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p.도 있다
▶Op-Amp.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은 가장 큰 결점이며 광대역의 교류증폭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어떤 주파수 이상에서는 정궤환이 되어 발진하는 경우가 생긴다
▶Op-Amp.를 교류증폭기로 사용하려면 위상보정이 필요
▶709형의 경우 내부에 위상보상용 C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위상을 보정해야만 한다
▶709형은 외부주파수 보상형
▶741형의 경우 내부에 C가 있어 내부주파수 보상형이라 한다
▶간단한 L형 R-C회로망 주파수 특성 고찰
▶-6dB/oct의 기울기를 갖는 주파수특성
▶ω=ωo일 때 3dB감소된 주파수는 주파수 특성을 표시하는데 편리한 값
▶일반 증폭기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이란 이값을 의미
▶그림과 같은 Op-Amp.에 등가식으로 R-C 회로가 있는 경우 Op-Amp.의 open loop시 이득을 Ao, 전달함수는 T라 표시하면
▶위상차 가 무한대가 되어도 θ는 -2/π이상의 값을 가질수 없다
▶전입력으로 된경우의 회로를 피드백하여도 정피드백이 되는 경우 발생될수 없으므로 발진하지 않는다
▶주파수 특성이 -12dB/oct가 되는 경우 는 발진할 가능성 내재
▶내부 보상이 되어 있지 않은 Op-Amp.를 교류증폭기로 사용할 경우 규격집에 따라 위상보상을 시켜야 한다
Op-Amp.종류와 발진
▶Op-Amp.는 네거티브의 피드백을 걸어 사용
▶부가한 정현파 입력과 출력에서 180˚벗어나면 포지티브의 피드백을 건 것과 같은 결과로 발진을 일으킨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위상 지연은 커진다
▶위상지연에 의해 발진이 일어나는가의 여부는 사용범위에서 위상이 -180˚ 초과 여부에 달림
▶부하 회로가 순저항이면 원칙적으로 발진은 일어나지 않는다
▶내부 보상형은 부하 상품이 순저항일때는 확실히 발진하지 않으나 외부 위상지연이 있으면 역시 발진
▶내부 보상형은 게인을 고의로 억제함으로써 발진 조건에서 도피, 따라서 게인을 작게해야 한다
▶외부 보상형은 발진 방지 회로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
▶외부보상형 Op-Amp.는 발진 방지를 위한 단자를 가진다
▶위상보상이 지나치면 Op-Amp.는 이득을 손해
▶발진 방지를 최대한으로 해서 C의 값은 작게 한다
▶블럭도
▶위상이 180˚ 엇갈릴 때
▶위상 엇갈림에 의한 발진
▶배율이 1배, 10일때는 발진조건
▶100배 이상일 경우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B : 이득 배드폭
x : 위상이 -180˚를 넘는점
▶Op-Amp.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은 가장 큰 결점이며 광대역의 교류증폭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어떤 주파수 이상에서는 정궤환이 되어 발진하는 경우가 생긴다
▶Op-Amp.를 교류증폭기로 사용하려면 위상보정이 필요
▶709형의 경우 내부에 위상보상용 C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위상을 보정해야만 한다
▶709형은 외부주파수 보상형
▶741형의 경우 내부에 C가 있어 내부주파수 보상형이라 한다
▶간단한 L형 R-C회로망 주파수 특성 고찰
▶-6dB/oct의 기울기를 갖는 주파수특성
▶ω=ωo일 때 3dB감소된 주파수는 주파수 특성을 표시하는데 편리한 값
▶일반 증폭기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이란 이값을 의미
▶그림과 같은 Op-Amp.에 등가식으로 R-C 회로가 있는 경우 Op-Amp.의 open loop시 이득을 Ao, 전달함수는 T라 표시하면
▶위상차 가 무한대가 되어도 θ는 -2/π이상의 값을 가질수 없다
▶전입력으로 된경우의 회로를 피드백하여도 정피드백이 되는 경우 발생될수 없으므로 발진하지 않는다
▶주파수 특성이 -12dB/oct가 되는 경우 는 발진할 가능성 내재
▶내부 보상이 되어 있지 않은 Op-Amp.를 교류증폭기로 사용할 경우 규격집에 따라 위상보상을 시켜야 한다
Op-Amp.종류와 발진
▶Op-Amp.는 네거티브의 피드백을 걸어 사용
▶부가한 정현파 입력과 출력에서 180˚벗어나면 포지티브의 피드백을 건 것과 같은 결과로 발진을 일으킨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위상 지연은 커진다
▶위상지연에 의해 발진이 일어나는가의 여부는 사용범위에서 위상이 -180˚ 초과 여부에 달림
▶부하 회로가 순저항이면 원칙적으로 발진은 일어나지 않는다
▶내부 보상형은 부하 상품이 순저항일때는 확실히 발진하지 않으나 외부 위상지연이 있으면 역시 발진
▶내부 보상형은 게인을 고의로 억제함으로써 발진 조건에서 도피, 따라서 게인을 작게해야 한다
▶외부 보상형은 발진 방지 회로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
▶외부보상형 Op-Amp.는 발진 방지를 위한 단자를 가진다
▶위상보상이 지나치면 Op-Amp.는 이득을 손해
▶발진 방지를 최대한으로 해서 C의 값은 작게 한다
▶블럭도
▶위상이 180˚ 엇갈릴 때
▶위상 엇갈림에 의한 발진
▶배율이 1배, 10일때는 발진조건
▶100배 이상일 경우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B : 이득 배드폭
x : 위상이 -180˚를 넘는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