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영화와 영화 산업에 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1895년 12월 28일, 영화 101년의 시작
2. 프랑스에서 영화는 언제나 예술과 연합한다.
3. 초현실주의 이후부터 누벨바그 직전까지
4. 영화광들이 세상과 싸우는 방법:1954년부터 1980년까지
5. 소위 '누벨 이마쥬'라 불리는 시대 (1980 - ? )

영화산업화시대(1936년-1945년)
가. 프랑스영화의 전성기
나. 영국의 기록영화 전통
다. 영화검열과 미국 영화산업 변혁

네오리얼리즘 유행시대(1946년-1955년)
가. 네오리얼리즘
나. 헐리우드의 리얼리즘
다. 아시아영화

본문내용

들이 보여줄 수 없는 것을 암시하려고 노력한다. 성적인 것에 대한 규제가 큰 만큼 섹스는
폭력으로 대체하게 된다. 그 결과 미국의 인기있는 장르는 폭력과 범죄로 감싸게 된 것이다.
네오리얼리즘 유행시대(1946년-1955년)
가. 네오리얼리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이탈리아에서는 보다 생생하고 감동적인 영화들이 출현한다. 르누아르 사상에 큰 영향을 입고 귀국한 L. Visconti가 연출한 "Ossessione"(1942)이 전문잡지 에 기고되면서 네오리얼리즘이란 용어가 소개된다. 혹자는 1943년 Umbe rto Barbaro 교수가 <시네마>에서 사용한 것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네오리얼리즘을 전후의 리얼리즘이라고 명명하듯이 Roberto Rossellini의 "Open City "(1945)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 사조는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과 전쟁의 좌절감과 굴욕감에서 벗어나게 되는 탈출감으로 충만하게 된다. 로셀리니의 "Paisa"(1947), .Desica의
"Shoeshine"(1946)과 "The Bicycle"(1948) 그리고 기록주의적 스타일인 L.Zampa의 "Live in
Peace"(1946)등은 그당시 보아온 줄거리 위주의 표현양식과는 현저히 다른 새로운 영화기법을 제시한 것이다.
네오리얼리즘의 특질은 카메라와 현실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있는 그대로의 일상적인 현실성, 나아가서 기록적인 새로운 미학을 창조한다.
전쟁의 파괴, 살상, 레지스탕스의 투쟁, 빈곤, 실업, 패전등 혼란의 소용돌이에서 눈앞에 벌어진 현실 속으로 카메라는 파고들어 그 현장의 진실을 찾아내려고 노력한다. 연출 면에서도 시간적으로 긴 쇼트와 깊은 공간, 중심을 갖지 않은 구도(즉 주인공이 민중)를
구상하는 특색이 있다. 드라마 전개상 스토리를 거부하고 뉴스영화 스타일의 에피소드 전개와 작가의 현실에 대한 정치적·사상적 입장과 관련된 영화적 표현을 추구한다.
카메라가 드라마의 틀을 파괴하기 위해 작가의 주체적 참여를 허용하는 것이다.
네오리얼리즘의 주류는 데시카의 "Umberto D"(1952)를 마지막으로 10년이 못되지만 그 이후의 새로운 이탈리아 영화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초점을 맞춰 네오리얼리즘을 수용한다. 현대인의 의식방황이라든가 고독한 영혼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세밀하게 묘사하는 새로운 영화정신이 새세대의 감독군에 이어진다.
나. 헐리우드의 리얼리즘
미국영화에서 리얼리즘적 접근은 사회문제를 주제로 삼는 로 대변된다. 1950년대 초까지 계속된 이 경향은 철저한 반공주의인 MacCarthyism의 정치적 반발로 중지된다. <문제영화>는 현실적인 문제들의 어떤 점을 파악하기 시작했을 때 폭로성향이 강하데 드러났다.
재향군인이 도시생활에 재적응하는 과정을 그린 William Wyler의 "The Best Year of Our Lives"(1946), 미국내의 반유태주의를 그린 Elia Kazan의 "Gentleman's Agreement"(1947), 미국정당정치의 기능을 다룬 카프라의 "State of Union"(1949), 전쟁에 참전한 부상병들의
고통스러운 이야기를 그린 Fred Zinnemann의 "The Man"(1950)등의 작품은 사실을 토대로 한 그들 내부의 이야기다.
미국사회에 존재하는 불의와 불공정을 너무 지나치게 묘사한 <문제영화>가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는 무렵의 1952년은 헐리우드의 대변혁이 시작된 해이다.
검열로부터의 자유와 탈 스튜디오 제작화 그리고 일관적 제작지배의 횡포로부터의 자유는 메이저의 몰락과 새로운 독립영화사의 성장을 가능케 했다. 동시에 텔레 비전의 활성화는 영화관객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했고 헐리우드는 새로운 영화 메커니즘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입체화면과 와이드스크린, 스테레오사운드와 보다 실용적이고 값싼 컬러(이스트만)가 등장했다. 때를 맞추어 해외에서의 미국영화제작과 해외영화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기 시작한 것은 다른 상업처럼 다국적 기업에 상응하는 형태로 미국 영화산업을 변혁시켰다.
다. 아시아영화
동양영화에 대한 서구인들의 지식은 세계영화제를 통해 얻어진다. 그런 의미에서 구로사와 아끼라의 "라쇼몽"(1950)이 베니스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획득한 것은 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를 대변하게 된다. 이어서 1956년 깐느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획득한 사티야지트 레이의 "Pater Panchali"(1955)는 네오리얼리즘을 수용한 민족주의 영화를 통해 인도를 알린다. 이후 1975년 홍콩의 King Hu가 감독한 "A Touch of Zen"이 깐느에서 대상을 탈 때까지 일본과 인도영화만이 아시아영화를 대표하게 되며 그것은 네오리얼리즘적 경향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보여주는 작품에 국한되었다.
일본의 영화산업은 몇 개의 주요 제작회사가 배급과 극장망을 지배하는 미국 영화산업과 유사하다. 일본영화는 아끼라 작품을 제외하고 보통 서구영화보다 속도가 느렸다. 양식이나 연기에 있어서 연극전통에 의존하고 있는 대부분의 일본영화는 시각적인 특징이 돋보인다는 점에서 네오리얼리즘과 거리가 있다. 구로사와 외에 미조구찌 겐지와 오즈 야스지로는 해외에서 지속적인 평가를 받아온 1950년대 감독으로, 그 전통을 이어받은 이찌가와 곤, 고바야시 마사끼, 오시마 나기사는 사회 비판적 요소를 다루고 있다.
인도의 경우는 영화산업이 하나의 거대한 산업으로서 존재하고 있으며, 매년 제작되는 영화 편수에 있어서 일본 다음이다. 영화제작은 봄베이, 마드레스에서는 힌두어로 제작하고 캘커타에서는 뱅갈어로 영화를 만드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내용 면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신화와 판에 박힌 연애 이야기에 기초하여 오락영화로서 한계를 갖고 있다. 레이는 인도의 네오 리얼리스트도 뱅갈의 플라허티도 아니다. 그는 인도의 문화적·사회적 전통과
그 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뿐이다. 그는 인도영화의 상업적인 주류와 관련하여 , 를 개척한다. Mrinal Sen과 Ritwik Ghatak 등은 새로운 인도영화 부흥에 참여한 감독들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4.0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