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도 Composition
2. 움직임 Movement
3. 화면의 번위 Size
4. 촬영각도 Angle
5. 화면의 깊이감 Depth
6. 빛과 색체 Light and Color
◈ 작품분석을 통한 이해 ....1 ◈
◈작품분석을 통한 이해 .........2 ◈
2. 움직임 Movement
3. 화면의 번위 Size
4. 촬영각도 Angle
5. 화면의 깊이감 Depth
6. 빛과 색체 Light and Color
◈ 작품분석을 통한 이해 ....1 ◈
◈작품분석을 통한 이해 .........2 ◈
본문내용
의 경계를 초월하는 장면들의 배열과 시공간의 제약을 무시하는 특이한 연출 기법을 구사하였다.
이 영화는 절망에 빠진 세명의 여주인공인 유진,혜나 , 옥남이 희망을 찾아서 여행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주관적 카메라의 정면 응시와 성찰적 시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 옥남이 어린딸을 상봉하고 그딸이 화분에 물을 주고 옥남이 카메라를 응시하며 "난 몹시 눈물이 난다"고 고백하는 장면은 종래 상업영화에서 볼수 없었던 내성적이며 관조적인 부분을 성찰케 하는 장면이다. 딸의 모습과 옥남의 감정은 표면적으로 일치하지 않지만 내면적으로 이장면의 연결은 영적인 각성의 의미를 발화시킨다.
그리고 누군가의 카메라에 대고 눈물을 흘리며 고백하는 유진의 모습에서 카메라의 주체가 화면에 존재 하지 않고 관객이 되도록 유도한다.
즉 영화적 의미 생산이 허구적 상환의 현실화에 기여하도록 장치를 설정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친구의 죽은 시신을 태우고 가던 트럭 운전사의 모습을 잡은 영상은 대부분 혜나의 시선에 의한것인데 이또한 관객자신의 시선인지 혜나의 시선인지 혼동되고 그러한 시선이 카메라의 시점이 된다. 결국 관객은 이들 세명과 동화된 시선을 갖게 되는 것이다.
*환상의 현실 혹은 현실의 환상 만들기
꽃섬은 부재적 환상의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의 기능을 한다. 옥남은 유진에게 꽃섬에 가면 모든 슬픔이 치유된다고 함으로써 허구속에 또하나의 겹허구의 장치를 배치한다. 혜나의 옆구리에 날개가 돋는 장면은 환상의 현실 혹은 현실의 환상인 것처럼 혼효시켜놓은 착각과 혼동의 상황연출로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전체를 혼란스럽게 인식한다.
그리고 불쑥 튀어나오는 과거와 미래의 플래시 영상들 사물의 모습이 초점을 잃어 흐릿하게 포착되는 장면등을 통해 진행 자체가 환상적 구조속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꽃섬에서 행해진 마술적 행위는 관객에게 현존과 부재의 불확실성을 인식시켜주고 믿음과 불신 진실과 사기의 이중적 경계를 착종케 한다.
* 영혼을 잡아내는 영상
유리창에 기어가는 작은 미물을 손가락으로 뒤쫓는 옥남의 표정과 그녀의 꿈속에서 곤히자는 딸의 모습 얼음 및에 흐르는 물소리와 무심결에 스쳐가는 대기속 바람소리로의 집중은 처절한 상황속의 유토피아적인 풍경이다. 이 세인물들은 유토피아적 추구의 여정에서 다시 현실로 복무한다. 결국 변해야 할것은 세속적 물질성이 아니니 영혼의 정신성이며 그 각성을 뜻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절망에 빠진 세명의 여주인공인 유진,혜나 , 옥남이 희망을 찾아서 여행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주관적 카메라의 정면 응시와 성찰적 시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 옥남이 어린딸을 상봉하고 그딸이 화분에 물을 주고 옥남이 카메라를 응시하며 "난 몹시 눈물이 난다"고 고백하는 장면은 종래 상업영화에서 볼수 없었던 내성적이며 관조적인 부분을 성찰케 하는 장면이다. 딸의 모습과 옥남의 감정은 표면적으로 일치하지 않지만 내면적으로 이장면의 연결은 영적인 각성의 의미를 발화시킨다.
그리고 누군가의 카메라에 대고 눈물을 흘리며 고백하는 유진의 모습에서 카메라의 주체가 화면에 존재 하지 않고 관객이 되도록 유도한다.
즉 영화적 의미 생산이 허구적 상환의 현실화에 기여하도록 장치를 설정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친구의 죽은 시신을 태우고 가던 트럭 운전사의 모습을 잡은 영상은 대부분 혜나의 시선에 의한것인데 이또한 관객자신의 시선인지 혜나의 시선인지 혼동되고 그러한 시선이 카메라의 시점이 된다. 결국 관객은 이들 세명과 동화된 시선을 갖게 되는 것이다.
*환상의 현실 혹은 현실의 환상 만들기
꽃섬은 부재적 환상의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의 기능을 한다. 옥남은 유진에게 꽃섬에 가면 모든 슬픔이 치유된다고 함으로써 허구속에 또하나의 겹허구의 장치를 배치한다. 혜나의 옆구리에 날개가 돋는 장면은 환상의 현실 혹은 현실의 환상인 것처럼 혼효시켜놓은 착각과 혼동의 상황연출로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전체를 혼란스럽게 인식한다.
그리고 불쑥 튀어나오는 과거와 미래의 플래시 영상들 사물의 모습이 초점을 잃어 흐릿하게 포착되는 장면등을 통해 진행 자체가 환상적 구조속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꽃섬에서 행해진 마술적 행위는 관객에게 현존과 부재의 불확실성을 인식시켜주고 믿음과 불신 진실과 사기의 이중적 경계를 착종케 한다.
* 영혼을 잡아내는 영상
유리창에 기어가는 작은 미물을 손가락으로 뒤쫓는 옥남의 표정과 그녀의 꿈속에서 곤히자는 딸의 모습 얼음 및에 흐르는 물소리와 무심결에 스쳐가는 대기속 바람소리로의 집중은 처절한 상황속의 유토피아적인 풍경이다. 이 세인물들은 유토피아적 추구의 여정에서 다시 현실로 복무한다. 결국 변해야 할것은 세속적 물질성이 아니니 영혼의 정신성이며 그 각성을 뜻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의 여가생활양식과 비행의 관계
컴퓨터 구성
구조주의와 소쉬르(쏘쒸르)의 기호학 그리고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에 관하여
'메모리즈(Memories)'의 세 가지 환상 - 기억에의 집착; 환상에 가려진 현실을 보라
사람들은 왜 리니지에 열광하는가?
광고언어의 특징 분석
디카문화에 관한 고찰
디지털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베이징 올림픽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독후감/요약] 두뇌를 알고 가르치자! _ 김유미 저
ocu 유럽문화유산답사기행 레포트 유럽 테마여행
[한국삼국사] 고구려,백제,신라의 통합과 역사적 의의 - 백제부흥운동과 백제왜 관계를 중심...
청소년 법제의 이해
[컴퓨터의이해] 컴퓨터의 입력장치 출력장치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설명 2종류 이상의 2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