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기적 소개
2. 개념과 방법의 개관
3. 정상적 발달의 단계
-정상적 자폐단계
-정상적 공생단계
-분리-개별화단계
-재접근단계
-개성의 공고화와 정서적 대상항상성의 시작
4. 실제적 적용
5. 평가
2. 개념과 방법의 개관
3. 정상적 발달의 단계
-정상적 자폐단계
-정상적 공생단계
-분리-개별화단계
-재접근단계
-개성의 공고화와 정서적 대상항상성의 시작
4. 실제적 적용
5. 평가
본문내용
린 공간을 통해 달리고 그의 어머니를 거만하게 무시하고 그의 몸의 미끄러짐을 통해 눈에 보이는 공간에서 더 흥미로운 어머니를 발견한다. 그는 보이지 않는 윤곽으로 몸을 형성하고 우주와 하나라고 다시 상상한다.
자연의 설정에서 아동에 대한 몇 가지 연구는 아동들이 자연과 함께 동일한 감각을 개발한다고 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시골의 New England마을에서 Hart는 3-12세의 아이들이 앉아 있거나 시냇물과 연못 옆에서 무릎을 꿇거나 백일몽과 같은 상태로 물을 조용히 빤히 보고 있는 것을 좋아하고 그들 자신과 물 사이의 유동의 접촉을 느끼는 것처럼 보인다고 관찰을 하였다. Berkeley, California에서는 지역사회가 아스팔트 0.5acre를 사용하여 연못의 자연적인 지역, 숲 지역, 초원을 대신하였고 아이들의 관계와 소유물의 새로운 감각을 묘사하였다.자연적인 지역은 하나의 큰 행복한 가족의 일부처럼 그들에게 집의 느낌을 만들어 주었다."혼자되는 것은 지금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
어른의 자서전 연구는 유사한 결과를 제시한다. Chawla는 가장 일상적인 자연과 함께 유년시절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고 말했던 그런 작가들은 세계에서 지속되는 고정된 감각을 설명했다고 발견했다. 아프리카의 미국장관인 Howard Thurman는 그가 숲과 바다에서 위안을 얻고 있는 고독한 소년이라고 말했다. 때때로 그가 방에 해안을 따라 걸을 때 바다는 고요했다.
나는 모래, 바다, 별, 밤 모든 감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의 폐는 인생의 모든 것을 통해 숨을 쉰다. 나는 모든 것을 감싸고 있는 관대한 리듬을 깨닫고 있으며 나는 그것의 일부이며 그것은 나의 일부이다.
Thurman도 자연과 함께 한 초기의 감정들을 이야기했다.
바다가 오직 기억으로 남아 있을 때 몇 년 후 내가 겪어야 하는 고통에 대항하는 어떤 최우선의 면제 방법을 나에게 주었다. 나의 삶과 자연의 존재 속에 자리잡았다고 느낀 그 감각은 유지되었다.
이러한 근본성과 동일성은 William Wordsworth의 위대한 노래가사에 또한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아이들처럼 자연의 절묘한 조화를 잃어 가는 것을 슬퍼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용기를 낼수 있다고 말했다.
아무 것도 시간을 되돌릴 수 없지만
초지의 빛남 또는 꽃의 영광에
우리는 슬퍼하지 않네 오히려
뒤에 남아 있는 것에서 강인해지네
이전에 있었던 틀림없는
근본적인 공감에서
이 근본적인 공감, 근본적인 감정은 어머니가 생의 초기에 몇 달 제공하고 그녀의 능력을 통해 아이가 독립함에 따라 강화를 위해 계속한다고 말러는 생각했던 것이다. Thurman과 Wordsworth는 성장하는 아동 또한 자연에 속하는 감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물론 오늘날 우리는 철저하게 컴퓨터의 기술 세계, TV,비디오, 합성물질들 속에서 아동들을 둘러싸고 있어 아동들은 전혀 그런 감정들을 결코 발달시킬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가 역점을 두어야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동일성처럼 자연과 동일한 초기의 감각은 세계 안에서 혼자라고 느끼는 것에 대항하여 자라나는 아동을 견고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Ⅰ> 연구에서 다룬 핵심 이론
◑ 적응 : 아동은 생의 시작부터 어머니-유아라는 이중적 단위의 모체에서 형성되고 발달해간다. 아동에게 적응하고자 하는 어머니의 욕구와 능력보다는 아동의 적응능력과 적응에 대한 욕구가 훨씬 더 크다. 아동은 신선하고 유연한 상태인데 반해 어머니는 방어유형들과 함께 성격이 확고하게 때로는 완고하게 굳어져 있다.
◑ 대상관계 : 대상관계는 초기의 자아발달과 자기애로부터 나오고, 리비도의 발달과 평행을 이루며 나타난다. 진정한 대상관계를 확립하는 전제조건으로는 인지-정서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자각하는 것과, 그러한 자각을 강화시키는 자아기구의 역할(ex: 운동성, 기억, 지각) 및 좀 더 복잡한 자아기능(ex: 현실검증능력)의 역할이 등이 있다. 말러는 대상관계가 어떻게 분리-개별화의 성취와 나란히 유아기적 공생기나 일차적 자기애로부터 발달해 나오는지를 보여주고, 어떻게 자아기능과 이차적인 자기애가 자기애적인 모체 안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어머니와의 대상관계의 모체 안에서 자라나는가를 보여주었다.
<참고 Ⅱ> 말러의 발달단계
⑴ 정상적 자폐기(출생~1개월) : 신생아는 수면과 유사한 상태이다.
⑵ 정상적 공생기(1~5개월) : 분리의 기전이 가장 첫번째 형태로 나타난다. 사회적 미소가 특징적이다.
⑶ 분리-개별화기의 첫번째 시기인 분화(5~10개월) :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으로 자기와 다른 대상을 구분하게 되고 초기에 자신의 내부에만 관심을 갖다가 이 시기부터는 좀더 외부로 향하게 된다. 8개월 정도 되면 엄마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하지만 아직은 단기적이고 엄마로부터 시각적 촉각적 확인을 받는다. 낯가림이 가장 심하게 된다.
⑷ 분리-개별화기의 두번째 시기인 연습기(10~16개월) : 초기에 아이는 기고 기어 오를 수 있어 엄마로부터 신체적으로 분리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지만 아직은 안전을 위해 어머니의 존재가 필요하다. 나중에 자유롭고 똑바로 설 수 있는 신체 기능을 획득함으로써 자기애 (narcissism)가 최대로 이르며 분리 불안이 특징적이다.
⑸ 분리-개별화기의 세번째 시기인 재접근기(16~24개월) : 아이의 새로운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어머니에 대한 필요화 욕구가 증가하며 엄마의 사랑이 가장 필요하다. 친밀성의 요구와 거리감의 요구가 교대로 나타난다. 이 시기에 부모의 태도가 중요한데 아이가 독립적이 되는 것을 어머니가 거부하게 되면 아이는 자율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위험하게 느낄 것이다. 이 단계에서 자아의 구조화가 일어나며 이 시기에 엄마와 아이가 적정한 범위 내에서 친밀성과 거리감을 왔다갔다하는 경우에 아이는 점차적으로 자율성을 발달시키고 그것은 엄마와의 관계를 잃을 것이라는 두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
⑹ 분리-개별화기의 네번째 시기인 개성의 공고화와 대상 항상성(24~36개월) : 확실한 개인화에 도달한다. 대상 항상성, 정동의 안정, 이전에 분리되었던 선과 악의 경험간의 합성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자연의 설정에서 아동에 대한 몇 가지 연구는 아동들이 자연과 함께 동일한 감각을 개발한다고 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시골의 New England마을에서 Hart는 3-12세의 아이들이 앉아 있거나 시냇물과 연못 옆에서 무릎을 꿇거나 백일몽과 같은 상태로 물을 조용히 빤히 보고 있는 것을 좋아하고 그들 자신과 물 사이의 유동의 접촉을 느끼는 것처럼 보인다고 관찰을 하였다. Berkeley, California에서는 지역사회가 아스팔트 0.5acre를 사용하여 연못의 자연적인 지역, 숲 지역, 초원을 대신하였고 아이들의 관계와 소유물의 새로운 감각을 묘사하였다.자연적인 지역은 하나의 큰 행복한 가족의 일부처럼 그들에게 집의 느낌을 만들어 주었다."혼자되는 것은 지금 나를 괴롭히지 않는다."
어른의 자서전 연구는 유사한 결과를 제시한다. Chawla는 가장 일상적인 자연과 함께 유년시절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고 말했던 그런 작가들은 세계에서 지속되는 고정된 감각을 설명했다고 발견했다. 아프리카의 미국장관인 Howard Thurman는 그가 숲과 바다에서 위안을 얻고 있는 고독한 소년이라고 말했다. 때때로 그가 방에 해안을 따라 걸을 때 바다는 고요했다.
나는 모래, 바다, 별, 밤 모든 감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의 폐는 인생의 모든 것을 통해 숨을 쉰다. 나는 모든 것을 감싸고 있는 관대한 리듬을 깨닫고 있으며 나는 그것의 일부이며 그것은 나의 일부이다.
Thurman도 자연과 함께 한 초기의 감정들을 이야기했다.
바다가 오직 기억으로 남아 있을 때 몇 년 후 내가 겪어야 하는 고통에 대항하는 어떤 최우선의 면제 방법을 나에게 주었다. 나의 삶과 자연의 존재 속에 자리잡았다고 느낀 그 감각은 유지되었다.
이러한 근본성과 동일성은 William Wordsworth의 위대한 노래가사에 또한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아이들처럼 자연의 절묘한 조화를 잃어 가는 것을 슬퍼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용기를 낼수 있다고 말했다.
아무 것도 시간을 되돌릴 수 없지만
초지의 빛남 또는 꽃의 영광에
우리는 슬퍼하지 않네 오히려
뒤에 남아 있는 것에서 강인해지네
이전에 있었던 틀림없는
근본적인 공감에서
이 근본적인 공감, 근본적인 감정은 어머니가 생의 초기에 몇 달 제공하고 그녀의 능력을 통해 아이가 독립함에 따라 강화를 위해 계속한다고 말러는 생각했던 것이다. Thurman과 Wordsworth는 성장하는 아동 또한 자연에 속하는 감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물론 오늘날 우리는 철저하게 컴퓨터의 기술 세계, TV,비디오, 합성물질들 속에서 아동들을 둘러싸고 있어 아동들은 전혀 그런 감정들을 결코 발달시킬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가 역점을 두어야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동일성처럼 자연과 동일한 초기의 감각은 세계 안에서 혼자라고 느끼는 것에 대항하여 자라나는 아동을 견고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Ⅰ> 연구에서 다룬 핵심 이론
◑ 적응 : 아동은 생의 시작부터 어머니-유아라는 이중적 단위의 모체에서 형성되고 발달해간다. 아동에게 적응하고자 하는 어머니의 욕구와 능력보다는 아동의 적응능력과 적응에 대한 욕구가 훨씬 더 크다. 아동은 신선하고 유연한 상태인데 반해 어머니는 방어유형들과 함께 성격이 확고하게 때로는 완고하게 굳어져 있다.
◑ 대상관계 : 대상관계는 초기의 자아발달과 자기애로부터 나오고, 리비도의 발달과 평행을 이루며 나타난다. 진정한 대상관계를 확립하는 전제조건으로는 인지-정서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자각하는 것과, 그러한 자각을 강화시키는 자아기구의 역할(ex: 운동성, 기억, 지각) 및 좀 더 복잡한 자아기능(ex: 현실검증능력)의 역할이 등이 있다. 말러는 대상관계가 어떻게 분리-개별화의 성취와 나란히 유아기적 공생기나 일차적 자기애로부터 발달해 나오는지를 보여주고, 어떻게 자아기능과 이차적인 자기애가 자기애적인 모체 안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어머니와의 대상관계의 모체 안에서 자라나는가를 보여주었다.
<참고 Ⅱ> 말러의 발달단계
⑴ 정상적 자폐기(출생~1개월) : 신생아는 수면과 유사한 상태이다.
⑵ 정상적 공생기(1~5개월) : 분리의 기전이 가장 첫번째 형태로 나타난다. 사회적 미소가 특징적이다.
⑶ 분리-개별화기의 첫번째 시기인 분화(5~10개월) :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으로 자기와 다른 대상을 구분하게 되고 초기에 자신의 내부에만 관심을 갖다가 이 시기부터는 좀더 외부로 향하게 된다. 8개월 정도 되면 엄마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하지만 아직은 단기적이고 엄마로부터 시각적 촉각적 확인을 받는다. 낯가림이 가장 심하게 된다.
⑷ 분리-개별화기의 두번째 시기인 연습기(10~16개월) : 초기에 아이는 기고 기어 오를 수 있어 엄마로부터 신체적으로 분리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지만 아직은 안전을 위해 어머니의 존재가 필요하다. 나중에 자유롭고 똑바로 설 수 있는 신체 기능을 획득함으로써 자기애 (narcissism)가 최대로 이르며 분리 불안이 특징적이다.
⑸ 분리-개별화기의 세번째 시기인 재접근기(16~24개월) : 아이의 새로운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어머니에 대한 필요화 욕구가 증가하며 엄마의 사랑이 가장 필요하다. 친밀성의 요구와 거리감의 요구가 교대로 나타난다. 이 시기에 부모의 태도가 중요한데 아이가 독립적이 되는 것을 어머니가 거부하게 되면 아이는 자율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위험하게 느낄 것이다. 이 단계에서 자아의 구조화가 일어나며 이 시기에 엄마와 아이가 적정한 범위 내에서 친밀성과 거리감을 왔다갔다하는 경우에 아이는 점차적으로 자율성을 발달시키고 그것은 엄마와의 관계를 잃을 것이라는 두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
⑹ 분리-개별화기의 네번째 시기인 개성의 공고화와 대상 항상성(24~36개월) : 확실한 개인화에 도달한다. 대상 항상성, 정동의 안정, 이전에 분리되었던 선과 악의 경험간의 합성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