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문학의 등장과 그 구실
1 한자의 수용과 활용
2 나라의 위업을 알리는 문학
3 국내외의 정치문서
노래의 새로운 모습
1 고구려 노래
2. 백제 노래
3 신라노래, 이른 시기의 모습
4 향가, 사뇌가
1 한자의 수용과 활용
2 나라의 위업을 알리는 문학
3 국내외의 정치문서
노래의 새로운 모습
1 고구려 노래
2. 백제 노래
3 신라노래, 이른 시기의 모습
4 향가, 사뇌가
본문내용
향가가 어떤 노래인가 분명히 규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향가란 말이 언제 어떤 뜻으로 쓰였는가 알아보자면 <삼국유사>의 <월명사 도솔가> 대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덕왕이 월명사를 불러 노래를 지으라고 하자, 자기는 국선지도에 속해 있으므로 다만 향가만 깨쳤고 범성은 모른다고 했다. 범성이란 범패이거나 찬불가이다. 향가는 그런것들과는 대립적인 위치에서는 우리말 노래이고, 국선지도가 지어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향가는 특히 사설이 아주 소중했기 때문에 향찰로 표기했는데 이것은 곧 사설이 무언가 신기한 데가 있고, 주술적인 힘을 지니기도 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향가에 유래담을 반드시 곁들인 것이다. 어쨌든 향가는 우리말로 된 최초의 기록문학이고, 또한 개인창작시라고 할 수 있다. 즉 향가는 불교의식 가요 및 한시와 구별되는, 특정 기능은 없는 우리말 노래이다. 또 향찰로 표기되고 사설이 아주 중요시되고 개인작으로 인정되는 서정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향가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10구체 사뇌가이다. 원래 향가는 4, 8, 10구체로 나누어진다고 해왔다. 여기서 4구체라 함은 곧 두 줄 형식이기도 하고 두 줄 형식이기도 하다.( 두 줄씩 묶어서) 그렇다면 8구체는 넉 줄 형식이고, 10구체는 다섯 줄 형식이다. 이런 두 줄 형식은 민요의 기본 형식인데 다섯 줄 형식은 민요와 다른 차원에 속한다. 다섯 줄은 민요에 있기 어려운 차원에 속하고, 또한 맨 처음 한 토막은 흔히 생략해 서두의 긴장을 조성한다. 그리고 마지막 줄의 첫 토막은 「아아」, 「아으」라고 해독될 수 있는 감탄구여서 여섯 줄로 넘어가지 않고 다섯 줄로 마무리를 하면서 넉 줄까지 전개되어 온 시상을 비약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런 10구체 향가를 사뇌가라고 하는데 이 사뇌가는 곧 귀족문화의 세련된 품격을 갖춘 갈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예사 사람은 쉽사리 경험할 수 없는 정신세계를 설정해서 이상을 추구하는 숭고한 자세가 사뇌가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이런 사뇌가는 사회적이며 정신적인 분열을 조화롭게 응결시키는 데서 시상의 긴장과 함께 사상의 지표를 찾았다 할 수 있으면서 때로는 어느 한쪽 극단을 택해서 개인적인 원망을 나타낸 작품도 있고, 불교적인 가치관에 내맡겨진 것도 있다. 실제로도 10구체 향가를 보면 <찬기파랑가>같이 화랑을 찬미한 것이거나 <제망매가>같이 불교적 색채가 드러나 있는 작품이 대다수이다.
특히 이런 10구체 향가를 사뇌가라고 하는데 이 사뇌가는 곧 귀족문화의 세련된 품격을 갖춘 갈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예사 사람은 쉽사리 경험할 수 없는 정신세계를 설정해서 이상을 추구하는 숭고한 자세가 사뇌가를 필요로 했던 것이다. 이런 사뇌가는 사회적이며 정신적인 분열을 조화롭게 응결시키는 데서 시상의 긴장과 함께 사상의 지표를 찾았다 할 수 있으면서 때로는 어느 한쪽 극단을 택해서 개인적인 원망을 나타낸 작품도 있고, 불교적인 가치관에 내맡겨진 것도 있다. 실제로도 10구체 향가를 보면 <찬기파랑가>같이 화랑을 찬미한 것이거나 <제망매가>같이 불교적 색채가 드러나 있는 작품이 대다수이다.
추천자료
(일본문학의흐름)일본근대문학의 각 주제에 따른 정리-낭만주의문학, 자연주의문학, 시라카바...
[일본고전문학 물어][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군기물어][금석물어집]일본고전문학 물어의 개...
[문학비평][신비평][한국문학]문학비평 신비평의 역사, 문학비평 신비평의 개념, 문학비평 신...
[문학비평][문학비평의 개념][문학비평의 유형][문학비평의 방법][문학비평의 방향][문학][비...
[중국문학][개혁문학][민간문학][강호시파][구정량][도연명]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한국문학][문학][해외번역][해방문학][리얼리즘][투쟁사상]한국문학의 갈래, 한국문학의 시...
[중국문학][민간문학][소수민족문학][육유][몽롱시]중국문학의 변천, 중국문학과 되돌아보기...
[일본문학][전후문학][천류][낭만주의]일본문학과 전후문학, 일본문학과 천류, 일본문학과 무...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의의,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특성,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
[시가문학][시가문학 역사][시가문학 수용이론][시가문학 서술관점][시가문학 연구동향][시가...
[서평] 갈리아 전기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_ 율리우스 카이사르 저
[유아문학] <유아의 발달특성과 유아문학> 인지발달과 유아문학, 언어발달과 유아문학, 사회·...
[유아문학] <유아 문학의 역사 (세계의 아동문학)> 19세기 이전의 아동문학, 19세기 아동문학...
현대비평론 - 오상원의 유예 - 역사전기비평 형식주의비평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