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환상의 세계
Ⅱ.1. 이중성
Ⅱ.2. 안경과 거울의 상징 체계
Ⅱ.3. 변용
Ⅲ. 낭만주의 문학 요소
Ⅲ.1. 슐레겔의 선험 문학
III.2. 카를로 고치와 작크 칼롯
Ⅲ.3. 낭만주의의 기교성
Ⅳ. 나오는 말
◈ 참고문헌
Ⅱ. 환상의 세계
Ⅱ.1. 이중성
Ⅱ.2. 안경과 거울의 상징 체계
Ⅱ.3. 변용
Ⅲ. 낭만주의 문학 요소
Ⅲ.1. 슐레겔의 선험 문학
III.2. 카를로 고치와 작크 칼롯
Ⅲ.3. 낭만주의의 기교성
Ⅳ. 나오는 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작중 만성적 이중성이란 병으로 호칭되는 바 이는 19세기 낭만주의 작가들이 선호했던 자기 최면술의 체험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동시에 이 작품을 이끌어 가는 셀리오나티에 의해 동화의 세계, 즉 우르다르 호수의 극이 연출된다. 이 파바와 지아신타, 오피오 왕과 리리스 여왕의 이야기는 서로 맞물려, 인간이 자아 성찰을 통해 자기에 대해 인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안경과 거울을 통해 호프만의 주인공은 현실 속에 경이로운 환상적인 세계로 진입하게 하면서, 동시에 또한 새로운 시선의 가능성이 제시된다. 안경을 통하여 파바는 환상의 세계를 위한 가능성을 얻으며, 거울을 통해 자신의 진면목을 보는 것이다. 또한 우르다르 호수의 수면 또한 액화된 거울의 역할을 하여 인간의 자아 인식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환상 세계로의 진입은 문체 형식으로 통해 가능하다. 작가는 독자에게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하여 독자에게 괴리감을 오히려 조장하고 있다. 또한 독자에게 고정되지 않은 시선을 보여주기 위해, 내용의 부정과 모순된 표현을 제시해 철저한 환상의 미궁 속으로 독자를 이끈다. 주인공이 이중화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이태리 희극 인물의 특색을 지니고 등장하게 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하인 풀치넬라가 다양하게 변모하고 여러 가지 인물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6장의 주인공들의 조절되지 않은 춤은 계속된 변화된 모습과 비현실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파바와 지아신타의 이야기가 우르다르 호수의 왕과 여왕의 이야기 속에서 다시 변용되어 묘사되어 두 이야기가 서로 연관되는 것은 슐레겔의 선험 문학에 의거한 것이다. 호프만은 낭만주의 술레겔의 문학 이론 외에 18세기 후반의 베니스의 카를로 고치의 진실한 유모가 있는 극과 작크 칼롯의 그림의 모티브를 그의 작품에 받아들이고 있다. 그 외에 그의 작품에서는 낭만주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인위적 기교를 강조하고 있다. 주인공들이 들고 있는 소품이 이야기되어 독자로 하여금 일상에서 소설이라는 세계 속에 환상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고히 한다. 또한 재단사 베스카피 선생의 바늘의 봉합의 기술은 작품 마지막에 기교적인 기법을 추구하는 낭만주의의 의미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칼롯의 그림의 이름처럼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미친 듯이 돌아가는 작품의 줄거리와 인물들의 변화는 독자에게 삭막한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초현실적인 세계로 초대를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Prim rliteratur
E.T.A. Hoffmann: S mtliche Werke in 5 unnumerierten Einzelb nden. Hrsg. von Walter M ller-Seidel unter Mitwirkung von Wolfgang Kron, Friedrich Schnapp und Wulf Segebrecht. M nchen 1960-1965.
Bd 1-5 = HS
Johann Wolfgang von Goethe: Goethes Werke in zw lf B nden. Hg. von den Nationalen Forschungs- und Gedenkst tten der Klassischen Deutschen Literatur, Weimar 1981.
Bd 1-12 = GW
2. Sekund rliteratur
Cramer, Thomas: Das Grotesk bei E.T.A.Hoffmann, M nchen 1970.
Fischer, Stephan: E.T.A.Hoffmanns Prizessin Brambilla. Auf der Suche nach der verlorenen Lust. In: MHG 34(1988), S.11-34.
Kaiser, Gerhard R.: E.T.A.Hoffmann, Stuttgart 1988.
Kremer, Detlef: Romantische Metamorphosen, E.T.A. Hoffmanns Erz hlungen, Stuttgart/Weimar 1993.
Prang, Helmut: Die romantische Ironie. Darmstadt 1980.
Preisendanz, Wolfgang: Humor als dichterische Einbildungskraft. Studien zur Erz hlkunst des poetischen Realismus. M nchen 1985.
Scheffel, Michael: Die Geschichte eines Abenteuers oder das Abenteuer einer Geschichte? Poetische Autorreflexivit t am Beispiel von E.T.A. Hoffmans 》Prinzessin Brambilla《, in: Text+ Kritik, Hrsg. von Heinz Ludwig Arnold, M nchen 1992, S.112-124.
Todorov, Tzvetan: Einf hrung in die fantastische Literatur, Aus den franz sischen von Karin Kersten, Senta Metz und Caroline Neubaur, Frankfurt am Main 1992.
Tunner, Erika: Besonnenheit und tolles Spiel. Zur Gestalt des Schauspielers Giglio Fava in E.T.A.Hoffmanns 》Prinzessin Brambilla《. In: Germanistik aus interkultureller Perspektive. Strasbourg 1988, S.271-280.
Zimmermann, Hans Dieter: 》Der junge Mann leidet an chronischem Dualismus《. Zu E.T.A. Hoffmans Capriccio 》Prinzessin Brambilla《, in: Text+ Kritik, Hrsg. von Heinz Ludwig Arnold, M nchen 1992, S.97-111.
괴테: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박영구 옮김. 서울:푸른숲. 1998.
파바와 지아신타의 이야기가 우르다르 호수의 왕과 여왕의 이야기 속에서 다시 변용되어 묘사되어 두 이야기가 서로 연관되는 것은 슐레겔의 선험 문학에 의거한 것이다. 호프만은 낭만주의 술레겔의 문학 이론 외에 18세기 후반의 베니스의 카를로 고치의 진실한 유모가 있는 극과 작크 칼롯의 그림의 모티브를 그의 작품에 받아들이고 있다. 그 외에 그의 작품에서는 낭만주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인위적 기교를 강조하고 있다. 주인공들이 들고 있는 소품이 이야기되어 독자로 하여금 일상에서 소설이라는 세계 속에 환상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고히 한다. 또한 재단사 베스카피 선생의 바늘의 봉합의 기술은 작품 마지막에 기교적인 기법을 추구하는 낭만주의의 의미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칼롯의 그림의 이름처럼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미친 듯이 돌아가는 작품의 줄거리와 인물들의 변화는 독자에게 삭막한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초현실적인 세계로 초대를 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Prim rliteratur
E.T.A. Hoffmann: S mtliche Werke in 5 unnumerierten Einzelb nden. Hrsg. von Walter M ller-Seidel unter Mitwirkung von Wolfgang Kron, Friedrich Schnapp und Wulf Segebrecht. M nchen 1960-1965.
Bd 1-5 = HS
Johann Wolfgang von Goethe: Goethes Werke in zw lf B nden. Hg. von den Nationalen Forschungs- und Gedenkst tten der Klassischen Deutschen Literatur, Weimar 1981.
Bd 1-12 = GW
2. Sekund rliteratur
Cramer, Thomas: Das Grotesk bei E.T.A.Hoffmann, M nchen 1970.
Fischer, Stephan: E.T.A.Hoffmanns Prizessin Brambilla. Auf der Suche nach der verlorenen Lust. In: MHG 34(1988), S.11-34.
Kaiser, Gerhard R.: E.T.A.Hoffmann, Stuttgart 1988.
Kremer, Detlef: Romantische Metamorphosen, E.T.A. Hoffmanns Erz hlungen, Stuttgart/Weimar 1993.
Prang, Helmut: Die romantische Ironie. Darmstadt 1980.
Preisendanz, Wolfgang: Humor als dichterische Einbildungskraft. Studien zur Erz hlkunst des poetischen Realismus. M nchen 1985.
Scheffel, Michael: Die Geschichte eines Abenteuers oder das Abenteuer einer Geschichte? Poetische Autorreflexivit t am Beispiel von E.T.A. Hoffmans 》Prinzessin Brambilla《, in: Text+ Kritik, Hrsg. von Heinz Ludwig Arnold, M nchen 1992, S.112-124.
Todorov, Tzvetan: Einf hrung in die fantastische Literatur, Aus den franz sischen von Karin Kersten, Senta Metz und Caroline Neubaur, Frankfurt am Main 1992.
Tunner, Erika: Besonnenheit und tolles Spiel. Zur Gestalt des Schauspielers Giglio Fava in E.T.A.Hoffmanns 》Prinzessin Brambilla《. In: Germanistik aus interkultureller Perspektive. Strasbourg 1988, S.271-280.
Zimmermann, Hans Dieter: 》Der junge Mann leidet an chronischem Dualismus《. Zu E.T.A. Hoffmans Capriccio 》Prinzessin Brambilla《, in: Text+ Kritik, Hrsg. von Heinz Ludwig Arnold, M nchen 1992, S.97-111.
괴테: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박영구 옮김. 서울:푸른숲. 1998.
추천자료
몽고반점(독후감) - 사회적 금기를 깨는 주인공의 행동을 환상과 욕망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
전래동화와 환상동화
환상적인 가족만들기를 읽고..
[축제, 이색축제, 축제 발전 전략] 세계의 이색축제와 국내 축제를 통해본 축제 발전 전략 - ...
‘대동아 공영권’의 환상 일제의 침략전쟁 2차 대전
김신용의'환상통'
<건강가정론>환상적인가족만들기를읽고
[음악감상문][감상문][음악감상]쇼팽의 녹턴 음악감상문, 슈베르트의 월계꽃 음악감상문, 베...
[뮤지컬][뮤지컬 정의][뮤지컬 특성][뮤지컬 역사][세계 4대 뮤지컬][공연][캣츠]뮤지컬 정의...
[박목월 시세계][박목월시 이데올로기와 어머니][박목월시 향토성과 세계성][박목월시 신화적...
[천문학][천문학의 세계적 역사][천문학의 한국적 역사][천문학 관련 잘못된 상식][천문학자 ...
자유의 환상
현진건 (운수 좋은 날) 과 윤홍길 (장마) 속의 환상서사
[신마소설][신마소설 정의][신마소설 유형][신마소설 환상성][신마소설과 서유기][신마소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