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Objective
2. Theoretical background
(1) 산화 환원 적정 (Redox titration)
(2) 과망간산 칼륨 (KMnO4)
(3) Factor
(4)아스피레이터(Aspirator)
(5)Filter flask
(6) Funnel
3.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Preparation
(3)Standardization
4. Result
(1) End-point(실험값
(2)End-point(이론값)
(3)Factor
5. Discussion
6. References
2. Theoretical background
(1) 산화 환원 적정 (Redox titration)
(2) 과망간산 칼륨 (KMnO4)
(3) Factor
(4)아스피레이터(Aspirator)
(5)Filter flask
(6) Funnel
3. Materials & Method
(1) Materials
(2) Preparation
(3)Standardization
4. Result
(1) End-point(실험값
(2)End-point(이론값)
(3)Factor
5. Discus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
ink 색깔이 약 30초정도 지속될 때 이다.
⑧몇방울 더 떨어뜨려 당량점이 지난 것을 확인한다.
4. Result
(1) End-point(실험값) : 17.9ml
(2)End-point(이론값)
MnO4 : H2C2O4 = 2 : 5 = MnO4의 moles : H2C2O4의 moles
2 : 5 = 0.02F × X × 0.12g/(134g/mol)
X= 17.9ml
(3)Factor
2 : 5 = 0.02M × XL : 0.12g / 134g/mol
X= 17.91ml
F= 17.9 / 17.91 = 0.9994
5. Discussion
이번 Redox titration의 실험에서는 결과적으로 보면 비교적 실험을 오차를 줄여 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 실험한 결과 역가 1이나와야 하지만, 여러실험 단계중에 약간의 오차로 인해, 실험 결과의 역가가 0.9994가 나왔다. 이런 오차가 생긴 이유를 고찰해 보면 실험실 여건상 0.125g의 무게를 재야했던 sodium oxalate를 0.12g을 재었다. 이번 실험을 하기위해서는 갈색의 buret으로 적정을 해야 눈금을 읽는데 오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지만, 투명한 buret을 사용하여 눈금을 읽는 데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을 수 있었다. 그리고 색깔변화가 이루어져 end-point를 찾아 바로 stoc-cock를 잠구는 단계에서도 빠르고 정확히 catch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적정 과정에서 온도를 높히면서 stirring하는데 stirrer가 잘 돌지 못해서 약간의 solution이 실험실 책상에 튀는 경우도 있었다. 적정하기 위해서 준비해야될 기구나 단계는 여러번의 titration 실험을 통해 익숙해 질 수 있었던거 같다. 하지만 매실험마다 analyte 와 titrant 가 바뀌어서 실험을 하고 그것들을 만드는 방법을 잘 숙지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처음으로 사용했던 sintered-glass fiter와 aspirator, sealing film 들의 사용용도와 정확한 설치 방법들도 다시 한번 실험했던 것을 생각하면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 해야하겠다.
6. References
①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 Daniel C. Harris
② 네이버 지식 검색(Titration, Formal cocentration (F) )
③ http://chem.ct.or.kr( Mohr titration)
⑧몇방울 더 떨어뜨려 당량점이 지난 것을 확인한다.
4. Result
(1) End-point(실험값) : 17.9ml
(2)End-point(이론값)
MnO4 : H2C2O4 = 2 : 5 = MnO4의 moles : H2C2O4의 moles
2 : 5 = 0.02F × X × 0.12g/(134g/mol)
X= 17.9ml
(3)Factor
2 : 5 = 0.02M × XL : 0.12g / 134g/mol
X= 17.91ml
F= 17.9 / 17.91 = 0.9994
5. Discussion
이번 Redox titration의 실험에서는 결과적으로 보면 비교적 실험을 오차를 줄여 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 실험한 결과 역가 1이나와야 하지만, 여러실험 단계중에 약간의 오차로 인해, 실험 결과의 역가가 0.9994가 나왔다. 이런 오차가 생긴 이유를 고찰해 보면 실험실 여건상 0.125g의 무게를 재야했던 sodium oxalate를 0.12g을 재었다. 이번 실험을 하기위해서는 갈색의 buret으로 적정을 해야 눈금을 읽는데 오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지만, 투명한 buret을 사용하여 눈금을 읽는 데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을 수 있었다. 그리고 색깔변화가 이루어져 end-point를 찾아 바로 stoc-cock를 잠구는 단계에서도 빠르고 정확히 catch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적정 과정에서 온도를 높히면서 stirring하는데 stirrer가 잘 돌지 못해서 약간의 solution이 실험실 책상에 튀는 경우도 있었다. 적정하기 위해서 준비해야될 기구나 단계는 여러번의 titration 실험을 통해 익숙해 질 수 있었던거 같다. 하지만 매실험마다 analyte 와 titrant 가 바뀌어서 실험을 하고 그것들을 만드는 방법을 잘 숙지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처음으로 사용했던 sintered-glass fiter와 aspirator, sealing film 들의 사용용도와 정확한 설치 방법들도 다시 한번 실험했던 것을 생각하면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 해야하겠다.
6. References
①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 Daniel C. Harris
② 네이버 지식 검색(Titration, Formal cocentration (F) )
③ http://chem.ct.or.kr( Mohr titration)
추천자료
`직렬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생물학실험]발효(생물학실험보고서)
고체의 열팽창 실험 실험보고서
녹는점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화학 실험)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실험보고서 (대학화학 실험)
전자공학실험 LC발진기(하틀리,콜피츠) 실험보고서
[생물학 실험보고서] 수용성세포 (Competent cell) 준비실험
실험2-3_자기력 측정(전류천칭)실험보고서
[일반물리실험 2 실험보고서] 등전위선 측정
물리실험 - 구면의 곡률반지름 측정 실험보고서 ( 곡률반지름, 구면계 )
[기초회로실험] floyd-옴의 법칙 실험보고서
[정역학 실험] 포사체 운동 실험보고서
[화학실험] 비중측정 실험보고서 (specific gravity test)
영양학실험_GOT, GPT (간독성) 측정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