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새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그 사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일본 <새 역사교과서>
2-1.논란이 되고있는 주요 내용들

3.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4.새로운 역사교과서의 특징

5.역사교과서에서 보여지는 사상
5-1자유주의론
5-2.자유주의 사관의 배경
5-3.자유주의 사관
5-4.자학사관
5-5.내셔널리즘(Nationalism)
5-6.황국 사관
5-7제국주의

6.역사교과서를 왜곡하는 이유
6-1.일본 젊은이들의 역사인식
6-2.현대 일본의 내셔널리즘
6-3.국민 통합원리의 부재
6-4.사회적인 불안

7.「새로운 역사교과서」의 문제점
7-1.역사교과서의 쇄국 정신
7-2객관서잉 없는 역사교과서
7-3보수적인 한국인식

8.맺음말

본문내용

청일전쟁, 러일전쟁, 한국강점, 아시아·태평양전쟁 등을 미화한 반면, 한국은 열강에 복속한 연약하고 비주체적인 나라로 묘사했다. 심지어 한국은 '끊임없이 일본에 들이대어진 흉기'와 같아서 일본의 자위를 위해서는 제거해야 할 대상이라든지, 자신의 힘으로는 근대화를 이룩할 수 없는'잠만 자고 있던 나라'였다는 식의 극단적 말을 늘어놓고 있다. 역사 왜곡의 시정을 요구하는 한국인의 항의를 이들은 일종의 응석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들의 태도는 다음 글을 보면 잘 알 수가 있다.
이번에 한국으로부터 제기된 집요한 수정 요구를 보고 있노라면 한국인은 한ㆍ일간에 "국경"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 같다. 일본인에게는 일본인의 역사가 있다. 한국인에게는 한국의 역사가 있는 것처럼. 우리가 한 번이라도 한국 교과서에 문제를 제기 한 적이 있었나. 각각 독립국이며 주권국가인 이상, 내정 간섭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국가간 문제를 이야기하는 기본 조건이며 예의이다.12)
그들은 피해망상에 사로잡혀 가해자라는 사실을 은폐하고 식민지 지배가 주위 국가를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역사 왜곡의 시정 목소리를 내정 간섭이라 하고 있다. 역사 교과서를 만든 '만드는 모임'의 지나친 내셜널리즘이 제2차 세계대전 또한 패전으로 이어져 일본 자신을 스스로 파멸시켰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한국이 고대이래 일본의 행동에서 언제나 '악마적인 것, 범죄적인 것'을 주시하려고 한다고 비판하면서 도리어 일본은 역사 교과서에 한국을 악의적으로 비교하고 비하하여 일본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생각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요즘 역사를 위시한 일본에서의 한국연구는 그 성과가 적지 않으며, 초중고 교육현장에서도 한국을 알고 다양한 문화에 친숙해지려고 시도하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만드는 모임' 이런 노력들을 물거품으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그들은 한국에 관한 인식을 진전시키지는 못할 망정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12) 니시오 간지,후지오카 노부카즈,「국민의 방심」(知識工作所,2001)p.12.
8.결론
국가든 개인이든 죄를 졌을 경우 진실을 밝히고 진정한 뉘우침과 함께 재발방지를 약속하면 용서받는 게 세상이다. 1970년 빌리브란트 독일 수상이 폴란드의 바르샤바 유태인 위령탑에서 무릎을 꿇고 전세계를 향하여 사죄했을 때 유태인들은"잊지는 않겠다, 그러나 용서는 하겠다"고 말했다. 역사를 통해 부끄러운 상처를 속죄한 독일 국민들은 독일통일과 유럽통합을 이루어냈다. 그런데 일본의 사회는 '만드는 모임'이라는 단체를 출현하게 만들었다. 이 '만드는 모임'은 역사 교과서에 일본의 침략적인 성격을 부인하고, 반성하는 자세 또한 보이지 않고 있다. 역사는 중요하다. 바로 이 과거에 대한 지식은 생활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문제를 수미일관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역사란 인류에 의해 축적된 경험이고, 때때로 지극히 커다란 희생에 의한 쟁취된 경험이며, 시인의 표현에 의하면 "곤란한 실패의 자식"이다. 물론 과거의 정세, 사건,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지식은 오늘날의 문제에 대하여 완전한 회답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역사는 현재의 정세를 더욱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앞날을 규정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때문에 올바른 역사 인식이 필요하다. '만드는 모임'의 역사 왜곡은 역사 교육과 역사관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었다. 이것을 교훈 삼아 우리는 역사관을 더욱 성숙시켜 우리의 미래를 현명하게 잘 개척해 나가길 기대해 보도록 한다.
*참고문헌
1)니시오 간지ㆍ후지오카 노부카즈,「국민의 방심」(知識工作所,2001)
2)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新しい 歷史敎科書」(扶桑社,2001)
3)하종문,「반자학사관과 가학적 내셔널리즘」『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와 내셔널리즘의 동향』(올바른 한일관계 정립을 위한 한국의 역사학 관련 학회 공동 심포지엄,2001.3.19)
4)정재성,「 '새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역사교과서와 한국관련서술의 문제점」『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와 내셔널리즘의 동향』(올바른 한일관계 정립을 위한 한국의 역사학 관련 학회 공동 심포지엄001.3.19
5)E.H.카, 「역사란 무엇인가」(1998,청년사)
6)정일성「황국사관의 실체」(2002,지식산업사)
7)최성규「일본의 역사는 없다」(2000,아세아문화사)
8)이원순, 정재정 편저「일본 역사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2002,동방미디어)
9)소련과학아카데미 N.A.에로페에프「역사란 무엇인가」(1997,창작과 비평)
10)후지나가 다케시「일본에서 본'포스트 모더니즘 역사이론'논쟁」《역사비평》(2002,봄)통권58호
11)김봉식「자유주의 사관에 대한 일고찰」《日本學年報》제9집(2000,8)pp.21~39
12)정진성「일본의 신민족주의 운동:'자유주의 사관'운동을 중심으로」《서울대국제지역연구》(1998,9)pp.1~21
13)이시자카 고이치「일본인의 대한국관」무엇이 달라졌나」《역사비평》(1999,겨울)통권49호
14)이찬희「日本 中學校 現行 歷史敎科書의 韓國關聯 內容 變化分析」『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와 내셔널리즘의 동향』(올바른 한일관계 정립을 위한 한국의 역사학 관련 학회 공동 심포지엄,2001.3.19)
15)고마고메 다케시「가해자의 피해망상」《아시아네트워크》제355호,2001년04월17일
16)「헛소리가 역사가 된다」《한겨레21》제322호,2000년8월17일
17)정재성「일본은 역사왜곡 왜 하는가」한겨레신문,2001년2월20일
18)「'헛소리의 재생산 구조」《한겨레21》제355호,2001년04월17일
19)「'오른쪽으로 가는 일본의 역사인식」《주간한국》2001년04월19일
20)「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홈페이지 : http://www.tsukurukai.com
21)일본 역사교과서 왜곡관련 자료 전시관 홈페이지 : http://www.nanet.go.kr/japan/
22)KBS 일요스페셜「광복절 기획 2001 일본을 보는 2가지 테마 "제 1편 역사교과서 파문"」2001년 8월 11일 방영
23)MBC 특별 다큐멘터리「日本은 어디로 가는가」2001년 8월 15일 방영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7.1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