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자연(nature)을 변화시키는 힘은?
2.자연계에 존재하는 힘의 종류는?
3.자연이 변화(change)하는 방향은?
4.자연의 변화가 멈추는 시점은?
5.자연계에서 평형(equilibrium)이란?
6.열(heat)과 일(work)이란?
7.온도(temperature)와 온도계의 원리는?
8.이상기체와 이상기체 법칙이란?
9.열역학 1법칙이란?
10.열역학 2법칙이란?
11.열역학 3법칙이란?
12.독립변수와 종속변수란?
13.미분(derivative)의 정의와 물리적의미는?
14.적분(integral)의 정의와 물리적의미는?
15.편미분(partial derivative)이란?
16.Enthalpy,entropy 및 free energy 란?
17.온도가 상승하였을때 평형이 이동하는 방향은?
18.드라이아이스란 무엇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은?
19.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은 왜 일어날까?
20.재료금속에서 열역학 지식을 이용하여 무엇을 설명할 수 있을까?
2.자연계에 존재하는 힘의 종류는?
3.자연이 변화(change)하는 방향은?
4.자연의 변화가 멈추는 시점은?
5.자연계에서 평형(equilibrium)이란?
6.열(heat)과 일(work)이란?
7.온도(temperature)와 온도계의 원리는?
8.이상기체와 이상기체 법칙이란?
9.열역학 1법칙이란?
10.열역학 2법칙이란?
11.열역학 3법칙이란?
12.독립변수와 종속변수란?
13.미분(derivative)의 정의와 물리적의미는?
14.적분(integral)의 정의와 물리적의미는?
15.편미분(partial derivative)이란?
16.Enthalpy,entropy 및 free energy 란?
17.온도가 상승하였을때 평형이 이동하는 방향은?
18.드라이아이스란 무엇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은?
19.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은 왜 일어날까?
20.재료금속에서 열역학 지식을 이용하여 무엇을 설명할 수 있을까?
본문내용
는 무한정한 기의 개념은 최근 들어 공간에너지, 자유에너지, 영점에너지, 무한에너지, 청정에너지, 미지에너지 등의 이름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17.온도가 상승하였을때 평형이 이동하는 방향은?
온도를 높여주면 그 열은 당연히 더 세진다. 열을 가하면 가할수록 역반응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활성화 에너지가 큰 흡열 반응 쪽의 속도가 더 크게 빨라진다는 뜻은 그 만큼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열이 더 많이 가해졌기 때문에 역반응으로 진행하는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다..(활성화 에너지 그래프를 그려보면 더 잘 이해할것이다.)Le Chatelier의 원리는 "평형 상태에 있는 한 system에 어떤 stress가 가해지면(농도,온도,압력 등의 변화)그 반응은 그 stress를 피하는 쪽으로 움직인다"는 걸 말한다.
18.드라이아이스란 무엇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은?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압축하여 고체 이산화탄소로 만든 냉각제. 고체탄산이라고도 한다.
이산화탄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기름 등을 분리시킨 다음, 저온에서 가압하여 급격히 팽창시키면 줄-톰슨 효과에 의해서 냉각되어 액체인 이산화탄소가 되고, 그 일부분을 증발시키면 잠열에 의해서 나머지는 눈송이 모양의 드라이아이스가 된다.
시판품은 큰 덩어리로 되어 있는데,이것은 제조한 드라이아이스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가한 다음 가압하여 만든 것이다.
상압(常壓)에서는 액화하지 않고 즉시 승화한다.
승화점 -78.5℃. 0℃의 물 100g에 대하여 171㏄가 녹는다.
식료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냉각시키는 데 쓰일 뿐만 아니라,
탄산나트륨·요소 등의 제조에도 대량으로 사용된다.
또, 청량음료·정당(精糖)·소화제·용접·주물 등에도 사용된다.
드라이아이스의 냉각제로서의 장점은 얼음처럼 녹아서 액체가 되는 일이 없이
바로 기체가 되기 때문에 취급하기가 편리하다는 점이다.
또 액체산소처럼 연소할 위험도 없다.
보통은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하나, 잘게 분쇄하여 알코올·에테르·아세톤 등을 넣어 사용하면 -80℃ 정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할 때는 동상(凍傷)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장갑 등을 끼고 다룬다.
19.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은 왜 일어날까?
서로 불안정한것들끼리 모이면 서로 안정적인것들로 변화하려는 성질이 강해진다.20.재료금속에서 열역학 지식을 이용하여 무엇을 설명할 수 있을까?
재료의 특징과 성질
17.온도가 상승하였을때 평형이 이동하는 방향은?
온도를 높여주면 그 열은 당연히 더 세진다. 열을 가하면 가할수록 역반응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활성화 에너지가 큰 흡열 반응 쪽의 속도가 더 크게 빨라진다는 뜻은 그 만큼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열이 더 많이 가해졌기 때문에 역반응으로 진행하는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다..(활성화 에너지 그래프를 그려보면 더 잘 이해할것이다.)Le Chatelier의 원리는 "평형 상태에 있는 한 system에 어떤 stress가 가해지면(농도,온도,압력 등의 변화)그 반응은 그 stress를 피하는 쪽으로 움직인다"는 걸 말한다.
18.드라이아이스란 무엇이며, 온도상승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은?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압축하여 고체 이산화탄소로 만든 냉각제. 고체탄산이라고도 한다.
이산화탄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기름 등을 분리시킨 다음, 저온에서 가압하여 급격히 팽창시키면 줄-톰슨 효과에 의해서 냉각되어 액체인 이산화탄소가 되고, 그 일부분을 증발시키면 잠열에 의해서 나머지는 눈송이 모양의 드라이아이스가 된다.
시판품은 큰 덩어리로 되어 있는데,이것은 제조한 드라이아이스에 액체 이산화탄소를 가한 다음 가압하여 만든 것이다.
상압(常壓)에서는 액화하지 않고 즉시 승화한다.
승화점 -78.5℃. 0℃의 물 100g에 대하여 171㏄가 녹는다.
식료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냉각시키는 데 쓰일 뿐만 아니라,
탄산나트륨·요소 등의 제조에도 대량으로 사용된다.
또, 청량음료·정당(精糖)·소화제·용접·주물 등에도 사용된다.
드라이아이스의 냉각제로서의 장점은 얼음처럼 녹아서 액체가 되는 일이 없이
바로 기체가 되기 때문에 취급하기가 편리하다는 점이다.
또 액체산소처럼 연소할 위험도 없다.
보통은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하나, 잘게 분쇄하여 알코올·에테르·아세톤 등을 넣어 사용하면 -80℃ 정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할 때는 동상(凍傷)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장갑 등을 끼고 다룬다.
19.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은 왜 일어날까?
서로 불안정한것들끼리 모이면 서로 안정적인것들로 변화하려는 성질이 강해진다.20.재료금속에서 열역학 지식을 이용하여 무엇을 설명할 수 있을까?
재료의 특징과 성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