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문제제기
본 론
1) KBS 시사투나잇 정치 패러디 관련
2) 노무현 대통령 탄핵방송 편파보도 관련
3)영국 공영 BBC 사례
결론 -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위상 갖춰야 한다.
참고문헌
본 론
1) KBS 시사투나잇 정치 패러디 관련
2) 노무현 대통령 탄핵방송 편파보도 관련
3)영국 공영 BBC 사례
결론 -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위상 갖춰야 한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고, 또 KBS 이사회는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정말 공정하게 사장을 추천하는 방송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편파방송과 프로그램 개편에 대해 현재처럼 유명무실한 시청자위원회가 아니라 실제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개선해나가야 한다. 특히 현재 자사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위상과 기능을 더욱 활성화시켜 실질적인 비판이 가능한 제도로 개선해야 한다.
법 제도를 어떻게 정하느냐 하는 것은 국회에서 할 일이지만, 법 제도의 테두리 내에서 운영을 잘 해나가는 것은 방송사 스스로의 몫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영방송의 임직원들이나 보도국 내부의 구성원들이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보도하려는 의식의 개혁과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의 언론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직무관련 기준이나 표준규범(professional standard)처럼 우리도 구체적인 직무지침을 만들어서 활용해보면 어떨까 제안해본다.
이제 KBS는 환골탈태해야 한다. KBS는 1,600만 가구로부터 거둔 4,800억원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국민의 방송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KBS가 공정한 보도를 하지 않으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국민이다. 공정한 보도와 질 높은 프로그램을 양산하여 국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국제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결산승인안을 부결하고 2TV 민영화를 주장한다고 야당을 비판하기에 앞서 자신에 대한 비판을 먼저 겸허히 수용하는 자세가 요망된다. KBS가 지금의 위기를 잘 극복하고 진정한 국민의 방송으로서 거듭 태어나기를 온 국민이 기대하면서 그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항제 (2001). 전환기 공영방송의 패러다임. 《언론과사회》, pp. 72-97
방송개혁위원회(1999). ≪방송개혁의 방향과 과제≫.
방송위원회(2000). ≪디지털 방송시대의 공익≫, 방송조사자료 2000-4.
민주언론운동 시민연합 논평 4건 http://www.ccdm.or.kr/
바른언론을 위한 시민연합 http://www.mediawatch.or.kr/
[문화일보] 2004-06-11 (종합) 31면 ‘탄핵관련 편파보도인가’
동아일보 작성일 2005-03-19 06 면 ‘KBS 여과시스템 있긴한가’
조선일보 작성일 2005-01-26 기자수첩 KBS의 공영성, 그리고 망각성
편파방송과 프로그램 개편에 대해 현재처럼 유명무실한 시청자위원회가 아니라 실제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개선해나가야 한다. 특히 현재 자사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한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위상과 기능을 더욱 활성화시켜 실질적인 비판이 가능한 제도로 개선해야 한다.
법 제도를 어떻게 정하느냐 하는 것은 국회에서 할 일이지만, 법 제도의 테두리 내에서 운영을 잘 해나가는 것은 방송사 스스로의 몫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영방송의 임직원들이나 보도국 내부의 구성원들이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보도하려는 의식의 개혁과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의 언론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직무관련 기준이나 표준규범(professional standard)처럼 우리도 구체적인 직무지침을 만들어서 활용해보면 어떨까 제안해본다.
이제 KBS는 환골탈태해야 한다. KBS는 1,600만 가구로부터 거둔 4,800억원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국민의 방송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KBS가 공정한 보도를 하지 않으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국민이다. 공정한 보도와 질 높은 프로그램을 양산하여 국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국제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결산승인안을 부결하고 2TV 민영화를 주장한다고 야당을 비판하기에 앞서 자신에 대한 비판을 먼저 겸허히 수용하는 자세가 요망된다. KBS가 지금의 위기를 잘 극복하고 진정한 국민의 방송으로서 거듭 태어나기를 온 국민이 기대하면서 그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항제 (2001). 전환기 공영방송의 패러다임. 《언론과사회》, pp. 72-97
방송개혁위원회(1999). ≪방송개혁의 방향과 과제≫.
방송위원회(2000). ≪디지털 방송시대의 공익≫, 방송조사자료 2000-4.
민주언론운동 시민연합 논평 4건 http://www.ccdm.or.kr/
바른언론을 위한 시민연합 http://www.mediawatch.or.kr/
[문화일보] 2004-06-11 (종합) 31면 ‘탄핵관련 편파보도인가’
동아일보 작성일 2005-03-19 06 면 ‘KBS 여과시스템 있긴한가’
조선일보 작성일 2005-01-26 기자수첩 KBS의 공영성, 그리고 망각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