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무제의 전제 중앙집권의 강화
2. 동중서의 건의
3. 한대 유학 발전의 양상
4. 당조 중기의 유학 부흥 운동
4-1. 한유의 유학 사상 및 불교·도교를 배척하는 이론
4-2. 유종원의 유·불 통합사상
2. 동중서의 건의
3. 한대 유학 발전의 양상
4. 당조 중기의 유학 부흥 운동
4-1. 한유의 유학 사상 및 불교·도교를 배척하는 이론
4-2. 유종원의 유·불 통합사상
본문내용
문학을 도를 밝히는 수단으로 보았으며, 유교의 덕을 담지 않은 문장은 가치가 없다고 했다. 즉, 문장은 도를 밝히는 수단이어야 하며 자신이 고문을 배우고 쓰는 것도 옛 유가의 도를 배우고 밝히는데 있다고 했다. 고문운동의 동조자로서 정치적으로는 한유보다 진보적이었던 유종원(柳宗元)과 신진관료들의 호응으로 일세를 풍미했지만, 정치적 좌절로 운동은 종결되었다. 그러나 이 고문은 평이성과 참신한 내용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애용되었고, 특히 과거에서 유행했던 행권(行卷) 등으로 보편적인 문장체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한유의 고문운동은 정치적인 사상개혁운동으로는 실패했지만, 문체 개혁운동으로선 성공을 거둔 셈이다.
4-2. 유종원의 유·불 통합사상
한유와 함께 당대 유학 부흥의 중요한 역할을 한 유종원은, 문학론에 있어서는 한유와 기본적으로 일치하고 있지만 불교에 대해서는 한유와 의견을 달리했다. 그는 불학을 좋아했을뿐 아니라 깨달은 점도 있어, 불교를 배척하는 한유의 태도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기본장 전통적인 유학이론을 표준으로 삼아, 유교에 근간을 두면서도 불교, 노장사상 및 제자의 학설에도 취할 것이 있다고 보았다.
4-2. 유종원의 유·불 통합사상
한유와 함께 당대 유학 부흥의 중요한 역할을 한 유종원은, 문학론에 있어서는 한유와 기본적으로 일치하고 있지만 불교에 대해서는 한유와 의견을 달리했다. 그는 불학을 좋아했을뿐 아니라 깨달은 점도 있어, 불교를 배척하는 한유의 태도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기본장 전통적인 유학이론을 표준으로 삼아, 유교에 근간을 두면서도 불교, 노장사상 및 제자의 학설에도 취할 것이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