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전과 환경의 영향
2.유전율추정치
3.유전 환경과 상호작용
4.가정환경과 성격형성
2.유전율추정치
3.유전 환경과 상호작용
4.가정환경과 성격형성
본문내용
개인차가 유전적 차이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폭력적이거나 학대하거나 자녀를 돌보지 않는 가정들을 제외한 평균기대환경의 범위 안에서는 가정환경의 차이가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Scarr는 인간이라는 컴퓨터가 다양한 모듈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하는 견해를 따라 아이들이 적응된 상태로 태어난다고 전제하고 있다. 아이들은 다양한 환경들에 적응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범위 안에만 든다면 평범한 부모나 탁월한 부모나 똑같이 효과적이고, ‘충분히 좋으면 된다’라고 주장한다.
Scarr 의 의견은 많은 반대에 부딪쳤다. Baumrind 는 ‘오늘날 청소년들은 정상 환경에서도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지 않다’ 고 주장한다. 그러나 Scarr는 정상적인 부모들이란 “성인기까지 살아남아 번식하고 자녀를 성숙과 번식에 이르기까지 키우며, 일하고 사랑한다(Freud)” 라고 말하고 있다.
자녀를 학대하지 않고 먹이고 입히고 학교 보내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해서 좋은 부모와 나쁜 부모가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좋은 부모를 만나느냐 못 만나느냐는 자녀하기 나름이다.
●환경의 창조와 선택
Scarr 는 환경효과가 있다 해도 그것이 유전적 유사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유전환경 상관이 있고, 정상적 환경에서 아이들은 앞에서 논의한 방식들로 경험 세계를 창조하므로 유전적 유사성만큼 환경유사성도 생긴다는 것이다.
즉 유전의 영향이 환경의 영향을 앞선다는 것으로 아이가 자신의 환경을 구성, 창조하는데 유전적으로 비슷한 다른 아이도 그 유전의 영향으로 비슷한 환경을 구성, 창조하여 그 유사성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Baumrind 는 아이가 자신을 구성, 창조한다는 Scarr의 주장에도 의문을 갖는다.
부모자녀 관계에서 상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력이 비균형적이기 때문이다.
즉, 보통 부모의 권력이 아이들의 권력에 월등히 높은 것이 사실이다. 공부하기 싫다는 생각을 가졌을 때 아이가 더 위주가 되어 공부를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그런 상황을 이끌어 낼 수는 없다. 보통 부모의 권위 하에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게 공부이니까.
(참고문헌)
- 아동발달, 박성연도현심 공저, 동문사, 1999.
- 발달 심리학, 최경숙, 교문사, 2000.
- 유전자와 인간의 운명, R. 그랜트 스틴 지음, 전파과학사, 2000
- 기타 인터넷 자료
생물학적 접근
-행동 유전학-
폭력적이거나 학대하거나 자녀를 돌보지 않는 가정들을 제외한 평균기대환경의 범위 안에서는 가정환경의 차이가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Scarr는 인간이라는 컴퓨터가 다양한 모듈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하는 견해를 따라 아이들이 적응된 상태로 태어난다고 전제하고 있다. 아이들은 다양한 환경들에 적응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범위 안에만 든다면 평범한 부모나 탁월한 부모나 똑같이 효과적이고, ‘충분히 좋으면 된다’라고 주장한다.
Scarr 의 의견은 많은 반대에 부딪쳤다. Baumrind 는 ‘오늘날 청소년들은 정상 환경에서도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지 않다’ 고 주장한다. 그러나 Scarr는 정상적인 부모들이란 “성인기까지 살아남아 번식하고 자녀를 성숙과 번식에 이르기까지 키우며, 일하고 사랑한다(Freud)” 라고 말하고 있다.
자녀를 학대하지 않고 먹이고 입히고 학교 보내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해서 좋은 부모와 나쁜 부모가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 좋은 부모를 만나느냐 못 만나느냐는 자녀하기 나름이다.
●환경의 창조와 선택
Scarr 는 환경효과가 있다 해도 그것이 유전적 유사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유전환경 상관이 있고, 정상적 환경에서 아이들은 앞에서 논의한 방식들로 경험 세계를 창조하므로 유전적 유사성만큼 환경유사성도 생긴다는 것이다.
즉 유전의 영향이 환경의 영향을 앞선다는 것으로 아이가 자신의 환경을 구성, 창조하는데 유전적으로 비슷한 다른 아이도 그 유전의 영향으로 비슷한 환경을 구성, 창조하여 그 유사성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Baumrind 는 아이가 자신을 구성, 창조한다는 Scarr의 주장에도 의문을 갖는다.
부모자녀 관계에서 상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력이 비균형적이기 때문이다.
즉, 보통 부모의 권력이 아이들의 권력에 월등히 높은 것이 사실이다. 공부하기 싫다는 생각을 가졌을 때 아이가 더 위주가 되어 공부를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그런 상황을 이끌어 낼 수는 없다. 보통 부모의 권위 하에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게 공부이니까.
(참고문헌)
- 아동발달, 박성연도현심 공저, 동문사, 1999.
- 발달 심리학, 최경숙, 교문사, 2000.
- 유전자와 인간의 운명, R. 그랜트 스틴 지음, 전파과학사, 2000
- 기타 인터넷 자료
생물학적 접근
-행동 유전학-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 가족
학습자의 이해
아동발달 수업내용정리
일란성과 이란성 쌍생아
다운증후군의 모든것
apa 형식 논문 계획서 / 양육자의 특징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발달
유아교육의 중요성(발달적측면과 사회적측면)으로 설명(A4-3매), 보육의 기본원칙을 6가지영...
청소년문제를 보는 이론적 관점(청소년문제의 심리학적 원인, 사회구조적 원인론, 사회통제 ...
유아교육의 중요성(발달적측면과 사회적측면)으로 설명(A4-3매), 보육의 기본원칙을 6가지영...
전태련 정리-10-교육심리
소년범죄원인대책레포트
교육심리학의 영역과 연구방법
성숙이론과 학습이론의 인간관 및 교육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성숙이론과 학습이론의 차이점을...
영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