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 인도아랴어의 계통과 힌디어
Ⅲ. 시기별 언어 특성 개괄
Ⅳ. 산스끄리뜨어의 명사
Ⅴ. 중세어의 명사
Ⅵ. 힌디어의 명사
Ⅶ. 맺기
Ⅱ. 인도아랴어의 계통과 힌디어
Ⅲ. 시기별 언어 특성 개괄
Ⅳ. 산스끄리뜨어의 명사
Ⅴ. 중세어의 명사
Ⅵ. 힌디어의 명사
Ⅶ. 맺기
본문내용
별어휘로부터 발전한 한 예로 처소격후치사 m '에'를 들어볼 수 있다. 이 후치사는 산스끄리뜨어의 madhye '중간에'에서 majjhe>majjhi>m ~h >mah >mah >ma 의 과정을 거쳐 현재의 m 로 발전하였다. 현재의 형태는 12세기부터 갖춘 것으로 보인다. 이 후치사의 출처에 대하여는 학자들 사이에 비교적 통일된 견해가 이루어져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후치사들도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행위주격 ne를 비롯하여 목적격의 ko, 소유격의 k 가 현재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1세기 경으로 보이며 도구격/탈격의 se는 13세기, 그리고 수혜자격을 나타내는 ke lie는 18세기경으로 추정된다.
Ⅶ. 맺기
인도아랴어의 명사변화체계를 고대어에서 현대의 힌디어까지 간략히 살펴보았다. 고대인도아랴어의 종합적 언어체계가 현대힌디어의 분석적 언어체계로 발전하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고대어 명사의 성은 남성, 여성, 중성의 구별이 있었으며 중세에 중성이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중성의 형식은 아쁘브란시어 시기의 일정기간까지 쓰였다. 현대 힌디어에서는 단지 남성과 여성의 구별만이 존재한다.
고대어 명사의 수는 단수, 쌍수, 복수의 구별이 있었으나 다음 단계인 빨리어 시기부터 쌍수의 구별이 없어졌다. 힌디어에서도 단수와 복수의 구별만이 남아 있다.
위와 같은 변화와 더불어 주목할 점은 중세어 시기의 음성변화가 격 체계에 끼친 영향이다. 무엇보다 단어 끝의 자음이 사라짐으로 인해 고대어의 복잡했던 명사유형이 중세어부터 간단해지기 시작하였다. 산스끄리뜨어의 경우 명사변화의 유형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의 8가지 유형과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의 6가지 유형 외에 불규칙변화를 하는 명사들이 있다. 이러한 명사변화의 유형이 중세어에서는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들만이 유형으로 남았으며 그나마 3-4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시기에도 일부 자음으로 끝나는 유형과 기타의 모음유형들이 있었으나 3-4가지 주요 유형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모든 명사변화는 -a어간의 명사변화패턴을 지향하였다. 힌디어에서는 단어 끝의 -a모음이 사라짐으로 인해 다시 자음이 살아났지만 명사변화의 유형은 간단하고 그나마 명사변화도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격변화가 아니고 후치사의 유무에 따른 사격과 직격의 변화이다.
음성변화의 결과로 어간유형이 줄어들면서 명사변화 유형이 축소됨과 더불어 성과 수의 축소 그리고 명사변화패턴의 유추를 통한 모방 등을 바탕으로 격접사들의 단순화와 규칙화가 이루어졌다. 고대어의 8격에 따른 명사변화가 중세어에서는 5격으로 그리고 중세 말기에는 3격으로 축소되었다. 산스끄리뜨어의 경우 논리적으로는 3개의 수와 8개의 격에 따라 24개의 격형식이 요구되며 -a로 끝나는 단일한 명사의 경우를 보면 19개의 다른 접사형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변화유형도 많아 <도표4>에서 제시된 것처럼 수많은 접사형식들을 헤아려야 한다. 중세어에서는 쌍수가 사라짐으로 인해 논리적으로 격형식은 2개의 수와 8개의 격에 따라 16개의 격형식이 요구되며 -a로 끝나는 단일한 명사의 경우를 보면 쁘라끄리뜨어는 12개, 아쁘브란시어 초기에는 10개 그리고 말기에는 6개의 다른 접사들 찾아볼 수 있다. 중세에 접사의 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든 것은 격들의 통합에 따른 것이다. 주격과 대격이 통합되어 직격으로 발전하였다. 여격과 소유격의 통합형태에 탈격이 참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도구격과 처소격이 통합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사격으로 발전하였다. 힌디어에서는 어순과 후치사로 고대어의 격접사들이 나타냈던 격관계를 표현하게 되었다.y
참고문헌
Bahri, Hardev. 1965. Hind : Udbhav, Vik s Aur R p. Ilahabad, Kitab Mahal.
Bhavuk, Krishan. 2001. Bh sh -Vigy n Aur Hind Bh sh . New Delhi, Pepsu Book Depo.
Bubenik, Vit. 1996.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iddle Indo-Aryan Dialects. Delhi, Motilal Banarsidass.
Deshpande, Madhav M. 1993. Sanskrit and Prakrit: Sociolinguistic Issues. Motilal Banarsidass.
Geiger, Wilhelm. 1916. P li Literature and Language. (English Translation by Batakrishna Ghosh.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1996[1943]).
Hazra, Kanai Lal. 1994[1932]. P li: Language and Literature. New Delhi, D. K. Printworld.
Kale, M.R. 1977[1894]. A Higher Sanskrit Grammar. Delhi, Motilal Banarsidass.
Masica, Colin P. 1991. The Indo-Aryan Langu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schel, R. 1900. A Grammar of the Pr krit Languages.(English Translation by Subhandra Jha. Delhi, Motilal Banarsidass. 1981).
Tagare, Ganesh Vasudev. 1987[1948]. Historical Grammar of Apabhransha. Delhi, Motilal Banarsidass.
Tiwari, Bholanath. 1987. Hind Bh sh k Itih s. New Delhi, Prakashan.
Vasu, Shrisha Chandra. 1891. The A dhy y of P ini. Delhi, Motilal Banarsidass.
Woolner, Alfred C. 1986. Introduction to Prakrit. Delhi, Motilal Banarsidass.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후치사들도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행위주격 ne를 비롯하여 목적격의 ko, 소유격의 k 가 현재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1세기 경으로 보이며 도구격/탈격의 se는 13세기, 그리고 수혜자격을 나타내는 ke lie는 18세기경으로 추정된다.
Ⅶ. 맺기
인도아랴어의 명사변화체계를 고대어에서 현대의 힌디어까지 간략히 살펴보았다. 고대인도아랴어의 종합적 언어체계가 현대힌디어의 분석적 언어체계로 발전하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고대어 명사의 성은 남성, 여성, 중성의 구별이 있었으며 중세에 중성이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중성의 형식은 아쁘브란시어 시기의 일정기간까지 쓰였다. 현대 힌디어에서는 단지 남성과 여성의 구별만이 존재한다.
고대어 명사의 수는 단수, 쌍수, 복수의 구별이 있었으나 다음 단계인 빨리어 시기부터 쌍수의 구별이 없어졌다. 힌디어에서도 단수와 복수의 구별만이 남아 있다.
위와 같은 변화와 더불어 주목할 점은 중세어 시기의 음성변화가 격 체계에 끼친 영향이다. 무엇보다 단어 끝의 자음이 사라짐으로 인해 고대어의 복잡했던 명사유형이 중세어부터 간단해지기 시작하였다. 산스끄리뜨어의 경우 명사변화의 유형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의 8가지 유형과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의 6가지 유형 외에 불규칙변화를 하는 명사들이 있다. 이러한 명사변화의 유형이 중세어에서는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들만이 유형으로 남았으며 그나마 3-4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시기에도 일부 자음으로 끝나는 유형과 기타의 모음유형들이 있었으나 3-4가지 주요 유형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모든 명사변화는 -a어간의 명사변화패턴을 지향하였다. 힌디어에서는 단어 끝의 -a모음이 사라짐으로 인해 다시 자음이 살아났지만 명사변화의 유형은 간단하고 그나마 명사변화도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격변화가 아니고 후치사의 유무에 따른 사격과 직격의 변화이다.
음성변화의 결과로 어간유형이 줄어들면서 명사변화 유형이 축소됨과 더불어 성과 수의 축소 그리고 명사변화패턴의 유추를 통한 모방 등을 바탕으로 격접사들의 단순화와 규칙화가 이루어졌다. 고대어의 8격에 따른 명사변화가 중세어에서는 5격으로 그리고 중세 말기에는 3격으로 축소되었다. 산스끄리뜨어의 경우 논리적으로는 3개의 수와 8개의 격에 따라 24개의 격형식이 요구되며 -a로 끝나는 단일한 명사의 경우를 보면 19개의 다른 접사형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변화유형도 많아 <도표4>에서 제시된 것처럼 수많은 접사형식들을 헤아려야 한다. 중세어에서는 쌍수가 사라짐으로 인해 논리적으로 격형식은 2개의 수와 8개의 격에 따라 16개의 격형식이 요구되며 -a로 끝나는 단일한 명사의 경우를 보면 쁘라끄리뜨어는 12개, 아쁘브란시어 초기에는 10개 그리고 말기에는 6개의 다른 접사들 찾아볼 수 있다. 중세에 접사의 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든 것은 격들의 통합에 따른 것이다. 주격과 대격이 통합되어 직격으로 발전하였다. 여격과 소유격의 통합형태에 탈격이 참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도구격과 처소격이 통합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사격으로 발전하였다. 힌디어에서는 어순과 후치사로 고대어의 격접사들이 나타냈던 격관계를 표현하게 되었다.y
참고문헌
Bahri, Hardev. 1965. Hind : Udbhav, Vik s Aur R p. Ilahabad, Kitab Mahal.
Bhavuk, Krishan. 2001. Bh sh -Vigy n Aur Hind Bh sh . New Delhi, Pepsu Book Depo.
Bubenik, Vit. 1996.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iddle Indo-Aryan Dialects. Delhi, Motilal Banarsidass.
Deshpande, Madhav M. 1993. Sanskrit and Prakrit: Sociolinguistic Issues. Motilal Banarsidass.
Geiger, Wilhelm. 1916. P li Literature and Language. (English Translation by Batakrishna Ghosh.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1996[1943]).
Hazra, Kanai Lal. 1994[1932]. P li: Language and Literature. New Delhi, D. K. Printworld.
Kale, M.R. 1977[1894]. A Higher Sanskrit Grammar. Delhi, Motilal Banarsidass.
Masica, Colin P. 1991. The Indo-Aryan Langu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ischel, R. 1900. A Grammar of the Pr krit Languages.(English Translation by Subhandra Jha. Delhi, Motilal Banarsidass. 1981).
Tagare, Ganesh Vasudev. 1987[1948]. Historical Grammar of Apabhransha. Delhi, Motilal Banarsidass.
Tiwari, Bholanath. 1987. Hind Bh sh k Itih s. New Delhi, Prakashan.
Vasu, Shrisha Chandra. 1891. The A dhy y of P ini. Delhi, Motilal Banarsidass.
Woolner, Alfred C. 1986. Introduction to Prakrit. Delhi, Motilal Banarsidas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