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재구성 방향
(1)단어의 분류
(2)품사의 특성
국어지식 영역 교수 학습 과정안 (품사의 종류 단원)
Ⅰ. 단원명 : 5. 품사의 종류
Ⅱ. 단원 개관
Ⅲ. 대단원 교수 학습 운영 방안
Ⅳ. 본시 교수-학습과정안
(1)단어의 분류
(2)품사의 특성
국어지식 영역 교수 학습 과정안 (품사의 종류 단원)
Ⅰ. 단원명 : 5. 품사의 종류
Ⅱ. 단원 개관
Ⅲ. 대단원 교수 학습 운영 방안
Ⅳ. 본시 교수-학습과정안
본문내용
체언과 용언이 무엇인지 알고, 그 특성을 안다.
전 개
(30분)
활동 1
명사
* [작은 활동 1]의 끝말잇기놀이를 반 학생들과 함께 수행한다.
T 1) 함께 끝말잇기 놀이를 해봅시다.
T 2) 자, 이 단어들 중에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어떤 것이 있나요?
T 3) 그럼 이 단어들 중에서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단어들은 어떤 것인가요?
T 4) 네, 지금까지 여러분이 말한 것이 ‘명사’입니다. 지금까지 활동을 생각해 보면서, 명사는 어떠한 단어를 말하는 것인지 말해봅시다.
* 선생님과 함께 끝말잇기 놀이를 수행한다.
S 1) 네
* 앞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단어 :
S 2)
S 3)
S 4) '명사'는 구체적인 대상이나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전개
(30분)
T 7) 위의 활동에 나온 단어들은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들로 동사이고, 아래 활동의 단어들은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로 형용사라고 해요.
* [작은 활동 3]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 [작은 활동3]을 확인한다.
T 8) 동사와 형용사를 이용해서 친구들이 서로 다양한 문장을 만들었네요.
T 9) 동사와 형용사의 공통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T 10) 그래요. 동사와 형용사는 형태가 변하는데, 이를 두고 동사와 형용사는 활용한다라고 말해요. 또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요. 이 두 가지 공통점을 가진 동사와 형용사를 묶어서 용언이라고 합니다.
* [작은 활동 4]를 안내한다.
T 11) 여러분, ‘웃다’는 동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T 12)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잘 모르겠지요? 그럼 이제 이렇게 동사와 형용사를 어떻게 구별하는 지 알아보도록 해요.
* [작은 활동 4]를 유도한다.
* [작은 활동 4]를 확인한다.
T 13) 이렇게 ‘-ㄴ다’를 붙일 수 있는 것은 동사, ‘-ㄴ다’를 붙일 수 없는 것은 형용사가 된답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 모두 동사와 형용사를 구별할 수 있겠죠?
* 정리를 읽게 한다.
* [작은 활동 3]을 수행한다.
* 자신의 활동을 자유롭게 이야기 한다.
S 9) 문장 제일 마지막에 쓰였어요.
형태가 바뀌는 단어입니다.
*듣는다.
* 대답한다.
S 11) 동사요
형용사요.
S 12) 네.
* [작은 활동4]를 수행한다.
* 듣는다.
S 13) 네.
* 정리를 읽는다.
정리
(7분)
학습 내용
정 리
학습지 배부
차시 예고
인사
* 학습내용을 점검한다.
T 1) 자, 오늘 배운 것을 정리
해 봅시다. 오늘은 체언과 용언에 대해서 배웠어요.
* 체언과 용언을 정리한다.
* 학습지를 배부한다.
T 1)오늘 수업한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생각하는 학생은 보충 학습지를 풀어보고, 다시 한번 정리해보세요. 그리고나서, 이해가 되었다면 심화 학습지를 풀어보도록 해요. 보충 학습지가 너무 쉽다싶은 학생은 바로 심화 학습지를 풀어도 되겠죠?
T 2) 다음시간에는 수식언과 관계언,독립언이 무엇인지, 이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 볼 거예요.
* 인사한다.
*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 대답한다.
S 1) 네
* 학습지를 받는다.
* 듣는다.
S 2) 네
* 인사한다.
학습지
과제학습 - 보충심화 학습지
** 중학교
5. 품사의 종류
학습단계
3학년 생활국어 학습지
(2)품사의 특성 - 체언, 용언
보충
1.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학습활동을 해보자.
단어를 기능과 형태, 그리고 의미에 따라 분류한 것을 품사(品詞)라 한다. 우리말에는 아홉 개의 품사가 있는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면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들을 묶어 ( )이라 한다. 이들은 문장에서 주성분으로 쓰이기 때문에 몸과 같이 중요하다 하여 체언(體言)이라 이름붙인다. 체언에는 세 개의 품사가 포함된다. 하나는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하는 ㉡대상을 대신하여 나타내는 것,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1) 다음 빈칸에 품사의 이름을 적고, 예를 더 찾아서 적어보자.
기호
품사
예
㉠
하늘, 지식, 아지랑이,
㉡
대명사
우리,
㉢
다섯, 하나, 열셋,
(2)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본문에서 찾아 적어보자.
2.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학습활동을 해보자.
우리말의 단어 중에 서술어로 쓰이는 단어들이 있다. 이들을 묶어, 행동이나 상태를 풀이하는 데 쓰이는 단어라 하여 ( )이라 한다. 용언에는 두 개의 품사가 포함되는데, 하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용언은 문장에서 쓰일 때에 그 형태가 변하는데, 이를 활용(活用)이라 한다.
(1) 다음 빈칸에 품사의 이름을 적고, 예를 더 찾아서 적어보자.
기호
품사
예
㉠
달리다, 먹다,
㉡
하얗다, 깜찍하다,
(2)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본문에서 찾아 적어보자.
** 중학교
5. 품사의 종류
학습단계
3학년 생활국어 학습지
(2)품사의 특성 - 체언, 용언
심화
1. 다음 글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을 해보자.
나는 어릴 적, 밤이 많이 나는 산골에서 자랐다. 거기에는 밤나무가 많이 있었고, 배밭도 하나 있었다. 여름이면 우리는 냇물에 들어가 멱도 감았다. 또, 고무신을 벗어 그것으로 송사리를 잡기도 했다. 하루는 내 친구 영철이와 함께 뒷산에 밤을 주으러 간 적이 있었는데, 밤송이가 내 머리 위에 갑자기 떨어져 엉엉 울고 집에 들어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아팠던 기억도 지금에 와선 너무나 소중하고 행복한 추억들이다.
(1) 체언을 모두 찾아 적고, 명사, 대명사, 수사로 분류하여라.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2) 용언을 모두 찾아 적고, 동사와 형용사로 분류하여라.
용언
동사
형용사
(3) (2)에서 찾은 동사와 형용사를 각각 두 개씩 골라 보기와 같이 여러 가지로 활용(活用)해보자.
▷보기
동사 : 자라다
형용사 : 어리다
나는 산골에서 자랐다.
네가 자란 마을은 어디니?
나무가 무럭무럭 자란다.
계속해서 무럭무럭 자라라.
내 동생은 나보다 한살이 어리다.
슬기는 두 살 어린 동생이 있다.
네 동생은 몇 살이나 어리니?
나는 어려서 산골에서 자랐다.
☆동사 :
☆형용사 :
전 개
(30분)
활동 1
명사
* [작은 활동 1]의 끝말잇기놀이를 반 학생들과 함께 수행한다.
T 1) 함께 끝말잇기 놀이를 해봅시다.
T 2) 자, 이 단어들 중에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어떤 것이 있나요?
T 3) 그럼 이 단어들 중에서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단어들은 어떤 것인가요?
T 4) 네, 지금까지 여러분이 말한 것이 ‘명사’입니다. 지금까지 활동을 생각해 보면서, 명사는 어떠한 단어를 말하는 것인지 말해봅시다.
* 선생님과 함께 끝말잇기 놀이를 수행한다.
S 1) 네
* 앞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단어 :
S 2)
S 3)
S 4) '명사'는 구체적인 대상이나 추상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전개
(30분)
T 7) 위의 활동에 나온 단어들은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들로 동사이고, 아래 활동의 단어들은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로 형용사라고 해요.
* [작은 활동 3]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 [작은 활동3]을 확인한다.
T 8) 동사와 형용사를 이용해서 친구들이 서로 다양한 문장을 만들었네요.
T 9) 동사와 형용사의 공통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T 10) 그래요. 동사와 형용사는 형태가 변하는데, 이를 두고 동사와 형용사는 활용한다라고 말해요. 또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요. 이 두 가지 공통점을 가진 동사와 형용사를 묶어서 용언이라고 합니다.
* [작은 활동 4]를 안내한다.
T 11) 여러분, ‘웃다’는 동사일까요? 형용사일까요?
T 12)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잘 모르겠지요? 그럼 이제 이렇게 동사와 형용사를 어떻게 구별하는 지 알아보도록 해요.
* [작은 활동 4]를 유도한다.
* [작은 활동 4]를 확인한다.
T 13) 이렇게 ‘-ㄴ다’를 붙일 수 있는 것은 동사, ‘-ㄴ다’를 붙일 수 없는 것은 형용사가 된답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 모두 동사와 형용사를 구별할 수 있겠죠?
* 정리를 읽게 한다.
* [작은 활동 3]을 수행한다.
* 자신의 활동을 자유롭게 이야기 한다.
S 9) 문장 제일 마지막에 쓰였어요.
형태가 바뀌는 단어입니다.
*듣는다.
* 대답한다.
S 11) 동사요
형용사요.
S 12) 네.
* [작은 활동4]를 수행한다.
* 듣는다.
S 13) 네.
* 정리를 읽는다.
정리
(7분)
학습 내용
정 리
학습지 배부
차시 예고
인사
* 학습내용을 점검한다.
T 1) 자, 오늘 배운 것을 정리
해 봅시다. 오늘은 체언과 용언에 대해서 배웠어요.
* 체언과 용언을 정리한다.
* 학습지를 배부한다.
T 1)오늘 수업한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생각하는 학생은 보충 학습지를 풀어보고, 다시 한번 정리해보세요. 그리고나서, 이해가 되었다면 심화 학습지를 풀어보도록 해요. 보충 학습지가 너무 쉽다싶은 학생은 바로 심화 학습지를 풀어도 되겠죠?
T 2) 다음시간에는 수식언과 관계언,독립언이 무엇인지, 이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 볼 거예요.
* 인사한다.
* 학습내용을 정리한다.
* 대답한다.
S 1) 네
* 학습지를 받는다.
* 듣는다.
S 2) 네
* 인사한다.
학습지
과제학습 - 보충심화 학습지
** 중학교
5. 품사의 종류
학습단계
3학년 생활국어 학습지
(2)품사의 특성 - 체언, 용언
보충
1.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학습활동을 해보자.
단어를 기능과 형태, 그리고 의미에 따라 분류한 것을 품사(品詞)라 한다. 우리말에는 아홉 개의 품사가 있는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면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들을 묶어 ( )이라 한다. 이들은 문장에서 주성분으로 쓰이기 때문에 몸과 같이 중요하다 하여 체언(體言)이라 이름붙인다. 체언에는 세 개의 품사가 포함된다. 하나는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하는 ㉡대상을 대신하여 나타내는 것,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1) 다음 빈칸에 품사의 이름을 적고, 예를 더 찾아서 적어보자.
기호
품사
예
㉠
하늘, 지식, 아지랑이,
㉡
대명사
우리,
㉢
다섯, 하나, 열셋,
(2)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본문에서 찾아 적어보자.
2.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학습활동을 해보자.
우리말의 단어 중에 서술어로 쓰이는 단어들이 있다. 이들을 묶어, 행동이나 상태를 풀이하는 데 쓰이는 단어라 하여 ( )이라 한다. 용언에는 두 개의 품사가 포함되는데, 하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용언은 문장에서 쓰일 때에 그 형태가 변하는데, 이를 활용(活用)이라 한다.
(1) 다음 빈칸에 품사의 이름을 적고, 예를 더 찾아서 적어보자.
기호
품사
예
㉠
달리다, 먹다,
㉡
하얗다, 깜찍하다,
(2)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을 본문에서 찾아 적어보자.
** 중학교
5. 품사의 종류
학습단계
3학년 생활국어 학습지
(2)품사의 특성 - 체언, 용언
심화
1. 다음 글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을 해보자.
나는 어릴 적, 밤이 많이 나는 산골에서 자랐다. 거기에는 밤나무가 많이 있었고, 배밭도 하나 있었다. 여름이면 우리는 냇물에 들어가 멱도 감았다. 또, 고무신을 벗어 그것으로 송사리를 잡기도 했다. 하루는 내 친구 영철이와 함께 뒷산에 밤을 주으러 간 적이 있었는데, 밤송이가 내 머리 위에 갑자기 떨어져 엉엉 울고 집에 들어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아팠던 기억도 지금에 와선 너무나 소중하고 행복한 추억들이다.
(1) 체언을 모두 찾아 적고, 명사, 대명사, 수사로 분류하여라.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2) 용언을 모두 찾아 적고, 동사와 형용사로 분류하여라.
용언
동사
형용사
(3) (2)에서 찾은 동사와 형용사를 각각 두 개씩 골라 보기와 같이 여러 가지로 활용(活用)해보자.
▷보기
동사 : 자라다
형용사 : 어리다
나는 산골에서 자랐다.
네가 자란 마을은 어디니?
나무가 무럭무럭 자란다.
계속해서 무럭무럭 자라라.
내 동생은 나보다 한살이 어리다.
슬기는 두 살 어린 동생이 있다.
네 동생은 몇 살이나 어리니?
나는 어려서 산골에서 자랐다.
☆동사 :
☆형용사 :
추천자료
역사과 수업지도안
윤리과 수업지도안 및 강의내용
과학 교수학습지도안
미술 수업지도안 < 표현 - 판화로 표현하기 >
종교과목 교수학습지도안
균형잡기 지도안(세안) - 매트 및 평균대
컴퓨터멀티미어 수업지도안
직업기능 지도안(세안)
[수업지도안][5. 내용상세화 中 ‘창의적으로 반응하기’6-2-첫째마당 <마음의 결을 따라>[창의...
홍길동전 학습지도안
[수업지도안] 교과서 분석 3-(3) 호수
<역할놀이 학습지도안> 활동명 : 동물원 놀이 (역할)
<여름 학습지도안> 생활 주제 : 계절- 여름 | 소주제 : 여름철 건강과 위생 (만 4세)
[학습지도안] 소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