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꿈꾸는 소년
* 전쟁과 약탈의 시대
* 약탈금지 - 진정한 정복자로
* 초원을 누비는 말발굽
* 정보의 중요성
* 적군마저 아웃소싱하라
* 기마민족 - 속도주의자
* 흐르지 않는 물은 썩는다
* 그들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
* 새로운 시대의 생존법 - 바뀐것은 없다.
* 전쟁과 약탈의 시대
* 약탈금지 - 진정한 정복자로
* 초원을 누비는 말발굽
* 정보의 중요성
* 적군마저 아웃소싱하라
* 기마민족 - 속도주의자
* 흐르지 않는 물은 썩는다
* 그들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
* 새로운 시대의 생존법 - 바뀐것은 없다.
본문내용
러가고 있는 변화의 핵심은 무엇일까? 그것은 정착문명의 긴 지배가 끝나고 드디어 유목 이동문명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세상은 변화하고 있다. 선악이나 기호 판단을 유보하고 생각해보자. 21세기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가? 많은 이들이 21세기를 논하면서 세계화와 정보화, 친환경화라는 개념을 말하고 있다.
먼저 세계화를 보자. 거대한 지구가 하나의 작은 촌으로 바뀐 것은 단 몇 백년 전만 해도 참으로 생각키 어려운 모습이었다. 이런 현상을 만든 사람들, 지구를 좁게 만든 사람들이 바로 유목민이다. 이들은 단순히 정복을 넘어, 사람과 물자, 정보가 원활하게 유통되는 사회를 만들었다. 정보화에서도 유목민들의 역할은 말할 수 없이 크다. 유목민들의 정보화 욕구는 생존을 위한 최선 수단이었다. 그 소통 욕구는 세계 제국을 건설한 이후 전 지구적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으로 빛을 발한다. 역참제가 그것이다. 수도를 중심으로 삼아 제국 전 지역에 낸 정보망, 그것도 5km마다 정보전달자를 두었던 역참제는 말이 구현했던 일종의 인터넷이었다.
그러고 오늘날 더 중요한 것이 바로 환경 문제일 것이다. 환경친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유라시아 대륙의 유목 이동문명 시대와 지금 상황은 유사한 점이 많다. 유목이란 기본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열악한 조건에서 출발한다. 유목민은 식물이 열매를 맺을 만한 비가 내리지 않는 땅에 살았다. 하지만 그들은 땅에 풀이 돋고 그것을 먹는 초식동물, 또 그 위로 육식동물이 살아가는 생태계에 올라 탄 사람들이다. 만약 그들이 과대 소비를 하거나 과소 소비를 하면 생태계는 무너지고 만다. 이는 곧 전체의 공멸을 의미한다. 유목민은 그런 삶의 조건 때문에라도 생태계 환경과 공존해 올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항상 동물과 살아오면서도 양을 더 키우거나 종을 더 번식시키거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결국 종자 변이와 생태계 파괴라는 참혹한 현실을 맞고 있다. 그러나 유목민은 생태계 자체를 ‘산업화’해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 생태계 순환고리에 스스로를 끼워 생활하는 것만이 유일한 삶의 방법임을 터득한 것이다.
새로운 시대의 생존법 - 바뀐것은 없다.
환경, 정보화, 세계화가 화두로 떠오른 21세기는 분명 유목민 시대다. 현대는 ‘잡 노마드(Job Nomad)’ 사회로 가고 있다. 잡 노마드란 직업을 따라 유랑하는 유목민이란 뜻의 신조어로 과거의 직업 세계에 등을 돌린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들은 평생 한 직장, 한 지역, 그리고 한 가지 업종에 매달려 살지 않는다. 이 신종 부류는 자신의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자신을 위해 그것을 이용하는, 현대화를 실천하는 주인공이다.
잡 노마드는 과거 유목민의 기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결핍을 극복하는 능력, 본질에 집중하는 힘, 풍부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뿌리와 날개를 동시에 지니는 능력이 그것이다. 이는 자신의 노동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의 세계에서는 자유만이 진정한 안정을 보장해 준다.
우리는 우리만의 독특한 체질로 신명과 한(恨)을 말한다. 몽골 유목민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피눈물과 신바람의 세계를 그렇게 수만 년 살아왔다. 우리는 몽골 유목민들과 핏줄이 같다. 우리 몸 속엔 칭기스칸과 같은 피가 흐른다. 그들이 피눈물로 신바람으로 무장했을 때 누구도 이루지 못한 유라시아 대통합을 달성했듯, 우리도 한과 신명으로 21세기를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800년 전에 살았던 역사 속에서, 우리는 가슴으로 눈으로 맥박으로 고동소리로 21세기의 생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세계화를 보자. 거대한 지구가 하나의 작은 촌으로 바뀐 것은 단 몇 백년 전만 해도 참으로 생각키 어려운 모습이었다. 이런 현상을 만든 사람들, 지구를 좁게 만든 사람들이 바로 유목민이다. 이들은 단순히 정복을 넘어, 사람과 물자, 정보가 원활하게 유통되는 사회를 만들었다. 정보화에서도 유목민들의 역할은 말할 수 없이 크다. 유목민들의 정보화 욕구는 생존을 위한 최선 수단이었다. 그 소통 욕구는 세계 제국을 건설한 이후 전 지구적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으로 빛을 발한다. 역참제가 그것이다. 수도를 중심으로 삼아 제국 전 지역에 낸 정보망, 그것도 5km마다 정보전달자를 두었던 역참제는 말이 구현했던 일종의 인터넷이었다.
그러고 오늘날 더 중요한 것이 바로 환경 문제일 것이다. 환경친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유라시아 대륙의 유목 이동문명 시대와 지금 상황은 유사한 점이 많다. 유목이란 기본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열악한 조건에서 출발한다. 유목민은 식물이 열매를 맺을 만한 비가 내리지 않는 땅에 살았다. 하지만 그들은 땅에 풀이 돋고 그것을 먹는 초식동물, 또 그 위로 육식동물이 살아가는 생태계에 올라 탄 사람들이다. 만약 그들이 과대 소비를 하거나 과소 소비를 하면 생태계는 무너지고 만다. 이는 곧 전체의 공멸을 의미한다. 유목민은 그런 삶의 조건 때문에라도 생태계 환경과 공존해 올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항상 동물과 살아오면서도 양을 더 키우거나 종을 더 번식시키거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결국 종자 변이와 생태계 파괴라는 참혹한 현실을 맞고 있다. 그러나 유목민은 생태계 자체를 ‘산업화’해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 생태계 순환고리에 스스로를 끼워 생활하는 것만이 유일한 삶의 방법임을 터득한 것이다.
새로운 시대의 생존법 - 바뀐것은 없다.
환경, 정보화, 세계화가 화두로 떠오른 21세기는 분명 유목민 시대다. 현대는 ‘잡 노마드(Job Nomad)’ 사회로 가고 있다. 잡 노마드란 직업을 따라 유랑하는 유목민이란 뜻의 신조어로 과거의 직업 세계에 등을 돌린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들은 평생 한 직장, 한 지역, 그리고 한 가지 업종에 매달려 살지 않는다. 이 신종 부류는 자신의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자신을 위해 그것을 이용하는, 현대화를 실천하는 주인공이다.
잡 노마드는 과거 유목민의 기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결핍을 극복하는 능력, 본질에 집중하는 힘, 풍부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 뿌리와 날개를 동시에 지니는 능력이 그것이다. 이는 자신의 노동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직업의 세계에서는 자유만이 진정한 안정을 보장해 준다.
우리는 우리만의 독특한 체질로 신명과 한(恨)을 말한다. 몽골 유목민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피눈물과 신바람의 세계를 그렇게 수만 년 살아왔다. 우리는 몽골 유목민들과 핏줄이 같다. 우리 몸 속엔 칭기스칸과 같은 피가 흐른다. 그들이 피눈물로 신바람으로 무장했을 때 누구도 이루지 못한 유라시아 대통합을 달성했듯, 우리도 한과 신명으로 21세기를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800년 전에 살았던 역사 속에서, 우리는 가슴으로 눈으로 맥박으로 고동소리로 21세기의 생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최고 경영자 예수를 읽고
IMF 경제 위기 이후 기업 경영자의 가치관의 변화
[CEO][최고경영자]CEO(최고경영자)의 개념, CEO(최고경영자)의 특성, CEO(최고경영자)의 자질...
[경영] 경영의 의의와 기능, 구성요소, 경영활동 및 경영자의 역할
[경영자] 경영자의 개념과 유형별 특성
[경영학개론] 경영자의 역할 및 자질
아시아최고의저가항공사,에어아시아,에어아시아마케팅전략,에어아시아분석,저가항공사분석,저...
[CEO][최고경영자][경영]CEO(최고경영자)의 역할, CEO(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CEO(최고경영...
[조직관리][조직]조직관리의 정의, 조직관리의 유형, 조직관리의 구조이해, 조직관리의 경영...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종류, 의의, 경영 리더십(경영자 리더쉽)의 이론, 경영 리더십...
[기업인지도][기업][인지도][기업인지도 성공요소][기업인지도 이미지구조][브랜드인지][CEO]...
[기업 역할][기업][이미지][총무][기관투자자]기업 이미지 역할, 기업 총무 역할, 기업 기관...
리더십)기업의 최고경영자(CEO)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의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이러한...
리더쉽)기업의 최고경영자(CEO)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의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이러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