면 무서운 것을 모른다는 뜻.
●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말 많은 사람 치고 무서운 사람 없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
● 개꼬리 삼 년 묻어도 황모 안 된다.
- 아무리 겉치장을 해도 본성은 바뀌지 않는다.
12. 돼지(亥)
● 칠푼짜리 돼지 꼬리 같다.
- 돼지가 아무리 크고 좋더라도 그 꼬리는 작고 하찮은 것이니, 즉 어떤 것이 어처구니없게 작고 보잘 것 없음을 두고 이르는 말.
● 돼지가 그려 붙이겠다.
- 진귀한 음식을 자기 혼자 먹으면서 가까운 사람과 나누어 먹지 않음을 뜻한다. 사람의 탐욕스러운 성정을 나타내고 있다.
● 돼지가 기침을 하면 비가 온다.
- 돼지는 미련하지만 기압 변화에는 민감하기 때문에 비가 오려면 기침을 한다는 뜻
● 돼지에게 진주다.
⑴ 당치도 않는 일이라는 뜻,
⑵ 서로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는 뜻
● 언덕에 자빠진 돼지가 평지에 자빠진 돼지를 나무란다.
- 제 흉은 모르고 남의 흉만 탓한다는 뜻이다.
● 일에는 굼벵이요, 먹는 데는 돼지다.
- 일은 게으르게 느릿느릿 하면서도 먹는 것은 많이 먹는다는 뜻.
【 참고자료 】
아동교육문화연구회(2001)「지혜와 유머가 톡툭 튀는 속담천국」상서각
동흠(2010)「한·중 동물 속담 비교 연구 : ‘개’에 관한 속담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최미영(2006)「한일 양국의 동물속담 비교분석 : 12지 동물을 중심으로」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정임(2004)「한국과 영·미 문화권의 동물속담 비교 연구」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John Mark D. Minguillan(2006)「한국과 영미 문화권 동물 속담의 문화언어학적 비교」전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추천자료
일본의 새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그 사상
여성의 언어 그리고 페미니즘
친구 주제망
아동학대 관련법과 문제점, 개선방안, 윤리적 쟁점과 사례적 접근 보고서
빈곤아동 대책 및 정책분석 보고서(아동복지론)
곡류의수급현황
문화 곤충학 레포트
장애인 수당제도 개선방안
[화폐금융론] 부동산문제와 금융
아동학대 관련법과 문제점, 개선방안, 윤리적 쟁점과 사례적 접근 보고서
아동, 성인, 청소년 정신병리와 관련된 사회적 사례를 제시하고 이병의 원인, 경과, 치료 등...
교사의 덕목
일상에 부딪히는 아동의 인성관련 문제를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사례 3건을 제시하고 그 해결...
넛지(Nudge):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