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관의 정의
2. 사회복지관의 목표
3. 사회복지관의 연혁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5. 사회복지관 사업
2. 사회복지관의 목표
3. 사회복지관의 연혁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5. 사회복지관 사업
본문내용
인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 기금마련 지원
- 연합체 건설
- 개인들의 능력발휘 기회제공
3. 자원봉사 관련 행정체계
중앙부처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여성부
민간협력과
복지지원과
청소년정책과
협력지원과
지방자치단체
광역시도
시민협력과
자치행정과
사회복지과
청소년과
가정복지과
시군구
구청/민간위탁
구청/민간위탁
읍면동
동사무소
센터명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
청소년
자원봉사센터
여성
자원활동센터
※법무부 산하의 범죄예방자원봉사단체협의회가 있긴 하지만 봉사가 미비
4. 자원봉사 관련단체
-우리나라에 자원봉사단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들의 총체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없음
-2001년 10월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에서 관련 문헌 및 온라인을 통해 확인한 자원봉사단체 총수:
지방자치단체와 자원봉사센터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단체 : 약 5,000 단체
보건복지부와 여성부 홈페이지 자료실에 둥록된 단체 : 약 4,500 단체
행정자치부 민간협력과 자료실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 3,433 단체
한국민간단체총람(1999)에 수록된 단체 : 약 7,600 단체
1)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1994년 창립) http://user.chollian.net/~kcvo/
2) 한국자원봉사센터협의회(2000년 창립) http://www.kavc.or.kr/
3) 청소년자원봉사센터협의회(1998년 발족)
4)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1996년 창립)
5) 볼런티어 21 http://www.volunteer21.org/
5.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1) 조사 및 연구
2) 지역사회 발전기획과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취약부문에 자원봉사 집중
3) 모집과 배치
4) 상담과 교육, 훈련
5) 홍보 및 홍보자료의 개발 및 보급
6) 인정: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
7) 자료와 정보제공
8) 대변
: 공평한 기회 제공, 장애물 제거, 자원봉사정신 고취
9) 집회장의 대여와 기구자재의 대여 및 재정 지원
: 자원봉사 교육훈련과 활동을 할 때 필요한 집회장소 및 각종기구 대여
10) 자원봉사활동 중에 일어나기 쉬운 사고에 대한 보장기능
11) 국내외 교류기능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념
치료나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 몸과 마음의 통합적 상태에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한다는 인간존엄성의 가치에 이념적 기반. 서구사회에서 정신장애인들을 수용시설에서 탈시설화시키는 정책에서 시작. 개념상으로는 정신장애인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사회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보장하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괄.
1) 최소한의 규제 : 한 개인은 자신의 치료나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 자유, 자기결정권,
자율성, 존엄성을 가진다.
2) 정상화: 모든 사람은 차별 없는 동등한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 정신장애인의 생활조건 이나 환경을 정상화함으로써 지역사회 생활의 주류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
3) 사회통합: 정신장애인을 장애를 가진 인간으로 보기보다는 특수한 증상과 어려움을 지닌 사람으로 이해한다. 지역사회자원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주민으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것.
2. 정신보건센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수행. 개념상으로는 지역사회주민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만성적이거나 중증의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으로 좁혀짐.
-기본원칙
1) 지역주민에 대한 책임
2) 거주지에 인접한 장소에서의 치료
3)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4) 다양한 전문인력의 팀접근
5) 관리의 지속성
-주요사업
1) 만성정신장애인 관리사업: 낮치료 프로그램 운영, 가정방문, 전화방문, 위기관리, 연계 등
2) 정신건강사업: 노인학교청소년 정신건강교육, 시민정신건강교육, 정신보건 관련 요원교육
3) 정신보건 관련 조사 및 연구사업
4) 정신장애인 가족지원 프로그램
3. 사회복귀시설
- 정신보건법 제 3조에 의하면,
사회복귀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촉진을 의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을 말한다.
-주요사업
1) 회원지원 프로그램: 회원안내, 초기면접, 등록, 개별면담 및 지원, 가정방문
2) 사회적응 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 일상생활훈련, 여가 프로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
3) 직업재활 프로그램: 보호작업장, 일시임시 취업 프로그램, 지원고용, 독립취업지원
4) 가족지원 프로그램: 가족교육, 자조모임
5) 주거시설
6) 기타 직원교육, 실습생교육, 홍보 및 후원사업, 지역사회협력사업 등
- 기금마련 지원
- 연합체 건설
- 개인들의 능력발휘 기회제공
3. 자원봉사 관련 행정체계
중앙부처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여성부
민간협력과
복지지원과
청소년정책과
협력지원과
지방자치단체
광역시도
시민협력과
자치행정과
사회복지과
청소년과
가정복지과
시군구
구청/민간위탁
구청/민간위탁
읍면동
동사무소
센터명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
청소년
자원봉사센터
여성
자원활동센터
※법무부 산하의 범죄예방자원봉사단체협의회가 있긴 하지만 봉사가 미비
4. 자원봉사 관련단체
-우리나라에 자원봉사단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들의 총체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없음
-2001년 10월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에서 관련 문헌 및 온라인을 통해 확인한 자원봉사단체 총수:
지방자치단체와 자원봉사센터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단체 : 약 5,000 단체
보건복지부와 여성부 홈페이지 자료실에 둥록된 단체 : 약 4,500 단체
행정자치부 민간협력과 자료실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 3,433 단체
한국민간단체총람(1999)에 수록된 단체 : 약 7,600 단체
1)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1994년 창립) http://user.chollian.net/~kcvo/
2) 한국자원봉사센터협의회(2000년 창립) http://www.kavc.or.kr/
3) 청소년자원봉사센터협의회(1998년 발족)
4)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1996년 창립)
5) 볼런티어 21 http://www.volunteer21.org/
5.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1) 조사 및 연구
2) 지역사회 발전기획과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취약부문에 자원봉사 집중
3) 모집과 배치
4) 상담과 교육, 훈련
5) 홍보 및 홍보자료의 개발 및 보급
6) 인정: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
7) 자료와 정보제공
8) 대변
: 공평한 기회 제공, 장애물 제거, 자원봉사정신 고취
9) 집회장의 대여와 기구자재의 대여 및 재정 지원
: 자원봉사 교육훈련과 활동을 할 때 필요한 집회장소 및 각종기구 대여
10) 자원봉사활동 중에 일어나기 쉬운 사고에 대한 보장기능
11) 국내외 교류기능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념
치료나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 몸과 마음의 통합적 상태에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한다는 인간존엄성의 가치에 이념적 기반. 서구사회에서 정신장애인들을 수용시설에서 탈시설화시키는 정책에서 시작. 개념상으로는 정신장애인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전체 사회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보장하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괄.
1) 최소한의 규제 : 한 개인은 자신의 치료나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 자유, 자기결정권,
자율성, 존엄성을 가진다.
2) 정상화: 모든 사람은 차별 없는 동등한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 정신장애인의 생활조건 이나 환경을 정상화함으로써 지역사회 생활의 주류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
3) 사회통합: 정신장애인을 장애를 가진 인간으로 보기보다는 특수한 증상과 어려움을 지닌 사람으로 이해한다. 지역사회자원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주민으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것.
2. 정신보건센터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수행. 개념상으로는 지역사회주민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만성적이거나 중증의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으로 좁혀짐.
-기본원칙
1) 지역주민에 대한 책임
2) 거주지에 인접한 장소에서의 치료
3)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
4) 다양한 전문인력의 팀접근
5) 관리의 지속성
-주요사업
1) 만성정신장애인 관리사업: 낮치료 프로그램 운영, 가정방문, 전화방문, 위기관리, 연계 등
2) 정신건강사업: 노인학교청소년 정신건강교육, 시민정신건강교육, 정신보건 관련 요원교육
3) 정신보건 관련 조사 및 연구사업
4) 정신장애인 가족지원 프로그램
3. 사회복귀시설
- 정신보건법 제 3조에 의하면,
사회복귀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촉진을 의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을 말한다.
-주요사업
1) 회원지원 프로그램: 회원안내, 초기면접, 등록, 개별면담 및 지원, 가정방문
2) 사회적응 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 일상생활훈련, 여가 프로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
3) 직업재활 프로그램: 보호작업장, 일시임시 취업 프로그램, 지원고용, 독립취업지원
4) 가족지원 프로그램: 가족교육, 자조모임
5) 주거시설
6) 기타 직원교육, 실습생교육, 홍보 및 후원사업, 지역사회협력사업 등
추천자료
사회복지현장실습 - 학산종합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황금종합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홀트대구종합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월드비전 범물종합사회복지관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대구 남산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관에 대해서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관 교육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대상 집단프로그램 실습 보고서 “내안에 청춘 있다” (노래교실, 한지부...
전북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기관소개, 실습평가, 실습소감, 사례개입, 집단...
사회복지시설의 가족복지프로그램 현황 및 대책 - 강남종합사회복지관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역사와 배경을 설명하고,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주요 이슈는 무...
우리나라 사회복지관 현황을 조사해보고 사회복지관의 발전방향에 대해 본인의 경험과 주변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