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KTX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KTX의 소개

2. KTX의 역사

3. 환경분석

4. 마케팅 목표
4-1. Our Vision

5. SWOT분석

6. 시장세분화

7. 포지셔닝

8. 7P's

본문내용

매시점에서 더욱 명확히 하여 구매 동기를 쉽게 유발시켜 구매 결정을 내리게 한다. 또한, 판매 촉진의 방법도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고 거래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활동으로 효과적인데, 캠페인, 전단광고, 쿠폰, 시식권, 간판, 깃발, 풍선, 캐릭터 인형, 유명인 내점의 홍보 등 방법은 다양하다.
패키지 상품
- 현재까지 고속열차와 지역 도시 관광을 패키지로 한 상품이 없다. 그래서 왕복 열차표와 1박 호텔숙식과 렌트카를 포함한 상품이다. 각 지역 도시의 대표 호텔과 연계하여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렌트카도 할인폭을 확대하여 이 모든 것을 한꺼번에 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EX)서울-부산 간 고속열차 + 웨스턴조선호텔(부산)1박 + 렌트카(EF소나타)
45,000원 180,000원 80,000원 = 305,000원
→페키지 상품으로 이용시 렌트카 무료
철도상품권
- 도서상품권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며, 일반 상품권과 같이 직접 표를 사는 것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입이 가능하다. 부모님에게 선물로도 가능하고 친구나 친지에게 준다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승차권 구입 또는 관련 페키지 상품 구입 가능한 철도 상품권 판매로 KTX 이용 촉진
광고 전략
- 개통 이전에는 TV에서 대대적으로 고속열차에 대한 소개와 할인 서비스에 대한 방송이 많았지만, 현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TV용 광고를 제작하는데 이미지 광고와 제품광고를 한다. 먼저 이미지 광고는 대한항공의 광고와 유사하게 제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KTX의 깨끗한 이미지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다는 이미지를 준다. 두 번째 제품 광고의 경우 관광패키지를 이용하는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빠른 고속열차를 이용하여 일찍 목적지에 도착하고 렌트카를 이용하여 가고 싶은 곳 어디든 가고 저녁에 아늑한 호텔을 이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일단 상품에 대한 홍보에 주안점을 둔다.
⑤Personnel(Participant, People : 참가자)
합리적인 인사관리와 교육을 통한 서비스 질의 확보와 고객 만족을 추구하는 마케팅 믹스의 요소로, 서비스 산업은 궁극적으로 서비스 활동에 참여하는 판매원인 매주 종업원이 중요하다는 반증이다. 여기서는 종업원을 최초의 고객으로 보고 그들에게 서비스 마인드나 고객지향적 사고를 심어주며,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러한 내부 고객인 종업원이 중요한 이유는 그들 자체가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고객의 눈에 비치는 조직 그 자체를 나타내며, 서비스 기업의 마케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 현재 KTX의 도우미로 일하고 있는 직원들이 있으나 직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계약직에 있다. 그들 역시 KTX를 이용해 봤으며 이용하게 될 고객이기에 그들이 알게 되고 보게 되는 문제점을 다른 누구보다 먼저 수렴하고 이들의 노력에 맞는 보상을 줌으로써 직원으로서의 책임의식과 고객으로서의 불만해소를 동시에 실현시켜 주도록 노력한다. 또한 여성승무원의 경우에는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서비스 교육을 통해서 기존열차와 차별화 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런 교육이 경쟁관계에 있는 항공사의 승무원과 비교하여서도 서비스 면에서 질적개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⑥Physical Facility(시설, 환경)
점포의 시설 이미지를 통해 고객에게 만족을 추구하는 마케팅 믹스의 요소로 Physical Evidence(서비스의 물리적 증거) 라고 하기도 한다. 즉, 서비스의 물리적 증거는 서비스가 전달되어지고, 서비스 기업과 고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에는 외부환경과 내부환경이 있는데, 먼저 외부환경은 신규고객 확보에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는데, 시설의 외형, 간판 등의 안내표지판, 주차장, 주변환경 등이 이러한 예에 속한다. 다음으로, 내부환경은 내부장식과 표지판, 벽 색상, 가구, 시설물, 공기의 질/온도, 향기 등이 해당된다. 한편, 기타 서비스의 물리적 증거로서 유형적 요소는 종업원 유니폼, 광고 팜플렛, 메모지, 입장티켓, 영수증이 있다. 서비스에서 물리적 증거가 중요한 이유는 무형적인 서비스 상품이 어떤가를 고객이 결정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형적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즉, 고객은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것에 의해 서비스를 평가하고 만족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현재 동대구역을 비롯한 서울역, 부산역, 대전역 등등 대다수의 역들이 보수되고 신설되었다. KTX의 외부환경으로서 역의 시설은 더 이상 개선될 것은 없다고 보고, 현재 KTX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제기하는 실내 밝기 및 거울 같은 천장 등에 대해 신속하게 개선하려고 하고 있다.
⑦Process Management(작업진행관리)
지속적인 고객 서비스의 원할한 흐름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을 통해 고객에게 만족을 주는 마케팅 믹스의 요소이다. 즉, 이것은 서비스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것으로, 서비스가 전달되어지는 절차나 메커니즘 또는 활동들의 흐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일련의 과정(process)이며 흐름(flow)의 형태로 전달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서비스 프로세스의 단계와 서비스 제공자의 처리 능력은 고객의 눈에 가시적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서비스 생산 프로세스를 설계할 때에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고객이 느끼는 점들에 대해 특별하게 주의해야 하고, 반드시 고객의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 지금 열차예매 방식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왕복열차 예매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왕복열차 예매가 가능했으나 시스템의 오류로 인해 예고도 없이 갑작스럽게 예매가 중단되어 고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 역시 열차예매에 불편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로서 개선해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판플렛의 경우에 있어서도 고객과의 실질적인 접촉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열차 내 비치와 더불어 승무원이 직접 전달하거나 차내 방송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접촉을 장려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3.2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