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Ⅰ.서론
1. 한용운의 생애
2. 작품세계
3. 주요작품
Ⅱ.본론
1.님의 침묵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2.당신을 보았습니다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3.알 수 없어요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4.찬송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마치면서
Ⅰ.서론
1. 한용운의 생애
2. 작품세계
3. 주요작품
Ⅱ.본론
1.님의 침묵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2.당신을 보았습니다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3.알 수 없어요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4.찬송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마치면서
본문내용
로 보아 '님'을 느낄 수 있는 밝은 상황의 분위기를 가진 1-5행까지와, 님이 부재한 상황인 어두운 상황의 분위기가 '밤'으로 나타난 6행으로 나눌 수 있다.
1-4행까지에서 '님'은 처음엔 '발자취' 소리만 내다가 먼 빛으로 '얼굴'을 보이고, 다음엔 '입김'을 느끼게 되고, 그리고 마침내 내 귓가에서 '노래'를 부르게 된다. 제5행에서는 님과의 이별의 순간이 온다. 그것은 저녁의 침침한 속에서 이루어지고, 제6행에서 나는 어두운 '밤'에 홀로 남겨진다. 그 밤 속에 침몰하지 않기 위해, 나의 가슴은 약한 등불을 켜게 된다. 그 등불은 절대적인 님의 존재에 비해, 또 님과의 이별이라는 비극적인 현실 앞에서 약한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듯이 나의 가슴은 끊임없이 타올라 그 등불이 언젠가는 님의 존재를 확실하게 비추어 줄 횃불이 될 것이다. 님과의 이별이 보다 더 큰 만남을 위한 일시적인 형상이라는 불교적 변증법의 원리를 보게 된다.
4.찬송
찬송
- 한용운
님이여, 당신은 백 번이나 단련한 金결입니다.
뽕나무 뿌리가 산호가 되도록 천국의 사랑을 받읍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아침볕의 첫걸음이여!
님이여, 당신은 의(義)가 무겁고 황금이 가벼운 것을 잘 아십니다.
거지의 거친 밭에 복(福)의 씨를 뿌리옵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옛 고동(梧桐)의 숨은 소리여!
님이여, 당신은 봄과 광명(光明)과 평화를 좋아하십니다.
양장(弱者)의 가슴에 눈물을 뿌리는 자비(慈悲)의 보살(菩薩)이 되옵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얼음바다의 봄바람이여!
시집 <님의 침묵>(1926)
1) 감상의 초점
만해의 '님'은 시집 <님의 침묵> 서문인『군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신앙적 대상이자 민족 또는 조국인 동시에 어떤 초월적 대상이기도 하다.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님의 존재의 고귀성과 구원성 등 속성을 밝히고, 그에 대한 믿음과 송축과 기원의 마음을 돈호, 영탄, 비유로 표현해 내고 있다. 전체 3연으로 되어 있는 이 시는 각 연의 첫 행은 첫 행끼리, 제2행은 제2행끼리, 제3행은 제3행끼리 그 구조가 동일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시를 이해해 보자.
2)시의 구성
성격 : 송축적, 기원적
심상 : 시각적, 청각적, 촉감적 심상
운율 : 산문율, 통사 구조상의 반복에 의한 운율
어조 : 예찬적, 열정적, 여성적 어조
표현 : 돈호법, 반복법, 영탄법, 은유법, 상징법
구성 : ① 지고한 님(제1연), ② 의로운 님(제2연), ③ 자비의 님(제3연)
제재 : 님에 대한 믿음과 사회 정의 실현에 대한 기원
주제 : 님에 대한 송축(頌祝)과 기원(祈願)
3)작품감상
(1)
이 시는 각 연이 3행으로 된 서정시다. 각 연의 1행은 1행끼리, 3행은 3행끼리 서로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리고 각 연의 마지막 행에 님의 존재를 은유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데, 이 은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는 제목 그대로 '님'에 대한 송시(頌詩)이지만, 님의 실체는 그 비유로 어림이 가는 어떤 존재일 뿐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는다.
만해는 시집 <님의 침묵> 서문에서 "님만이 님이 아니라 기룬 것은 다 님이다."라고 말한다. 그것은 사랑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부처일 수도 있고, 우주의 근본 원리일 수도 있으며, 독립 운동가로서의 그의 면모에 비추어 보면 조국이나 민족일 수도 있는 그 어떤 존재일 터이다.
그 존재를 첫 연에서는 '아침 볕의 첫걸음'이라 하고, 제2연에서는 '옛 오동의 숨은 소리'라 하고, 제3연에서는 '얼음 바다에 봄바람'이라고 은유하고 있다. 님을 '아침 볕의 첫걸음'에 비유한 것은 암흑과도 같은 사바 세계의 어둠을 깨치는 지혜로운 존재라는 뜻으로, '옛 오동의 숨은 소리'에 비유한 것은 깊고 오묘해서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진리의 존재라는 뜻으로, '얼음 바다에 봄바람'에 비유한 것은 얼어 붙은 듯한 세상을 녹여 내는 자애로운 존재라는 뜻으로 각각 풀이될 수 있을 것이다.
만해는 세상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그 님이 영원토록 천국의 사랑을 받기를 찬송하며, 물질적·정신적으로 가난할 수밖에 없는 중생 혹은 암흑 속에 핍박받는 우리 민족에게 복을 내리는 자비의 보살이 되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면서
이상 서론,본문에서 살펴본바와같이 만해 한용운님은 사상가, 독립운동가. 신앙인(종교인)이면서 시인, 작가였던 우리 시대의 특이한 인물이다.
그의 깊고 방대한 작품 세계를 몇 줄로 요약할 성질의 것은 아니지만, 그의 문학적 특징을 여섯 개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째로 율격 및 반복과 점층의 기법 사용하였다. 예를 들자면 '님의 침묵'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라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둘째로 그의 시는 은유, 상징, 이미지의 참신성이 돋보인다.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찬송'에서 "님이여 당신은 백번이나 단련한 숨결입니다."라는 은유를 사용하여 작품의 참신함을 돋보이게 한다.
셋째로 역설의 변증법을 사용하였다. 만해 한용운님은 흔히 역설의 시인으로 대표된다.
예를 들어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않았습니다."라고 표현한다.
넷째로 여성주의와 '님'으로서 대표되는 경어체 사용(대부분의 시에서 사용)하였으며, 연가풍(표면적으로 사랑의 시를 씀) 또한 님과 연관한 작품들 경우 님의 의미가 확장(조국, 부처, 진리, 연인)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로 만해 한용운님의 시는 인도 시성 '타고르'의 영향으로 인하여 대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로 그만의 불교적 세계관을 엿볼수 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예: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의 불교적 세계관을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목 차
들어가기
Ⅰ.서론
1. 한용운의 생애
2. 작품세계
3. 주요작품
Ⅱ.본론
1.님의 침묵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2.당신을 보았습니다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3.알 수 없어요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4.찬송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마치면서
1-4행까지에서 '님'은 처음엔 '발자취' 소리만 내다가 먼 빛으로 '얼굴'을 보이고, 다음엔 '입김'을 느끼게 되고, 그리고 마침내 내 귓가에서 '노래'를 부르게 된다. 제5행에서는 님과의 이별의 순간이 온다. 그것은 저녁의 침침한 속에서 이루어지고, 제6행에서 나는 어두운 '밤'에 홀로 남겨진다. 그 밤 속에 침몰하지 않기 위해, 나의 가슴은 약한 등불을 켜게 된다. 그 등불은 절대적인 님의 존재에 비해, 또 님과의 이별이라는 비극적인 현실 앞에서 약한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되듯이 나의 가슴은 끊임없이 타올라 그 등불이 언젠가는 님의 존재를 확실하게 비추어 줄 횃불이 될 것이다. 님과의 이별이 보다 더 큰 만남을 위한 일시적인 형상이라는 불교적 변증법의 원리를 보게 된다.
4.찬송
찬송
- 한용운
님이여, 당신은 백 번이나 단련한 金결입니다.
뽕나무 뿌리가 산호가 되도록 천국의 사랑을 받읍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아침볕의 첫걸음이여!
님이여, 당신은 의(義)가 무겁고 황금이 가벼운 것을 잘 아십니다.
거지의 거친 밭에 복(福)의 씨를 뿌리옵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옛 고동(梧桐)의 숨은 소리여!
님이여, 당신은 봄과 광명(光明)과 평화를 좋아하십니다.
양장(弱者)의 가슴에 눈물을 뿌리는 자비(慈悲)의 보살(菩薩)이 되옵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얼음바다의 봄바람이여!
시집 <님의 침묵>(1926)
1) 감상의 초점
만해의 '님'은 시집 <님의 침묵> 서문인『군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신앙적 대상이자 민족 또는 조국인 동시에 어떤 초월적 대상이기도 하다.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님의 존재의 고귀성과 구원성 등 속성을 밝히고, 그에 대한 믿음과 송축과 기원의 마음을 돈호, 영탄, 비유로 표현해 내고 있다. 전체 3연으로 되어 있는 이 시는 각 연의 첫 행은 첫 행끼리, 제2행은 제2행끼리, 제3행은 제3행끼리 그 구조가 동일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시를 이해해 보자.
2)시의 구성
성격 : 송축적, 기원적
심상 : 시각적, 청각적, 촉감적 심상
운율 : 산문율, 통사 구조상의 반복에 의한 운율
어조 : 예찬적, 열정적, 여성적 어조
표현 : 돈호법, 반복법, 영탄법, 은유법, 상징법
구성 : ① 지고한 님(제1연), ② 의로운 님(제2연), ③ 자비의 님(제3연)
제재 : 님에 대한 믿음과 사회 정의 실현에 대한 기원
주제 : 님에 대한 송축(頌祝)과 기원(祈願)
3)작품감상
(1)
이 시는 각 연이 3행으로 된 서정시다. 각 연의 1행은 1행끼리, 3행은 3행끼리 서로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리고 각 연의 마지막 행에 님의 존재를 은유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데, 이 은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는 제목 그대로 '님'에 대한 송시(頌詩)이지만, 님의 실체는 그 비유로 어림이 가는 어떤 존재일 뿐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는다.
만해는 시집 <님의 침묵> 서문에서 "님만이 님이 아니라 기룬 것은 다 님이다."라고 말한다. 그것은 사랑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부처일 수도 있고, 우주의 근본 원리일 수도 있으며, 독립 운동가로서의 그의 면모에 비추어 보면 조국이나 민족일 수도 있는 그 어떤 존재일 터이다.
그 존재를 첫 연에서는 '아침 볕의 첫걸음'이라 하고, 제2연에서는 '옛 오동의 숨은 소리'라 하고, 제3연에서는 '얼음 바다에 봄바람'이라고 은유하고 있다. 님을 '아침 볕의 첫걸음'에 비유한 것은 암흑과도 같은 사바 세계의 어둠을 깨치는 지혜로운 존재라는 뜻으로, '옛 오동의 숨은 소리'에 비유한 것은 깊고 오묘해서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진리의 존재라는 뜻으로, '얼음 바다에 봄바람'에 비유한 것은 얼어 붙은 듯한 세상을 녹여 내는 자애로운 존재라는 뜻으로 각각 풀이될 수 있을 것이다.
만해는 세상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그 님이 영원토록 천국의 사랑을 받기를 찬송하며, 물질적·정신적으로 가난할 수밖에 없는 중생 혹은 암흑 속에 핍박받는 우리 민족에게 복을 내리는 자비의 보살이 되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면서
이상 서론,본문에서 살펴본바와같이 만해 한용운님은 사상가, 독립운동가. 신앙인(종교인)이면서 시인, 작가였던 우리 시대의 특이한 인물이다.
그의 깊고 방대한 작품 세계를 몇 줄로 요약할 성질의 것은 아니지만, 그의 문학적 특징을 여섯 개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째로 율격 및 반복과 점층의 기법 사용하였다. 예를 들자면 '님의 침묵'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라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둘째로 그의 시는 은유, 상징, 이미지의 참신성이 돋보인다. 예를 들어 그의 작품 '찬송'에서 "님이여 당신은 백번이나 단련한 숨결입니다."라는 은유를 사용하여 작품의 참신함을 돋보이게 한다.
셋째로 역설의 변증법을 사용하였다. 만해 한용운님은 흔히 역설의 시인으로 대표된다.
예를 들어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않았습니다."라고 표현한다.
넷째로 여성주의와 '님'으로서 대표되는 경어체 사용(대부분의 시에서 사용)하였으며, 연가풍(표면적으로 사랑의 시를 씀) 또한 님과 연관한 작품들 경우 님의 의미가 확장(조국, 부처, 진리, 연인)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로 만해 한용운님의 시는 인도 시성 '타고르'의 영향으로 인하여 대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로 그만의 불교적 세계관을 엿볼수 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예: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의 불교적 세계관을 그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목 차
들어가기
Ⅰ.서론
1. 한용운의 생애
2. 작품세계
3. 주요작품
Ⅱ.본론
1.님의 침묵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2.당신을 보았습니다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3.알 수 없어요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4.찬송
1) 감상의 초점
2)시의 요소
3)작품의 감상
마치면서
키워드
추천자료
60년대와 80년대의 시가 장시(서사시/서술시)가 되었던 건 무엇 때문일까?
시인 윤동주 소개 시 해석
시와 영화 : 영화 속 시 읽기와 시 속 영화 읽기
유종호<시읽기의 방법>을 읽고, 시 교육의 문제점과 방안 고찰
[백석 시][백석 시작품 분석][백석 시 작품 평론][백석][백석 시작품][시][시문학][여승][모...
우리시의 전개 양상
현대시에 수용된 춘향전의 패러디 양상
시인 백석의 생애와 문학세계
[한국민요][구성음][창가][가사][해학]민요(우리민요) 개념, 민요(우리민요) 배경, 민요(우리...
[리얼리즘][사실주의][시][사진][연극][문학]리얼리즘 시(사실주의 시), 네오 리얼리즘(신사...
[1930년대][단편소설][근대소설][농민소설][시(시문학)][경성노동자]1930년대의 단편소설, 19...
[현대소설][현대소설 성격][현대소설 분류][현대소설 갈래][현대소설 구성][현대소설 전개]현...
시란 무엇인가 - 현대시 작가별 코멘트 정리
[현대문학사 발표] 대표 작가 및 작품을 중심으로 한 1910, 20년대 시의 경향 - 1910,20년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