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 염상섭 등을 중심으로 한 <문예공론>지
) 1929년 5월 평양(平壤)에서 창간된 순문예월간지. 편집인 겸 발행인은 방인근(方仁根)이며, 양주동(梁柱東) 주재로 발간되었다. 창간호부터 문예상의 모든 의견과 주장을 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약 40명에 달하는 집필자명단이 있어, 다양한 필진들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에서 절충주의가 대두된다.
) 양주동 1929 문예공론 소재 단평
이러한 절충주의의 이론적 근거는 프로문학의 계급 제일주의나 민족주의문학의 민족제일주의가 모두 일방적 극단론이라는데 기초한다. 즉 '민족을 떠난 계급이 없고 계급을 떠난 민족이 있을 수 없다'는 것으로서 계급적인 것과 민족적인 것은 서로 절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절충주의파의 주장은 그 본질에 있어서 민족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카프문학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나타났던 것이다.
이러한 절충주의와 앞에서 등장한 국민문학파는 어떤 문예사조(사실주의, 낭만주의 등)라기보다 우리 문단에서 등장한 하나의 현상적인 측면이다. 즉 이러한 운동들은 프로문학의 '문학에 대한 파괴' 행위에 대항하기 위해 나타났던 한국 문단 특유의 풍경인 것이다.
1920년대 후반의 소설 창작
창작 방향
이시기 주요 작품
프롤레타리아소설
이기영<고향>, 조명희<낙동강>, 김남천<공장신문> 등
역사소설
홍명희<임꺽정>, 이광수<단종애사>, 김동인 <운현궁의 봄> 등
농촌소설
이기영<고향>, 강경애<인간문제> 등
통속애정소설
방인근<방랑의 가인>(1933), 이광수<유정>(1933) 등
민족주의경향소설
염상섭<삼대>(1931), 김동인<붉은 산>
) 1929년 5월 평양(平壤)에서 창간된 순문예월간지. 편집인 겸 발행인은 방인근(方仁根)이며, 양주동(梁柱東) 주재로 발간되었다. 창간호부터 문예상의 모든 의견과 주장을 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약 40명에 달하는 집필자명단이 있어, 다양한 필진들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에서 절충주의가 대두된다.
) 양주동 1929 문예공론 소재 단평
이러한 절충주의의 이론적 근거는 프로문학의 계급 제일주의나 민족주의문학의 민족제일주의가 모두 일방적 극단론이라는데 기초한다. 즉 '민족을 떠난 계급이 없고 계급을 떠난 민족이 있을 수 없다'는 것으로서 계급적인 것과 민족적인 것은 서로 절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절충주의파의 주장은 그 본질에 있어서 민족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카프문학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나타났던 것이다.
이러한 절충주의와 앞에서 등장한 국민문학파는 어떤 문예사조(사실주의, 낭만주의 등)라기보다 우리 문단에서 등장한 하나의 현상적인 측면이다. 즉 이러한 운동들은 프로문학의 '문학에 대한 파괴' 행위에 대항하기 위해 나타났던 한국 문단 특유의 풍경인 것이다.
1920년대 후반의 소설 창작
창작 방향
이시기 주요 작품
프롤레타리아소설
이기영<고향>, 조명희<낙동강>, 김남천<공장신문> 등
역사소설
홍명희<임꺽정>, 이광수<단종애사>, 김동인 <운현궁의 봄> 등
농촌소설
이기영<고향>, 강경애<인간문제> 등
통속애정소설
방인근<방랑의 가인>(1933), 이광수<유정>(1933) 등
민족주의경향소설
염상섭<삼대>(1931), 김동인<붉은 산>
추천자료
(한국현대소설작가론) 김영하론
[현대소설]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작품 분석 및 비평
이광수의 '무정'이 현대소설의 기점이 되는 이유와 문학사적 의의
[현대소설]헤밍웨이의 `살인자들` 서사구조 분석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현대소설감상] 김유정-만무방
[현대소설]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
[현대소설의 이해] 김영하 소설을 읽고 (「오빠가 돌아왔다」, 「고령화가족」 등)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6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년인물에 대한 형상화를 비교, 분석)
[현대소설 작가연구] 기억에 의존하는 (체험의 형상화를 지향하는) 작가 김소진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한국현대단편소설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