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츠오 바쇼(松尾芭蕉)와 「카루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츠오 바쇼(松尾芭蕉)와 「카루미」
2. 「카루미」의 발생배경 및 특성
2-1. 발생배경
2-2. 특성

본문내용

梨子地の器に高蒔繪書きたるが如し.丁寧美 盡くせりといへどもやうやくこれに飽く.豫が門人は桐の器を枾合 はせに りたらんがごとくざんぐりと荒びて句作りすべし. あ る人俳諧の新味問ふ.翁曰く の を捨てて芳草の汁をすすれ.)
『후쿄쿠에게 보내는(不玉宛)書簡』
) 바쇼가 쿄토(京都)에 있는 동안 함께 했던 쿄라이(去來)가 「카루미」에 대해 직접 바쇼의 입으로부터 들은 가르침이나, 이를 둘러싸고 나누었던 門人들의 논의에 대해 써 보내 달라는 요청을 후쿄쿠(不玉)로부터 받고 이에 응해서 답한 서신. 1690年(元祿3)의 바쇼의 「카루미」에 대한 생각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頻原退藍, 『去來, 芭蕉』, 創元社, 1941, p.74, 재인용)
바쇼는 세상에 유행하고 있는 하이카이를 나시지(梨子地)의 금은 박으로 그린 그림과 기러기 죽에 비유하고 있다. 이는 화려하면서도 기품있는 와카적(和歌的), 렌카적(連歌的)인 전통의 것을 말한다. 그리고 자신과 자신의 제자들이 향후 추구해야 할 하이카이를 감즙 칠과 방초의 죽에 비유하고 있다. 이는 소박하고 일상적이며 서민적인 것을 말한다. 바쇼는 양자간의 대비를 통해 하이카이는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박하고 일상적인 것 가운데서 투박하게 만들어야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바쇼의 「카루미」의 본질은 통속성에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카루미」란 와카, 漢詩的인 구습의 세계를 탈피하여 새로운 일상의 세계에서 소재를 발견하고 발상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고전적인 와카, 漢詩的인 전통을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다. 고전의 정신은 이어받되 지나치게 형식화되고 미적인 것만을 추구하는 구습화된 면을 벗어버리라는 것이다.
이렇게 통속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 그 대상도 자연히 서민화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바쇼의 「카루미」에 대한 최초 작품이 나오는 1690年가지는 등장인물이 부유층이라든지 高雅한 풍류인 등의 특정의 유형적인 인물로 제한되어 있었는데 그 이후는 특별한 유형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 저작거리에서도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의 생활 상태나 성격 등이 그려지게 되었다.
) 日本文學硏究資料刊行會編, 『芭蕉』, 有精堂, 1969, p.259
소재의 통속성은 대상의 서민화로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카루미」의 본질은 통속성뿐 아니라 깊은 깨달음에도 있다. 바쇼는 이를 <고오귀속(高悟歸俗)>이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다음 인용구를 보자.
문인들이 이후의 풍아에 대해 질문한다. 선생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이 길을 걸어온 이래로 하이후(俳風)는 여러 모양으로 변해 왔다. ... 높은 차원에서 마음을 깨닫고 俗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
(門人此後の風雅を問ふ.師の曰く我この道に出でて百變百化す 高く心を悟りて俗に歸るべしとの敎なり)
『아카조시(赤冊子)』
바쇼는 과거를 돌아볼 때 자신이 하이카이의 수행의 길로 들어선 이래로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많은 일들을 겪어 왔음을 <백변이후(俳風)는 여러 모양으로 변해 왔다. ... 높은차원에서 마음을 깨닫고 俗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2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