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人物)로 통해 고찰(考察)하는 중국 현대사(中國現代史)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손문 (孫 文)

장개석(蔣介石)

모택동 (毛澤東)

주은래(周恩來)

등소평(鄧小平)

강택민(江澤民)

본문내용

선의 견지, 인민민주전정의 견지, 공산당 영도의 견지,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모택동사상의 견지라는 4개 기본 원칙을 주장하였다. 그는 당의 전국적인 사업 중점을 경제건설에 두고 마르크스주의의 보편적 진리를 중국의 실제 상황에 결부시켜 중국식 사회주의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는 사회주의노선을 견지하면서 현대화건설을 위한 네 가지 필수 요건을 강조했다.
첫째, 행정기구와 경제체제의 개혁을 통하여 간부의 혁명화, 연소화, 지식화, 전문화를 실현한다.
둘째, 사회주의 정신문명을 건설한다.
셋째, 경제영역과 기타영역의 범죄활동을 방지한다.
넷째, 당의 조직과 기강을 정비한다.
등소평은 중국의 통일에 대해서도 매우 많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일국양제(一國兩制)"의 구상을 내놓기도 하였다. 그는 항상 중국을 방문하는 외국 원수나 정부 수뇌, 외국 공산당 지도자, 기타 정당 대표 등 각계 인사들을 접견하였다. 그리고 여러 차례 외국을 방문하여 중국인의 해외 교류를 확대하고, 중국의 대외 경제, 기술, 과학 교류를 증진시키는 등, 중국의 현대화건설에 유익한 국제적 여건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1982년 12기 1중전회에서 그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때 중앙 주석과 부주석은 폐지되었음),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83년 제6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회의에서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회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농촌개혁의 성공을 계기로 등소평은 개혁의 방향을 도시로 옮겼다. 1984년 중공 12기 3중전회에서 <경제체제 개혁에 관한 결정>을 통과시킨 후 전면적인 도시개혁에 착수하였다. 이 해에 등소평은 14개 연안 항구도시의 개방 확대를 비준하고, 1985년에는 다시 장강삼각주, 주강삼강주, 민남하장천(閔南廈장泉) 삼각지구와 요동반도, 교동(膠東)반도를 연해 경제개방구로 확대하였다.
1987년 10월 중국공산당 13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으며, 1989년 11월 중국공산당 13기 5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사임하였다. 1992년 봄, 그는 남방을 순시하고 중요한 담화(즉, "남순강화")를 발표하였다. 그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전체회의에서는 남순강화의 정신에 의거하여 "개혁 개방과 경제 발전의 가속화에 관한 결정(關于加快改革開放和經濟發展的決定)"을 하였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제14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을 정립하고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수립하여 개혁의 행보를 더욱 가속화 할 것을 천명하였다.
1997년 2월 19일 오후 9시 8분(한국시각 오후 10시 8분) 등소평은 북경에서 9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등소평의 중요한 문장과 담화의 내용은 ≪등소평문선(鄧小平文選)≫(1~3권)에 수록되어 있다.
등소평은 경제개혁에서 거대한 성취를 이룩하였지만 그에 비해 정치개혁에서는 오히려 손실이 더 많았다. 등소평은 대외개방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지만 서방의 정치제도를 좋아하지는 않았다. 등소평은 "4개의 기본원칙"을 고수하면서 정치와 사회적 안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념적으로는 극히 보수적인 노선을 걸었다. 이로 인하여 중국의 경제개혁은 거대한 성과를 거두면서도 앞으로 갈수록 더욱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지도 모른다. 79년 북경 서단(西單)민주사건의 진압, 87년, 89년 자신이 선정한 후계자 호요방과 조자양 축출, 6.4 천안문 민주운동 진압 등은 등소평 일생의 가장 큰 오점으로 남아 있다.
강택민(江澤民)
1926년 8월 17일생. 강소성(江蘇省) 양주시(揚州市) 출신.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임위원,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1943년부터 지하당이 이끄는 학생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46년 4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47년 상해 교통대학(上海 交通大學) 전기기계과를 졸업하였다. 상해가 해방된 후 상해 익민식품 1공장(益民食品一廠) 부기사, 토목과 과장 겸 동력소(動力車間) 주임, 공장의 당 지부 서기, 제1부공장장, 상해 비누공장 제1부공장장, 1기부(一機部) 상해 제2설계 분국(分局) 전기전문과 과장을 역임하였다.
1955년 모스크바 스탈린 자동차공장에서 연수, 1956년 장춘(長春) 제1자동차 제조공장 동력처 부처장, 부수석 동력기사, 동력지사 공장 공장장을 역임하였다.
1962년 이후 1기부(一機部) 상해 전기과학 연구소 부소장, 1기부 무한(武漢) 열공업 기계연구소 소장, 당위원회 서기 대리, 동력지사 공장장, 1기부 외사국(外事局) 부국장과 국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이후에는 국가 수출입 관리위원회, 국가 외국투자관리위원회 부주임 겸 비서장, 당지도부 성원을 역임하였다. 1982년 이후에는 전자공업부 제1 부부장, 당지도부 부서기, 당지도부 서기를 역임하였다. 1985년 이후에는 상해시 시장, 중국공산당 상해시위원회 부서기, 서기를 역임하였다.
1982년 9월 중국공산당 제1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으로 당선되었다. 1987년 11월 중국공산당 13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에 당선되었다. 1989년 6월 중국공산당 13기 4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임위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당선되었다. 1989년 11월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13기 5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90년 3월 제7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3차 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92년 10월 중국공산당 14기 1중전회에서 중앙정치국 위원, 상임위원,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93년 3월 제8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97년 9월 중국공산당 15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상임위원,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1998년 3월 제9기 전국인민대표대회 1차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회 주석에 당선되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4.1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