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부입력임피던스
★목적
★회로도
★내부입력임피던스 정의
★실험 및 결과
★고찰
2. Slew Rate
★목적
★회로도
★Slew Rate란?
★실험 및 결과
★고찰
3. 동상제거비
★목적
★회로도
★동상제거비란?
★실험 및 결과
★고찰
★목적
★회로도
★내부입력임피던스 정의
★실험 및 결과
★고찰
2. Slew Rate
★목적
★회로도
★Slew Rate란?
★실험 및 결과
★고찰
3. 동상제거비
★목적
★회로도
★동상제거비란?
★실험 및 결과
★고찰
본문내용
mp의 특성중 하나이고 입력전압의 크기가 크고 주파수가 변화가 클수록 slew rate에 의하여 op-amp 성능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 p-p 출력전압 △V = 5.57V
♬ 스위칭 시간 △t = 8μs
♬ Slew Rate =
♬ LM 307 op-amp의 경우 (LM 318 op-amp는 실습실에 없어요)
△V = 4V
△t = 4μs
♬ 고찰
이 실험은 입력 신호대 출력신호의 반응을 나타내는 slew rate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이론적으로 생각해 보면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가 바로 나타날 것 같지만, 약간의 시간delay가 있었다. 이것은 op-amp소자내부에 저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특성은 이상적이지 않은 op-amp의 특성이고 또한 op-amp마다 각각 다른 값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op-amp를 이용한 회로를 설계할 때에 이러한 특성 등을 잘 고려해야 한다. LM741의 데이터 시트에 나온 Slew rate값은 0.7V/μs인데 실험으로 측정한 값은 0.696V/μs 였으므로 거의 데이터시트 값과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실험5. 동상 제거비
♬ 목적
741C op-amp의 동상제거비 CMRR을 측정한다.
♬ 회로도
♬ 동상제거비의 의미
CMRR (Common Mode Rejection Ratio)란 연산증폭기는 차동 증폭기이다. 여기서 차동이란 차이란 의미이며, 연산증폭기의 두 입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의 차이만을 증폭한다는 의미이다. 즉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인 경우에는 증폭기입력에 인가된 전압의 차이가 아무리 적더라도 이를 증폭해 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연산증폭기는 매우 작은 차이 전압을 구분한 후에 이를 증폭해 낼 수 없다. 그리고 그 차이 전압을 구분해 내는 능력은 연산증폭기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인가된 두 전압의 차이를 구분해 낸 후, 이를 증폭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가늠 할 수 있게 해 주는 척도가 곧 동상모드 제거비(CMRR)이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동상모드 제거비는 무한대이다. 용어에서 동상의 의미는 두 입력신호가 공통으로 가진 신호란 뜻이다. 즉 입력에 인가되는 두 신호를 표현할 때, 각각의 신호는 두 신호가 가진 공통신호와 차이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표현된 신호 중에서 연산증폭기가 증폭해 내는 신호는 차이신호이다.
♬ 동상 입출력전압 Vi(cm) = 2V(rms)
Vo(cm) = 10.4mV(rms)
♬ 동상이득 Acm =
♬ 차동증폭이득 Ad =
동상 제거비 CMRR =
♬ 고찰
이번 실험은 op-amp의 동상 제거비를 실험하는 것이었다. 이상적인 op-amp는 입력임피던스가 ∞이고 동상입력에 대한 전압이 0V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그 값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 전에 offset전압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LM741의 CMRR값이 데이터 시트 값에는 min70- typ90 으로 주어진 것을 보았을 때
실험 시 측정했던 값인 65.67dB은 약간의 오차가 생겼지만 비교적 비슷하게 나왔다.
♪ 데이터 시트값 첨부
♬ p-p 출력전압 △V = 5.57V
♬ 스위칭 시간 △t = 8μs
♬ Slew Rate =
♬ LM 307 op-amp의 경우 (LM 318 op-amp는 실습실에 없어요)
△V = 4V
△t = 4μs
♬ 고찰
이 실험은 입력 신호대 출력신호의 반응을 나타내는 slew rate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이론적으로 생각해 보면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가 바로 나타날 것 같지만, 약간의 시간delay가 있었다. 이것은 op-amp소자내부에 저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특성은 이상적이지 않은 op-amp의 특성이고 또한 op-amp마다 각각 다른 값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op-amp를 이용한 회로를 설계할 때에 이러한 특성 등을 잘 고려해야 한다. LM741의 데이터 시트에 나온 Slew rate값은 0.7V/μs인데 실험으로 측정한 값은 0.696V/μs 였으므로 거의 데이터시트 값과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실험5. 동상 제거비
♬ 목적
741C op-amp의 동상제거비 CMRR을 측정한다.
♬ 회로도
♬ 동상제거비의 의미
CMRR (Common Mode Rejection Ratio)란 연산증폭기는 차동 증폭기이다. 여기서 차동이란 차이란 의미이며, 연산증폭기의 두 입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의 차이만을 증폭한다는 의미이다. 즉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인 경우에는 증폭기입력에 인가된 전압의 차이가 아무리 적더라도 이를 증폭해 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연산증폭기는 매우 작은 차이 전압을 구분한 후에 이를 증폭해 낼 수 없다. 그리고 그 차이 전압을 구분해 내는 능력은 연산증폭기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인가된 두 전압의 차이를 구분해 낸 후, 이를 증폭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가늠 할 수 있게 해 주는 척도가 곧 동상모드 제거비(CMRR)이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동상모드 제거비는 무한대이다. 용어에서 동상의 의미는 두 입력신호가 공통으로 가진 신호란 뜻이다. 즉 입력에 인가되는 두 신호를 표현할 때, 각각의 신호는 두 신호가 가진 공통신호와 차이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표현된 신호 중에서 연산증폭기가 증폭해 내는 신호는 차이신호이다.
♬ 동상 입출력전압 Vi(cm) = 2V(rms)
Vo(cm) = 10.4mV(rms)
♬ 동상이득 Acm =
♬ 차동증폭이득 Ad =
동상 제거비 CMRR =
♬ 고찰
이번 실험은 op-amp의 동상 제거비를 실험하는 것이었다. 이상적인 op-amp는 입력임피던스가 ∞이고 동상입력에 대한 전압이 0V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그 값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 전에 offset전압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LM741의 CMRR값이 데이터 시트 값에는 min70- typ90 으로 주어진 것을 보았을 때
실험 시 측정했던 값인 65.67dB은 약간의 오차가 생겼지만 비교적 비슷하게 나왔다.
♪ 데이터 시트값 첨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