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데 오랜 세월 동안 어떻게 그 색을 간직할 수 있었을까. 역사스페셜에서는 그에 대한 의문을 풀어줬다. 고구려 고분 벽화들은 여름철 바깥과의 온도 차이로 인한 심한 결로(結露) 현상에도 불구하고 박락(剝落)되지 않는 것을 보면 안료(顔料)의 제조와 설채(設彩) 기법에 상당한 과학 기술이 뒷받침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연 광물 안료를 사용하여 그림이 물에 녹지 않도록 하였고, 그림을 그리기 전에 돌 위에 먼저 석회를 여러 번 개어 바르고 젖은 석회 위에다가 천연안료를 써서 자연안료로 접착제 없이 그렸다. 벽의 석회가 마르면서 안료가 석회 틈 사이로 스며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석회가 마르면서 안료도 함께 마치 종유 석처럼 단단하게 굳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프레스코 기법이라 한다. 1500년을 견딘 고분벽화의 비밀 은 바로 프레스코 기법에 담겨 있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 하여금 1500년 전의 고구려로 안내해주었다. 우리는 이 고분 벽화를 통해 1500년 전 고구려인들의 생활상은 물론 그들의 지혜와 특성까지 들여다 볼 수 있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는 그 어느 기록보다 생생한 고대사의 거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 하여금 1500년 전의 고구려로 안내해주었다. 우리는 이 고분 벽화를 통해 1500년 전 고구려인들의 생활상은 물론 그들의 지혜와 특성까지 들여다 볼 수 있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는 그 어느 기록보다 생생한 고대사의 거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고구려와 발해 7주간 감상문
미술사[선사미술,청동기 미술,암각화,토기혁명,고분]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대응방안
고구려 병기에 대한 분석
고구려토기 분석현황과 과제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노리는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건국과 발전과정
[백제시대][백제][삼국시대][백제사]백제시대(백제)의 역사, 백제시대(백제)의 언어, 백제시...
고구려 백제문화
동북공정의 진실 고구려사는 과연 중국사 일까
국사(신라 삼국통일,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국, 해상세력(호족), 청해진 설치, 고려 전기 귀족...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어디로 갔을까?를 읽고... (김용만 저)
삼국시대(고구려,백제,신라)의 조경
답사기 : '고구려의 혼' 아차산을 다녀와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