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이쿠의 의미
2.하이쿠의 형식
3.마츠오 바쇼
4.현대의 하이쿠와 하이쿠의 세계화
2.하이쿠의 형식
3.마츠오 바쇼
4.현대의 하이쿠와 하이쿠의 세계화
본문내용
한다. 하이쿠 시인은 이미 창작 단계에서도 의미 전달에 별 관심이 없다. 하이쿠 시인이 하나 둘 명확한 이미지를 던지면, 독자는 자기 나름대로 생략의 틈새를 보충하고 의미해석 영역을 초월하여 체험적으로 그 작품 세계를 감상한다. 이처럼 하이쿠는 일본어의 특성, 그리고 일본어로 빚어내는 일본 문화의 특성을 가장 단적으로 잘 나타내는 문예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많은 외국인으로 하여금 하이쿠에 관심을 갖게 하고, 하이쿠를 이해하는 것은 곧 일본 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의 하나라고 여기게 만드는 요인일 것이다. 그에 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일 양국의 문화교류는 물론, 경제, 정치, 사회 등 다방면에서 공존하고 있음에도 하이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적은편이다. 이는 일본도 마찬가지여서 고전적인 문학 부분에서는 양국의 이해도와 관심이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그리고 그들의 정신세계와 일본문화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고 할 수 있는 하이쿠. 급속도로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이 시점이야 말로 이미 자국의 문화에 대해 주체를 확립한 지성인이 가져야할 태도가 무엇인지 스스로 깨닫고 행동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