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가정혼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 가정혼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혼례의 의의

■ 혼례의 절차

■ 폐백의식

■ 혼례복

본문내용

흙에서 생겨나고 자란다는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오행설에 따르면 황색은 흙을 상징하고, 홍색은 불을 상징한다. 빨강치마 노랑저고리 위에 활옷을 입고, 화관(花冠)을 쓰는 것이 바른 예법이다
2. 신랑혼례의상
신랑은 친영을 위하여 사모관대로 장속한다. 사모관대라 사모를 쓰고 단령포를 입은 다음 각대를 띠고 목화를 신은 옷차림을 말한다.
사모관대는 조선조 벼슬아치의 관복중 상복에 속하는 것으로서 초기에는 당선관에 한했으나 이후 당하관에게도 이의 착용이 허용되었다. 이에따라 단령초의 색과 혁대의 장식 재료에 의하여 품계를 가리었고, 또한 흉배에도 도안의 구별이 있었다.
이러한 옷차림은 신랑의 나이에 이미 벼슬기에 들기는 어려웠을 것이므로 당시 혼인을 인륜의 대사라 하여 비록 가장 낮은 품계의 것이긴 하더라도 특별이 배려하여 예우한 것이라 할 것이다.따라서 단령은 녹포였고 여기에 단학의 흉배를 가식하였으며 흑각대를 띠었다.
이 차림은 서민층의 혼례 때에도 허용되었다. 근래 혼례제도가 각양 각색이 되면서부터 신랑의 혼례복도 이에 따라 변하기 시작하여 구습을 그대로 따르기도 하고 양복으로 대신하여 예복을 입거나 평상복을 단정하게 입어도 무방하게 되었다.

키워드

가정,   혼례,   가정혼례,   전통혼례,   전통,   폐백,   절착,   혼례복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1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