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대조분석 가설
2. FROM THE CAH TO CLI(CROSS-LINGUISTIC INFLUENCE)
대조분석 가설에서 언어간 영향론까지
*MARKEDNESS AND UNIVERSAL GRAMMAR-유표와 보편문법
3. LEARNER LANGUAGE-학습자 언어
4. ERROR ANALYSIS-오류분석(p216-p227)
①Mistakes and Errors-실수와 오류
②Errors in Error Analysis-오류분석에서의 오류
③Identifying and Describing Errors-오류의 식별과 기술
④Sources of Error-오류의 원인
ⅰ)Interlingual Transfer-언어간 전이
ⅱ)Intralingual Transfer-언어내 전이
ⅲ)Context of Learning-학습의 장
ⅳ)communication Strategies-의사소통 전략
5. STAGES OF LEARNER LANGUAGE DEVELOPMENT
-학습자 언어 발달 단계
6. VARIABILITY IN LEARNER LANGUAGE-학습자 언어의 변이성
7. FOSSILIZATION-화석화
8. FROM-FOCUSED INSTRUCTION-언어 형태 중심 지도법
9. ERROR TREATMENT-오류처리
10. In the Classroom-A Model for Error Treatment
-교실상황-오류처리 모델
2. FROM THE CAH TO CLI(CROSS-LINGUISTIC INFLUENCE)
대조분석 가설에서 언어간 영향론까지
*MARKEDNESS AND UNIVERSAL GRAMMAR-유표와 보편문법
3. LEARNER LANGUAGE-학습자 언어
4. ERROR ANALYSIS-오류분석(p216-p227)
①Mistakes and Errors-실수와 오류
②Errors in Error Analysis-오류분석에서의 오류
③Identifying and Describing Errors-오류의 식별과 기술
④Sources of Error-오류의 원인
ⅰ)Interlingual Transfer-언어간 전이
ⅱ)Intralingual Transfer-언어내 전이
ⅲ)Context of Learning-학습의 장
ⅳ)communication Strategies-의사소통 전략
5. STAGES OF LEARNER LANGUAGE DEVELOPMENT
-학습자 언어 발달 단계
6. VARIABILITY IN LEARNER LANGUAGE-학습자 언어의 변이성
7. FOSSILIZATION-화석화
8. FROM-FOCUSED INSTRUCTION-언어 형태 중심 지도법
9. ERROR TREATMENT-오류처리
10. In the Classroom-A Model for Error Treatment
-교실상황-오류처리 모델
본문내용
데르탈'식 연습은 확실히 비합리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ⅱ. FFI가 의사소통을 위한 연습을 하기 전에 혹은 하고 난 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일까? Tomasello와 Herron은 의사소통적인 과업을 완수한 후에 오류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ⅲ. 쉽게 설명될 수 있는 간단한 문법규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명시적 지도가 보다 더 적합하며, 보다 더 복잡한 규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암시적인 지도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ⅳ. FFI는 특정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학습자의 특성, 학습 유형 및 전략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들이 있다.
9.오류처리
FFI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논점 중의 하나는 교사가 학생들의 오류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느냐의 문제이다. 대답을 찾기 위해 Vigil과 Oller(1976)의 피드백 모델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여기서 가장 유용한 시사점은 인지적 피드백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최적의 상태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지나친 개입이나 교정, 잘못된 언어 형태 형성에 대한 지나친 명시적 관심과 같은 너무 많은 부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은 종종 학습자의 의사소통 시도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긍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이 지나치면 학습자의 오류는 강화되게 된다. 교사는 긍정적인 인지적 피드백과 부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의 적절한 균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야 한다.
Hendrickson은 총체적 오류와 국부적 오류의 차이를 교사들이 식별해야 한다고 조언하였다. 국부적 오류는 대개 수정해 줄 필요가 없다고 권고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오류가 있더라도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명확하며 오류를 수정해 준다면 오히려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체적 오류는 수정되지 않을 경우 메시지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어떤 방식으로든 수정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학습자의 오류를 고치기 위한 피드백을 너무 많이 제공하여 그들의 발화를 막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류처리에 관한 선택 사항을 몇 가지 방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7가지의 '기본선택 사항'과 각 선택 사항내에서 8가지 '가능한 특징'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류이다. 학습자를 불안한 발화를 하는 존재로 인식해서는 안되며 교사는 학습자를 존중하고, 그들의 의사소통 시도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 더불어 절적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점점 더 발전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교실상황:오류처리 모델
교사는 학습자들이 잘못 말한 발화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다음 10가지요소들을 차례로 따져봐야 할 것이다.
1)어휘, 음운 등의 측면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2)항상은 아니지만 종종 이런 오류가 어디에서 생겼는지를 밝힌다.
3)오류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오류를 무시 혹은 처리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한다.
4)오류가 국부적이라서 발화가 해석 가능한지 혹은 총체적인 것이어서 해석할 수 없는 것인지를 재빨리 가려내는 일이다.
5)언어 수행상의 일시적인 실수인지 아니면 언어 능력의 오류인지를 추측한다.
6)발화한 학습자에 대해 아는 것을 바탕으로 학습자 언어 자아의 허약함, 불안감 수준, 자신감, 그리고 수정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정도에 대한 일련의 순간적인 판단을 빠르게 해야 한다.
7)그리고 난 후에 100만 분의 1초에, 아주 순식간에 학습자의 언어 발달 단계를 알아내야 하고 어떤 단계이냐에 따라 오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8)무엇이 교육적 초점을 두고 있는가를 고려하게 되며 이는 오류 처리를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9)오류가 나타난 의사소통의 문맥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한참 말을 하는 중이었는가, 어떻게 쉽게 대화에 끼어 들 수 있는가 등이 고려된다.
10)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로서 어떤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가가 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유방임자적 성향인가? 아님 간섭사적 성향이 강한가? 교사의 성향에 어울리는 오류처리를 행해야 할 것이다.
오류를 처리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하기로 결심한다면, 이미 앞서 말한바와 같이 수많은 선택사항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언제, 누가, 어떻게 오류를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며 각각의 결정 사항들의 가능한 범주 안에서 해당 범주를 또한 정해야 한다. 학습자가 순식간에 잘못된 발화를 말하고 난 후에 교사는 오류 처리 과정의 일부로서 많은 관찰과 평가를 해야 한다.
ⅱ. FFI가 의사소통을 위한 연습을 하기 전에 혹은 하고 난 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일까? Tomasello와 Herron은 의사소통적인 과업을 완수한 후에 오류 교정을 위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ⅲ. 쉽게 설명될 수 있는 간단한 문법규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명시적 지도가 보다 더 적합하며, 보다 더 복잡한 규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암시적인 지도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ⅳ. FFI는 특정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학습자의 특성, 학습 유형 및 전략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들이 있다.
9.오류처리
FFI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논점 중의 하나는 교사가 학생들의 오류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느냐의 문제이다. 대답을 찾기 위해 Vigil과 Oller(1976)의 피드백 모델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여기서 가장 유용한 시사점은 인지적 피드백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최적의 상태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지나친 개입이나 교정, 잘못된 언어 형태 형성에 대한 지나친 명시적 관심과 같은 너무 많은 부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은 종종 학습자의 의사소통 시도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긍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이 지나치면 학습자의 오류는 강화되게 된다. 교사는 긍정적인 인지적 피드백과 부정적인 인지적 피드백의 적절한 균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야 한다.
Hendrickson은 총체적 오류와 국부적 오류의 차이를 교사들이 식별해야 한다고 조언하였다. 국부적 오류는 대개 수정해 줄 필요가 없다고 권고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오류가 있더라도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명확하며 오류를 수정해 준다면 오히려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체적 오류는 수정되지 않을 경우 메시지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어떤 방식으로든 수정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학습자의 오류를 고치기 위한 피드백을 너무 많이 제공하여 그들의 발화를 막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류처리에 관한 선택 사항을 몇 가지 방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7가지의 '기본선택 사항'과 각 선택 사항내에서 8가지 '가능한 특징'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류이다. 학습자를 불안한 발화를 하는 존재로 인식해서는 안되며 교사는 학습자를 존중하고, 그들의 의사소통 시도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 더불어 절적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점점 더 발전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교실상황:오류처리 모델
교사는 학습자들이 잘못 말한 발화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다음 10가지요소들을 차례로 따져봐야 할 것이다.
1)어휘, 음운 등의 측면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2)항상은 아니지만 종종 이런 오류가 어디에서 생겼는지를 밝힌다.
3)오류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오류를 무시 혹은 처리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한다.
4)오류가 국부적이라서 발화가 해석 가능한지 혹은 총체적인 것이어서 해석할 수 없는 것인지를 재빨리 가려내는 일이다.
5)언어 수행상의 일시적인 실수인지 아니면 언어 능력의 오류인지를 추측한다.
6)발화한 학습자에 대해 아는 것을 바탕으로 학습자 언어 자아의 허약함, 불안감 수준, 자신감, 그리고 수정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정도에 대한 일련의 순간적인 판단을 빠르게 해야 한다.
7)그리고 난 후에 100만 분의 1초에, 아주 순식간에 학습자의 언어 발달 단계를 알아내야 하고 어떤 단계이냐에 따라 오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8)무엇이 교육적 초점을 두고 있는가를 고려하게 되며 이는 오류 처리를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9)오류가 나타난 의사소통의 문맥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한참 말을 하는 중이었는가, 어떻게 쉽게 대화에 끼어 들 수 있는가 등이 고려된다.
10)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로서 어떤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가가 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유방임자적 성향인가? 아님 간섭사적 성향이 강한가? 교사의 성향에 어울리는 오류처리를 행해야 할 것이다.
오류를 처리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하기로 결심한다면, 이미 앞서 말한바와 같이 수많은 선택사항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언제, 누가, 어떻게 오류를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며 각각의 결정 사항들의 가능한 범주 안에서 해당 범주를 또한 정해야 한다. 학습자가 순식간에 잘못된 발화를 말하고 난 후에 교사는 오류 처리 과정의 일부로서 많은 관찰과 평가를 해야 한다.
추천자료
조기유학이 학생들의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기의_건강에_영향을_미칠_수_있는_생활지도의_방법으로_영양교육_프로그램을_자신의_언...
동화책을 활용한 문어지도가 영유아의 언어발달 및 문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TV, 인터넷)의 발달과 확산이 가져온 세계화가 스포츠마케팅에 미친 영향과 그에 따른...
대중매체가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 및...
[아동복지론] 아동에게 애착의 중요성, 아동의 발달영역별(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 등)이나...
[아동문학] 우리나라 전래동요에 대한 이해(전래동요의 정의와 분류 및 음악적 구조, 전래동...
[유아기 발달특성] 유아기 인지발달, 기억발달, 언어발달, 다중지능이론, 유아기 언어발달에 ...
[아동발달] 아동기 성장발달(아동발달단계, 아동발달이론, 아동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
오늘날의프랑스=1. 중기 프랑스어와 근대 프랑스어 2. 르네상스가 프랑스어 발달에 미친 영향...
[외국어습득론]인지적 혹은 정의적인 요인을 정의하고, 제2 언어를 배우려고 했을 때 학습자 ...
[아동문학교육]아동의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회정서발달, 도덕성발달, 성발달에 아동문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