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방언, 토속적 이야기의 기표
Ⅲ. 이미지 중첩기법(Super-Pository image technique)
Ⅳ. 시각이미지의 계기적 연결기법
Ⅴ.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기법
Ⅵ. 맺음말
Ⅱ. 방언, 토속적 이야기의 기표
Ⅲ. 이미지 중첩기법(Super-Pository image technique)
Ⅳ. 시각이미지의 계기적 연결기법
Ⅴ.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기법
Ⅵ. 맺음말
본문내용
디스코스들은, 특히 초기텍스트들의 경우는 의미나 테마의 구체적 제시가 거의 없다. 그저 장면 보여주기 형태, 모습 보여주기와 삶의 고통, 슬픔, 等의 디테일한 내용 말하기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이같은 구성법에 의한 반복되는 상동적 디스코스들을 그냥 들려줄 뿐이다. 그리고 행동들을 보여줄 뿐이다. 그러므로 이는 현대극을 보는듯, 무언극을 보는 듯 하다.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에서 보여주는 반복되는 말없는 동일 계열체의 동작 그리고 동일한 디스코스, "아 참 고도를 기다려야지"를 보고 듣는 것같다. 이는 무한대의 의미를 생산하게 하는 현대성을 가지게 하고 닫힌 텍스트기 때문에 더욱 열린 텍스트이게 한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이 앓고 있는 끔찍한 병, 산다는 고통
) Julia Kristev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 by Margaret Waller, Leons, Roud ez,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P.230.
이 멀리 쫓겨난 현대적 텍스트가 되도록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같은 구성법은 언어가 말하게 하고 화자가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초현실주의적 기법으로 구성된 텍스트의 부분에 사용된 씨니피앙들은 화자가 가진 의식의 깊은 내면까지도 보여주기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몽환적 세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은 白石 詩 텍스트의 극대화된 거리의 양대극에 위치하면서 백석 시 텍스트 구성에 기여하는 두 개의 커다란 구성의 축이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모더니스트들의 대표적 기법, 구성법이다.
Ⅵ. 맺 음 말
白石 詩 텍스트는 평북 사투리와 신화적 느낌까지 주는 토속적 이야기, 산문체를 가지고 있다. 이는 그의 텍스트들 구성을 위한 최대 전략이고 장치다. 이들은 문학적 낯설게하기를 성공적으로 이루게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토속적이야기를 자료(material)로 쓰고 그를 중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선행문화 텍스트를 자료(material)로 쓰는 에즈라파운드나 제임스조이스의 구성법과 대단히 유사하다. 그들 중 초기의 短詩들은 에즈라파운드의 「지하철역에서」류의 단시들에서 보이는 암시, 생략 等이 가해진 텍스트의 구성법에 더욱 근접해 있고 산문체의, 산문시의 이같은 구성법은 조이스의 『율리시즈』에서 읽을 수 있는 텍스트 구성법과 유사기도하다.
그리고 순간적 대상포착과 그들의 계기적 연결에 의한 구성법은 모더니스트들의 표현기법중 하나다. 이와 아울러 또 하나의 중요한 구성법은 의식의 흐름에 의한 표현기법이다. 이는 특히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에 나타나는 의식의 흐름에 의한 표현기법과 근접거리에 있다.
이상 본고에서 분석해 본 구성법, 기법이 白石 시 텍스트 구성법의 근간을 이룬다. 이들을 단독으로 쓰거나 혼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였으며 이는 초기에서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기법들이다. 본고의 분석에 의하면 白石 시 텍스트는 철저한 모더니즘 문학의 소산이다. 그리고 표현기법, 구성이 그의 시가 가지는 최대관심사며 기법이 곧 그의 문학이다.
그리고 白石 시 텍스트는 철저한 모더니즘 기법으로 구성된 텍스트지만 포스트모더니즘적 성격을 띠기도 한다. 모더니즘의 성격에 따라 물론, 텍스트의 의미지향점은 통일성에 놓여 있다. 그러나 중첩기법에 의한 구성법은 의미의 파편화를 낳기도 한다. 특히 생략이나 암시가 문학적 장치로 드러나는 초기 短詩 텍스트들은 더욱 그러하고 중첩에 참여하는 자료(material)의 범주가 넓어질수록 무의미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白石 시 텍스트는 모더니즘적 통일성을 지향하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의미생산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白石의 시 텍스트들은 자료(material)를 전통적 토속 이야기로 하고 있는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호 텍스트성적 다시쓰기에 속한다. 따라서 白石 텍스트는 모더니즘 텍스트면서 포스트모더니즘 텍스트다. 이같은 성격을 가지는 白石 詩는 독자에게도 포스트모더니즘적 독자일 것을 요구한다. 중첩기법에 의해 생산된 텍스트들은 의미 구조상으로 보아 닫힌, 완성의 텍스트가 아니기 때문이다. 수신자이면서 발신자이기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백석 시 텍스트는 무한대의 의미망을 지향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白石 시 연구는 구조나 기법 연구가 적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白石 시 텍스트는 구조와 기법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텍스트다. 기법, 구조 연구에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
參考文獻
김종건, 『율리시즈 연구Ⅰ』, 고대출판부, 1995.
김철수, 『현대영미시연구』, 한신문화사, 1999.
민희식, 이재호 역편, 『프랑스 명시집』, 종로서적, 1981.
송 준 편, 『백석시전집』, 학영사, 1995.
한국하이데거 학회편, 『하이데거의 언어사상』, 철학과 현실사, 1998.
발르 프랑스와 외, 민희식 옮김,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고려원, 1985.
어얼리치 빅토르, 박거용 역,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과 지성사, 1983.
프리드리히 후고, 장희창 옮김, 『현대시의 구조』, 1996.
프라이 노드롭, 이상우 역, 『문학의 원형』, 명지출판부, 1998.
야꼽슨, 바흐찐, 조주관 옮김, 『러시아 현대비평이론』, 민음사, 1993.
로트만, 유리, 유재천 옮김, 『예술텍스트의 구조』, 민음사, 1994.
레몽 마르셀, 김화영 역, 『프랑스 현대시사』, 문학과 지성사, 1986.
Elizabeth C. Hirschman and Clinton R.Sanders, Motion Pictures as metaphoric consumction; How animimal narratives teach us to be human, Semiotica, 1997, 115 1/2
Kristeva Juli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 by magret waller, Leous, Roudiez,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Wheelwrights Philip, Metaphor and neal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62.
그러므로 이같은 구성법에 의한 반복되는 상동적 디스코스들을 그냥 들려줄 뿐이다. 그리고 행동들을 보여줄 뿐이다. 그러므로 이는 현대극을 보는듯, 무언극을 보는 듯 하다.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에서 보여주는 반복되는 말없는 동일 계열체의 동작 그리고 동일한 디스코스, "아 참 고도를 기다려야지"를 보고 듣는 것같다. 이는 무한대의 의미를 생산하게 하는 현대성을 가지게 하고 닫힌 텍스트기 때문에 더욱 열린 텍스트이게 한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이 앓고 있는 끔찍한 병, 산다는 고통
) Julia Kristev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 by Margaret Waller, Leons, Roud ez,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P.230.
이 멀리 쫓겨난 현대적 텍스트가 되도록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같은 구성법은 언어가 말하게 하고 화자가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초현실주의적 기법으로 구성된 텍스트의 부분에 사용된 씨니피앙들은 화자가 가진 의식의 깊은 내면까지도 보여주기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몽환적 세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은 白石 詩 텍스트의 극대화된 거리의 양대극에 위치하면서 백석 시 텍스트 구성에 기여하는 두 개의 커다란 구성의 축이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모더니스트들의 대표적 기법, 구성법이다.
Ⅵ. 맺 음 말
白石 詩 텍스트는 평북 사투리와 신화적 느낌까지 주는 토속적 이야기, 산문체를 가지고 있다. 이는 그의 텍스트들 구성을 위한 최대 전략이고 장치다. 이들은 문학적 낯설게하기를 성공적으로 이루게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토속적이야기를 자료(material)로 쓰고 그를 중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선행문화 텍스트를 자료(material)로 쓰는 에즈라파운드나 제임스조이스의 구성법과 대단히 유사하다. 그들 중 초기의 短詩들은 에즈라파운드의 「지하철역에서」류의 단시들에서 보이는 암시, 생략 等이 가해진 텍스트의 구성법에 더욱 근접해 있고 산문체의, 산문시의 이같은 구성법은 조이스의 『율리시즈』에서 읽을 수 있는 텍스트 구성법과 유사기도하다.
그리고 순간적 대상포착과 그들의 계기적 연결에 의한 구성법은 모더니스트들의 표현기법중 하나다. 이와 아울러 또 하나의 중요한 구성법은 의식의 흐름에 의한 표현기법이다. 이는 특히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에 나타나는 의식의 흐름에 의한 표현기법과 근접거리에 있다.
이상 본고에서 분석해 본 구성법, 기법이 白石 시 텍스트 구성법의 근간을 이룬다. 이들을 단독으로 쓰거나 혼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였으며 이는 초기에서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기법들이다. 본고의 분석에 의하면 白石 시 텍스트는 철저한 모더니즘 문학의 소산이다. 그리고 표현기법, 구성이 그의 시가 가지는 최대관심사며 기법이 곧 그의 문학이다.
그리고 白石 시 텍스트는 철저한 모더니즘 기법으로 구성된 텍스트지만 포스트모더니즘적 성격을 띠기도 한다. 모더니즘의 성격에 따라 물론, 텍스트의 의미지향점은 통일성에 놓여 있다. 그러나 중첩기법에 의한 구성법은 의미의 파편화를 낳기도 한다. 특히 생략이나 암시가 문학적 장치로 드러나는 초기 短詩 텍스트들은 더욱 그러하고 중첩에 참여하는 자료(material)의 범주가 넓어질수록 무의미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白石 시 텍스트는 모더니즘적 통일성을 지향하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의미생산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白石의 시 텍스트들은 자료(material)를 전통적 토속 이야기로 하고 있는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호 텍스트성적 다시쓰기에 속한다. 따라서 白石 텍스트는 모더니즘 텍스트면서 포스트모더니즘 텍스트다. 이같은 성격을 가지는 白石 詩는 독자에게도 포스트모더니즘적 독자일 것을 요구한다. 중첩기법에 의해 생산된 텍스트들은 의미 구조상으로 보아 닫힌, 완성의 텍스트가 아니기 때문이다. 수신자이면서 발신자이기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백석 시 텍스트는 무한대의 의미망을 지향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白石 시 연구는 구조나 기법 연구가 적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白石 시 텍스트는 구조와 기법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텍스트다. 기법, 구조 연구에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
參考文獻
김종건, 『율리시즈 연구Ⅰ』, 고대출판부, 1995.
김철수, 『현대영미시연구』, 한신문화사, 1999.
민희식, 이재호 역편, 『프랑스 명시집』, 종로서적, 1981.
송 준 편, 『백석시전집』, 학영사, 1995.
한국하이데거 학회편, 『하이데거의 언어사상』, 철학과 현실사, 1998.
발르 프랑스와 외, 민희식 옮김,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고려원, 1985.
어얼리치 빅토르, 박거용 역,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과 지성사, 1983.
프리드리히 후고, 장희창 옮김, 『현대시의 구조』, 1996.
프라이 노드롭, 이상우 역, 『문학의 원형』, 명지출판부, 1998.
야꼽슨, 바흐찐, 조주관 옮김, 『러시아 현대비평이론』, 민음사, 1993.
로트만, 유리, 유재천 옮김, 『예술텍스트의 구조』, 민음사, 1994.
레몽 마르셀, 김화영 역, 『프랑스 현대시사』, 문학과 지성사, 1986.
Elizabeth C. Hirschman and Clinton R.Sanders, Motion Pictures as metaphoric consumction; How animimal narratives teach us to be human, Semiotica, 1997, 115 1/2
Kristeva Juli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 by magret waller, Leous, Roudiez,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Wheelwrights Philip, Metaphor and neal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