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2. 태아의 동맥 계통
3. 태아의 정맥 계통
4. 태아의 혈액순환
5. 출생 시 혈관 계통의 변화
■ 본론
1. 태아 혈관 계통의 특징
2. 태아의 동맥 계통
3. 태아의 정맥 계통
4. 태아의 혈액순환
5. 출생 시 혈관 계통의 변화
본문내용
곧 수축을 시작하여 그 속 공간이 점차 막히며, 결국 완전히 막힌 동맥관삭이 되어 좌 허파동맥과 대동맥궁을 잇는다. 방광 양 옆에서 배꼽까지 연결되는 속장골동맥의 부분은 출생 후 2일에서 5일 사이에 막혀 섬유줄로 남게 되고 그 위를 복막이 덮고 있으며 배꼽동맥인대라 하며 이것은 앞배벽 속면에 복막주름을 만든다.
배꼽정맥과 정맥관은 탯줄을 자른 후에는 더 이상 혈액이 통하지 않고 막힌다. 해부학, 대한해부학협회, 고려의학, 1999, p520
따라서 배꼽정맥은 간원삭으로, 정맥관은 간의 정맥관삭으로 바뀐다. 경우에 따라서 정맥관이 간 쪽으로 절반정도 계속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간의 정맥가지를 받을 수 있어 성인에서는 간정맥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해부학, 대한해부학협회, 고려의학, 1999, p520
배꼽정맥과 정맥관은 탯줄을 자른 후에는 더 이상 혈액이 통하지 않고 막힌다. 해부학, 대한해부학협회, 고려의학, 1999, p520
따라서 배꼽정맥은 간원삭으로, 정맥관은 간의 정맥관삭으로 바뀐다. 경우에 따라서 정맥관이 간 쪽으로 절반정도 계속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간의 정맥가지를 받을 수 있어 성인에서는 간정맥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해부학, 대한해부학협회, 고려의학, 1999, p5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