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려 후기 시가의 새로운 양상
2 경기체가
3 시조
4 가사
2 경기체가
3 시조
4 가사
본문내용
방향이 잡혔을 듯하다.
보우(普愚)나 혜근과 같은 사람은 짧은 노래이건 긴 노래이건 흥이 나면 가리지 않고 지었으며, 자기 심정을 읊기도 했는데 이러는 가운데 가사에 접근한 예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보우의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중 <석가출산상(釋迦出山相)>이나 혜근의 <나옹삼가(懶翁三歌)>와 같이 외기 좋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서 퍼져야 하는 노래는 한 줄이 네 토막이고 한 토막이 대체로 넉 자인 가사 형식을 민요에서 가져다 쓰는 것이 유리했다. 한편 혜근의 <승원가>는 교리나 수행에 관해 알려 하층의 신도를 끌어들이는데 쓰여 가사의 두 가지 목적성을 보이며 이러한 계통이 이어져 후대에도 불교가사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승원가는 네 토막씩 202줄이고 마지막으로 두 토막 한 줄이 첨가되어 있는데 한 토막을 이루는 글자 수는 대체로 석 자 아니면 넉 자여서 후대의 가사와 형식이 같다. 내용 또한 어렵거나 복잡한 사연을 담고자 하지 않아 어렵지 않다.
충지·보우·혜근의 이러한 노래들은 구송가사(口誦歌辭)였다고 할 수 있는데 <향찰로 표기된 <승원가>를 제외하고는 한문으로 번역하여 기록하면서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되어 가사로서의 의의를 상실했다.
보우(普愚)나 혜근과 같은 사람은 짧은 노래이건 긴 노래이건 흥이 나면 가리지 않고 지었으며, 자기 심정을 읊기도 했는데 이러는 가운데 가사에 접근한 예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보우의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중 <석가출산상(釋迦出山相)>이나 혜근의 <나옹삼가(懶翁三歌)>와 같이 외기 좋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서 퍼져야 하는 노래는 한 줄이 네 토막이고 한 토막이 대체로 넉 자인 가사 형식을 민요에서 가져다 쓰는 것이 유리했다. 한편 혜근의 <승원가>는 교리나 수행에 관해 알려 하층의 신도를 끌어들이는데 쓰여 가사의 두 가지 목적성을 보이며 이러한 계통이 이어져 후대에도 불교가사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승원가는 네 토막씩 202줄이고 마지막으로 두 토막 한 줄이 첨가되어 있는데 한 토막을 이루는 글자 수는 대체로 석 자 아니면 넉 자여서 후대의 가사와 형식이 같다. 내용 또한 어렵거나 복잡한 사연을 담고자 하지 않아 어렵지 않다.
충지·보우·혜근의 이러한 노래들은 구송가사(口誦歌辭)였다고 할 수 있는데 <향찰로 표기된 <승원가>를 제외하고는 한문으로 번역하여 기록하면서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되어 가사로서의 의의를 상실했다.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 교재연구를 읽고
고전문학 - <허생전> 비평적으로 감상하기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고전문학] 특정 장르, 작가의 행적이 지닌 의미와 역할
[고전문학 교육론] 허생전 수업 지도안
[고전문학 교육론] 함께 하는 신화 수업 -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