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넷의 개념과 특징
2. 인터넷 중독의 개념
3. 인터넷 중독의 원인 및 증상
4. 국내 청소년 인터넷 사용 실태
5. 일반적인 인터넷 이용 현황
(1) 컴퓨터/인터넷 가능 핸드폰 보유 현황
(2) 가정 내 컴퓨터 설치 위치
(3) 인터넷 주 이용장소
6. 대책 및 개선 방안
2. 인터넷 중독의 개념
3. 인터넷 중독의 원인 및 증상
4. 국내 청소년 인터넷 사용 실태
5. 일반적인 인터넷 이용 현황
(1) 컴퓨터/인터넷 가능 핸드폰 보유 현황
(2) 가정 내 컴퓨터 설치 위치
(3) 인터넷 주 이용장소
6. 대책 및 개선 방안
본문내용
(3.0)
460
합계
67(6.6)
477(46.7)
215(21.0)
230(22.5)
33(3.2)
1022
3) 인터넷 주 이용 장소
주로 인터넷을 어디에서 이용하느냐는 질문에 응답한 결과는 집이 71.1%로 가장 많았으며,
PC방이 23.6%를 학교가 2.2%. 기타가 3.1%였다.
6. 대책 및 개선방안
첫째, 청소년을 위한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는 피상적인 문자 나열이 아닌, 게임을 할 경우, 채팅을 할 경우, 동호회에 가입할 경우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범주를 나누어 그 당시 지켜야할 예절을 가르치고, 효과적인 이용방법 등을 현실적이고 세부적으로 작성해야 할 것이다. 자금까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나 소방훈련 교육과 등과 같이 청소년에게 조금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형식적인 교육에 그쳐서는 안되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상세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우선 아이들과 함께 인터넷을 다룰 줄 알아야 하고, 함께 인터넷을 하면서 서로에 대한 시각들을 조금씩 좁혀 가면서 인터넷을 아주 유용한 것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스스로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뿐만이 아닌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프로그램 방안과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논란이 많아지고 있으며,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인터넷사이나 정신과에서 인터넷 중독환자들을 다루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치료프로그램 방안이 만들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그 해결 방안 또한 모호하다. 다행이 몇몇 의사들이 인터넷 중독에 관심을 보이며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나 턱없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집중적인 사례연구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획득으로 신뢰성 있는 치료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진숙외(2000), 청소년의 PC중독, 한국청소년상담원.
서순달(2000), PC통신과 Internet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 교육대학원.
양소남(1999), PC통신 이용자의 통신중독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애(2001),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요인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7권 제1호.
임종현(2000), 가상공간에서의 청소년문화와 그 문화적 의미-고교생의 인터넷 이용을 중심 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종현(2000), 가상공간에서의 청소년문화와 그 교육적 의미, 한양대학교 석가학위논문.
어기준(2000), 청소년 PC중독의 유형과 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진종순(2000), 고등학생의 PC통신 이용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지현(2000), 청소년 PC중독의 이해, 한국청소년 상담원.
황상민(2000), 사이버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황진구(2000), 청소년 인터넷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홍혜영(2000), 통신 중독증, 정보사회와 청소년,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60
합계
67(6.6)
477(46.7)
215(21.0)
230(22.5)
33(3.2)
1022
3) 인터넷 주 이용 장소
주로 인터넷을 어디에서 이용하느냐는 질문에 응답한 결과는 집이 71.1%로 가장 많았으며,
PC방이 23.6%를 학교가 2.2%. 기타가 3.1%였다.
6. 대책 및 개선방안
첫째, 청소년을 위한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에는 피상적인 문자 나열이 아닌, 게임을 할 경우, 채팅을 할 경우, 동호회에 가입할 경우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범주를 나누어 그 당시 지켜야할 예절을 가르치고, 효과적인 이용방법 등을 현실적이고 세부적으로 작성해야 할 것이다. 자금까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나 소방훈련 교육과 등과 같이 청소년에게 조금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형식적인 교육에 그쳐서는 안되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상세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우선 아이들과 함께 인터넷을 다룰 줄 알아야 하고, 함께 인터넷을 하면서 서로에 대한 시각들을 조금씩 좁혀 가면서 인터넷을 아주 유용한 것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스스로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뿐만이 아닌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프로그램 방안과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여부에 대한 논란이 많아지고 있으며,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인터넷사이나 정신과에서 인터넷 중독환자들을 다루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치료프로그램 방안이 만들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그 해결 방안 또한 모호하다. 다행이 몇몇 의사들이 인터넷 중독에 관심을 보이며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나 턱없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집중적인 사례연구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획득으로 신뢰성 있는 치료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진숙외(2000), 청소년의 PC중독, 한국청소년상담원.
서순달(2000), PC통신과 Internet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 교육대학원.
양소남(1999), PC통신 이용자의 통신중독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애(2001),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요인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7권 제1호.
임종현(2000), 가상공간에서의 청소년문화와 그 문화적 의미-고교생의 인터넷 이용을 중심 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종현(2000), 가상공간에서의 청소년문화와 그 교육적 의미, 한양대학교 석가학위논문.
어기준(2000), 청소년 PC중독의 유형과 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진종순(2000), 고등학생의 PC통신 이용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지현(2000), 청소년 PC중독의 이해, 한국청소년 상담원.
황상민(2000), 사이버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김영사.
황진구(2000), 청소년 인터넷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홍혜영(2000), 통신 중독증, 정보사회와 청소년,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키워드
추천자료
사례관리 분석(개념.정의.기능.과정)
[사회복지] 청소년 자원봉사의 개념정의 및 의의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 - 개념정의, 저출산 문제의 워인과 파생되는 사회문제, 정부의 대응방안
발달과 학습에 대한 개념정의 인지·사회 및 정서발달
발달과 학습에 대한 개념정의를 하고, 인지/사회 및 정서발달에 대해 설명
역량강화, 권한강화의 개념정의, 권한강화접근의 기본 가정, 권한강화접근의 과정 및 기술
한부모 가족 (개념정의, 발생원인, 한부모가족현황, 한부모가족사례, 사회복지정책, 한부모가...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의(개념정의), 지방자치단체장 권한과 역할
에너지문제의 의의(개념정의)와 발단(세계석유파동), 세계 국제유가의 흐름 및 석유에너지의 ...
[동년배관계] 동년배의 의미(개념정의), 동년배 집단의 특성(특징)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개념정의, 스트레스의 원인(스트레스요인), 스트레스의 증상, 스트레...
[기분장애] 기분장애의 개념정의와 원인을 언급하시고, 자신에게서 발견되는 기분장애를 기...
[정신건강론] 기분장애의 개념정의와 원인을 언급하시고, 자신에게서 발견되는 기분장애를 ...
행동치료이론, 행동치료의 장점과 학습이론의 개념정의,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치료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