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에 대한 언론보도의 특성과 내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 제기

분석방법
1. 분석 대상 선정
2. 분석 유목 설정

내용 분석 결과
1. 일반적 속성
2. 기사의 주제
3. 기사의 소재
4. 보도 태도
5. 기사의 출처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연구에 따르면 환경 관련 뉴스는 대형 화학 물질 유출 사건과 같이 예상치 못한 극적인 재난들과 연관된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높다고 한다(Greenberg et al., 1989). 한 마디로 사건 중심적인 보도 행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내용 분석에서도 기사의 주제나 소재면에서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이 중단되거나 방사능 누출 등의 사고에 대한 보도나 원전과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부지 선정을 둘러싼 지역 분쟁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사안의 성격상 이에 대한 보도도 중요하다. 그러나 자칫 사고나 갈등이 발생한 구조적 관계나 맥락을 보지 않고 발생한 사건 자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Anderson, 1997).
둘째, 원자력 관련 보도가 이처럼 사고나 갈등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함의를 갖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벨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언론 보도에 대해 과장된 기억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특히 언론 보도가 부정적인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 심해진다고 한다(Bell, 1991).
원자력 문제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는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기억이 오래 가기 때문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분석한 기사의 보도 태도를 살펴보면 전체 기사의 45.7%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사실만 보도하거나 이해 당사자들의 입장을 공평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또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 태도의 기사가 유사한 비율로 나타나 비교적 균형 있는 보도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령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태도의 기사라 할지라도 기사화 자체로도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주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원자력 관련 기사의 소재 자체가 원자력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는 12개에 불과했다.
셋째, 관련 쟁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02년 7월 17일 월성 원전 2호기의 냉각재 보조 계통 배관에서 방사능이 포함된 중수가 새어나와 원자로 가동이 중단되고 누설 부위를 점검하던 운전원과 정비 인력 등 직원 10여 명이 방사능에 피폭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 사고에 대해 7월 19일 9개 신문이 사회면 주요 기사로 일제히 보도하고 있지만, 모든 기사가 사건 경위에 대한 원전측 발표를 인용하는 스트레이트 기사였다. 사고의 원인이나 위험의 정도 등에 대한 심층적 정보를 제공하는 해설 기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국 원자력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언론 보도를 통해서 획득할 수밖에 없는 일반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태도는 언론이 보여주는 원자력의 이미지를 기초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민들이 원자력의 위험성에 대한 불안감과 우려를 감추지 않는 것은 언론 보도의 대부분이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인명 피해, 극심한 지역 갈등과 님비 현상, 그리고 원자력의 위험성을 은폐하거나 축소하기에 급급한 관계기관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원자력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나 안전 규제 장치의 마련 등에 대한 정보가 국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감이 점점 심화되는 것이다.
<참고 문헌>
앤더슨/김재범 역(2001), 환경저널리즘, 한울
한스 페터 페터스, 송해룡/송해룡 역(2001),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Atwater, T., M. B. Salwen & R. B. Anderson(1985), "Media Agenda-setting with Environment Issues", Journalism Quarterly, 62, 393-7
Brosius, H. B. & H. M. Kepplinger(1990),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elevision News", Communication Research, 17(2), 183-211
Corner, J., K. Richardson & N. Fenton(1990), Nuclear Reactions: Form and Response in Public Issue Television, London: Libbey
Dunwoody, S. & R. J. Griffin(1993), "Journalistic Strategies for Reporting Longterm Environmental Issues: a Case Study of Three Superfund Sites", in A. Hansen(ed.), The Mass Media and Environmental Issues, Leicester: Leicester University Press, 22-50
Friedman, S. M., C. M. Gorney & B. P. Egolf(1987), "Reporting on Radiation: a Content Analysis of Chernobyl coverage", Journal of Communication, 37, 58-79
Greenberg, M. R., D. B. Sachsman, P. M. Sandman & K. L. Salome(1989), "Network Evening News Coverage of Environment Risk", Risk Analysis, 9(1), 119-126
IAEA(2002), Communication Planning by the Nuclear Regulatory Body Salwen, M. B.(1988), "Effect of Accumulation of Coverage on Issue Salience in Agenda-setting", Journalism Quarterly, 65, 100-6
Wober, M. & B. Gunter(1985), "Patterns of Television Viewing and of Perceptions of Hazards To Lif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5, 99-108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