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인간학습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Of Mice and Men
2 Classical Behaviorism
3 Skinner\'s Operant Conditioning
4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theory
5 Systematic Forgetting
6 Rogers\' Humanistic Psychology
7 Types of learning
8 Transfer, Interference andOver-generalization
9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본문내용

연쇄 학습은 음운 순서와 통사적 문형─여기서는 여러 반응들이 배열되어 있다─의 학습에서 잘 드러난다.
④ 언어 연쇄 학습에서 언어 연쇄는 반드시 직선적이지는 않다. 생성 문법에서 보았듯이 문장 구조(언어 연쇄)는 위계적 일수도 있다.
⑤ 다양 변별 학습은 특히 2 언어 학습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 단어가 여러 개의 뜻이 있으므로 문맥에 맞게 그 중 하나를 택일해야 한다. 또는 모국어 언어 규칙을 2 언어상황에 맞게 고쳐 적용해야 한다.
⑥ 개념 학습 자체가 언어와 인지 間에 뗄 수 없는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언어 규칙들 자체가 습득되어야 할 개념들이다.
⑦ 원리 학습은 개념 학습(규칙 학습)을 확장하여 일종의 언어 체계(linguistic system)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원리 학습을 통해 익힌 언어체계 內에서는 규칙들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전체 구조 속에서 연결 포섭되어 있다.
⑧ 언어 학습 자체가 계속된 문제 해결 학습이다. 단어 의미 결정, 발화 해석, 언어적 규칙들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기존 정보와 지식을 저울질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언급된 모든 학습 유형의 창조적인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 Gagn 의 학습 유형을 통해 언어 학습은 여러 이론들 or 입장들이 골고루 포함된 학습활동임을 알 수 있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 특정 학습 유형을 바탕으로 교수 방법을 설정해야 할 것이며, 이 수준들 간에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Transfer, Interference andOver-generalization
언어 학습 과정에서 3가지 용어[Transfer(전이), Interference(간섭 요인), Over-generalization(규칙 확대 적용)]가 자주 등장한다.
전이(Transfer)란 이전에 학습된 지식 or 先 언어 활동들이 後 언어 학습에 옮겨지는 것을 말한다. 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란 先지식 or 언어활동이 後언어학습에 적용되어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하며,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란 先언어활동이 後언어학습을 힘들게 하는 경우 이를 곧 Interference(간섭 요인)이라 함 를 뜻한다.
이전까지 모국어는 2 언어 학습 간섭 요인)=Interference= Negative Transfer)으로만 인식되었지만, 모국어 습득도 하나의 선행 경험으로서 2 언어학습에 많은 도움(정적 전이 발생으로)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화(Generalization)는 인간 학습서 아주 중요하며 널리 사용되는 전략(strategy)이다. 일반화는 특정 사건들로부터 규칙 or 결론을 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usubel의 meaningful learning을 보면 일반화 원리가 아주 잘 설명된다. 즉, 각기 학습항목들은 보다 큰 범주의 항목군 下로 포섭( 일반화)된다는 것이다. 아동은 개념들의 학습과정에서 일반화 원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여러 동물들을 보고서 아동은 '동물'이라는 일반화된 개념을 습득하게 된다. 이 일반화 과정에서, '개'를 본 아동이 고양이를 보고도 '개'라고 부르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Over-generalization(규칙 확대 적용)이라 한다.
2 언어 학습 時, 아동들은 특정 규칙 or 항목들을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over-generalization을 범하게 된다. ex)미숙이(5살)─영어를 모국어로 습득 中 walked, opened, goed, singed 과거분사의 어미 -ed를 확대 적용시킴.
많은 이들이 2 언어 습득에는 간섭(Interference)과 규칙 확대 적용(Over-generalization)의 두 가지 과정밖에 없다고 믿어왔다. 그러나 이건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면, 첫째, Interference와 Over-generalization은 둘 다 transfer와 generalization의 부정적 측면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둘째, Interference와 Over-generalization은 다소 다른 언어학습 과정들이지만, 두 가지 모두 인간 학습의 근본적이고 상호 연관된 요소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Over-generalization은 Transfer 과정에서 Negative Transfer에 해당하며, Interference는 先지식을 後학습에 잘못 적용하는 generalization의 한 형태이다.
Inter-lingual P.T
(언어間(1언어-2언어))
Positive T
Transfer
intra-lingual P.T(한 언어 안에서(先학습-後학습)

Generalization
inter-lingual N.T
Over-generalization
Negative T

intra-lingual N.T
Interference
이제껏 외국어 교수-학습에서는 Inter-lingual N. T에 집중해왔다. 대조 분석(Contrastive Analysis)이 활발했다.
◈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은 일반화 과정(generalization process)의 양극단이라 할 수 있다. 귀납적 추론에서는 다량의 특정 사건들을 흡수하여 일반적인 규칙, 법칙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며, 연역적 추론은 일반화(=규칙) 下에서 특정 사건(=세부 사항)들을 끌어내는 추론 방법이다.
자연스런 언어 습득 환경에서(미숙이가 우리말 배운다. 한국에서) 아동은 주로 귀납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언어를 습득한다. 교실 환경에서는 대체로 연역적 방법으로 언어학습이 이루어진다.─Grammar Translation Method가 대표적인 연역적 추론 이용 교수법이다. 의사 소통적 2 언어습득에서는 귀납적 추론방법이 훨씬 낫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언어 습득에 대한 이런 이분법(dichotomy)적인 연역/귀납적 추론 방법의 비교에 대해 Peters는 한 가지 재미있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는 gestalt적 성격이 뚜렷하다. Peters에 의하면 아동의 언어학습은 전체적인 것(ex: 억양)을 먼저 학습하고 그 後 부분적인 것을 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