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2
II. 십자군전쟁의 원인과 조직 2
1. 원정의 원인 2
2. 십자군의 조직 3
III. 십자군전쟁의 경과 3
1. 제 1 차 원정 3
2. 제 2 차 원정 4
3. 제 3 차 원정 5
4. 제 4 차 원정 5
5. 제 5 차에서 제 8 차까지 6
IV. 십자군 전쟁의 결과와 영향 6
V. 십자군전쟁이 현대에 미친 영향 7
1. 이슬람의 근본주의자들의 테러 7
2. 이슬람을 향한 선교 9
VI. 결 론 9
참고도서 11
II. 십자군전쟁의 원인과 조직 2
1. 원정의 원인 2
2. 십자군의 조직 3
III. 십자군전쟁의 경과 3
1. 제 1 차 원정 3
2. 제 2 차 원정 4
3. 제 3 차 원정 5
4. 제 4 차 원정 5
5. 제 5 차에서 제 8 차까지 6
IV. 십자군 전쟁의 결과와 영향 6
V. 십자군전쟁이 현대에 미친 영향 7
1. 이슬람의 근본주의자들의 테러 7
2. 이슬람을 향한 선교 9
VI. 결 론 9
참고도서 11
본문내용
협 속에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이슬람교 사상의 전파로 구체화됐다. 이슬람교 사이에 이념에 따른 또 다른 갈등이 있지만 서구 기독교문명에 대한 거부감엔 일치하고 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본질적으로 다른 교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 등 정치적 대립 등으로 인해 화해보다는 갈등을 빚을 요소가 많다는 것이 선교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테러까지 벌어지는 양측간의 분쟁은 소수의 과격파에 의해 조정되는 경우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말없는 다수의 온건 평화주의자들을 모두 싸잡아 전범화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SIM WEC 인터콥 중동선교회 이슬람연구소 등 이슬람권 선교 전문기관들은 이슬람권의 대두와 함께 이들 지역도 개방의 물결 속에서 변화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기독교계가 이슬람권에 대해 선이해 후전략을 세워나간다면 선교의 여지가 많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기독교―이슬람교 갈등 언제까지]
VI. 결 론
미국을 위시한 서구 기독문명에 대한 이슬람의 거부는 전통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근본주의 등으로 나뉘는 이슬람권에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다. 전통주의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등은 대외적으로 온건한 편이지만 타종교의 활동은 불허한다. 사회주의 국가인 리비아는 서방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다. 민족주의 국가인 터키도 기독교의 선교는 이질적인 집단 양성과 민족 분규를 조성할 수 있다며 반대한다. 근본주의 국가의 전형인 이란은 반이슬람세력과의 끝없는 전쟁을 주장한다. 따라서 이들 국가는 이슬람교의 내부 논리에 따른 갈등이 있다지만 이는 서구와 아랍 대결구도에서 언제든지 부차적인 모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깊은 골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동안 쌓여온 만큼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 아프가니스탄에 퍼붓고 있는 미사일에 들어가는 돈을 선교사역에 투자한다면 훨씬 효과적이고 평화적으로 이러한 갈등의 골은 사라질 것이다.
수세기에 걸쳐 이슬람교도들과의 불화명목 현상은 십자가 원정으로 인하여 비롯된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세상 모든 족속으로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하신 예수님의 선교적 사명에 대하여 이 말씀에 비추어 회교도들도 선교대상일진대 그들의 마음 문을 여는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어진다. 9월 20일자 한국일보 7면에서 9월 14일 부시는 연설에서 우리의 역사적 책임은 악의 세계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17일에는 테러세력을 악을 행하는 자로, 대 테러전쟁을 십자군 전쟁으로 규정하였다. 서구권은 또 한번의 십자군전쟁으로 더 크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을 만들어 둘 중 한 쪽이 사라져야 끝나는 종국으로 치닫고자 한다.
이슬람에 빼앗긴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한다는 종교적 이념을 통하여 성전이 됐다. 그러나 그 실체는 봉건 영주와 기사들의 영토지배욕과 상인들의 경제적 야심, 농민들의 압제 탈피욕구가 어울러진 중세적 식민 전쟁 이였음을 후세사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번 전쟁 역시 미국의 불황을 탈피하고자 하는 돌파구로서 또한 전쟁을 통해 경제적인 유익을 보고자 하는 식민전쟁이 아니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도/서
국내서적
후스톤 곤잘레스저, 서영일역, 중세교회사. 은성출판사, 1987 초판
기독교대백과사전. 기독교문사, 1984.
학원세계대백과사전. 학원출판공사, 1994.
양병우외3인번역, 세계문화사. 1970.
인터넷자료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기독교―이슬람교 갈등 언제까지…]
2001.09.15, [테러응징 美의 새戰爭 문명충돌의 서곡인가? (상)]국경없는 단층선-김성일 한세대 교수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문명충돌 아우를 틈새 선교의 사명]
http://www.hankooki.co.kr/whan/200109/w2001091913400061510.htm
http://www.hk.co.kr/editorial/200109/h20010925185623e7000.htm
http://210.95.201.1/bslee/십자군.html
http://www.bless.pe.kr/blesskp/sa/sg2141_3.htm
http://www.socialstudy.com.ne.kr/cross.htm
http://home.opentown.net/~NEW11010/main/main/Fantasy/2-1.html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본질적으로 다른 교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 등 정치적 대립 등으로 인해 화해보다는 갈등을 빚을 요소가 많다는 것이 선교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테러까지 벌어지는 양측간의 분쟁은 소수의 과격파에 의해 조정되는 경우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말없는 다수의 온건 평화주의자들을 모두 싸잡아 전범화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SIM WEC 인터콥 중동선교회 이슬람연구소 등 이슬람권 선교 전문기관들은 이슬람권의 대두와 함께 이들 지역도 개방의 물결 속에서 변화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기독교계가 이슬람권에 대해 선이해 후전략을 세워나간다면 선교의 여지가 많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기독교―이슬람교 갈등 언제까지]
VI. 결 론
미국을 위시한 서구 기독문명에 대한 이슬람의 거부는 전통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근본주의 등으로 나뉘는 이슬람권에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다. 전통주의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등은 대외적으로 온건한 편이지만 타종교의 활동은 불허한다. 사회주의 국가인 리비아는 서방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다. 민족주의 국가인 터키도 기독교의 선교는 이질적인 집단 양성과 민족 분규를 조성할 수 있다며 반대한다. 근본주의 국가의 전형인 이란은 반이슬람세력과의 끝없는 전쟁을 주장한다. 따라서 이들 국가는 이슬람교의 내부 논리에 따른 갈등이 있다지만 이는 서구와 아랍 대결구도에서 언제든지 부차적인 모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깊은 골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동안 쌓여온 만큼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 아프가니스탄에 퍼붓고 있는 미사일에 들어가는 돈을 선교사역에 투자한다면 훨씬 효과적이고 평화적으로 이러한 갈등의 골은 사라질 것이다.
수세기에 걸쳐 이슬람교도들과의 불화명목 현상은 십자가 원정으로 인하여 비롯된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세상 모든 족속으로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하신 예수님의 선교적 사명에 대하여 이 말씀에 비추어 회교도들도 선교대상일진대 그들의 마음 문을 여는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어진다. 9월 20일자 한국일보 7면에서 9월 14일 부시는 연설에서 우리의 역사적 책임은 악의 세계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17일에는 테러세력을 악을 행하는 자로, 대 테러전쟁을 십자군 전쟁으로 규정하였다. 서구권은 또 한번의 십자군전쟁으로 더 크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을 만들어 둘 중 한 쪽이 사라져야 끝나는 종국으로 치닫고자 한다.
이슬람에 빼앗긴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한다는 종교적 이념을 통하여 성전이 됐다. 그러나 그 실체는 봉건 영주와 기사들의 영토지배욕과 상인들의 경제적 야심, 농민들의 압제 탈피욕구가 어울러진 중세적 식민 전쟁 이였음을 후세사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번 전쟁 역시 미국의 불황을 탈피하고자 하는 돌파구로서 또한 전쟁을 통해 경제적인 유익을 보고자 하는 식민전쟁이 아니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도/서
국내서적
후스톤 곤잘레스저, 서영일역, 중세교회사. 은성출판사, 1987 초판
기독교대백과사전. 기독교문사, 1984.
학원세계대백과사전. 학원출판공사, 1994.
양병우외3인번역, 세계문화사. 1970.
인터넷자료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기독교―이슬람교 갈등 언제까지…]
2001.09.15, [테러응징 美의 새戰爭 문명충돌의 서곡인가? (상)]국경없는 단층선-김성일 한세대 교수
2001년 9월 14일 국민일보 [문명충돌 아우를 틈새 선교의 사명]
http://www.hankooki.co.kr/whan/200109/w2001091913400061510.htm
http://www.hk.co.kr/editorial/200109/h20010925185623e7000.htm
http://210.95.201.1/bslee/십자군.html
http://www.bless.pe.kr/blesskp/sa/sg2141_3.htm
http://www.socialstudy.com.ne.kr/cross.htm
http://home.opentown.net/~NEW11010/main/main/Fantasy/2-1.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