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특수학교 전환교육의 방향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전환교육의 내용

Ⅲ. 전환교육의 현황

Ⅳ. 전환교육의 문제점

Ⅴ. 전환교육 대책

Ⅶ.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급한 문제이다. 특히 중등과정의 직업관련교과 담당교사를 범직업교사군으로 묶어 다양한 직업 프로그램과 직업교육 체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고려해 볼 수 있다. 아울러, 직업교육과 관련된 시설, 설비 및 관련규정과 법을 정비하여 학교가 자율성을 가지고 전환교육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데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Ⅵ. 고용창출을 위한 지역전환학급(community transition class)설치
전환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장애인을 보다 많이 고용시키는데 있다. 전환교육의 단계인 투입, 과정, 결과에서 장애인들에게 기능적 생활중심교육 과정을 충분히 다루는 통합된 학교 환경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었다 하더라도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환교육으로 고용창출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지역사회중심의 서비스가 잘 이루어진다면 고용창출은 활발해질 것이다.
(1) 지역전환학급의 설치
전환교육에 의한 고용창출 방안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백화점, 산업체 등의 지역전환교육의 장(편의상 지역전환학급이라 한다)을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싶다. 중도장애인을 위한 전환고용을 위해서는 지역전환학급을 백화점에 설치해 중도장에인에게 능력에 따른 고용에 필요한 기초기술을 습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옷가게에서는 손님들이 고르다 놓은 옷을 정리하는 일, 햄버거 가게 피자가게에서 휴지 접기 등의 훈련을 현장에서 직접 해보게 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일들에 잘 적응되거나 가능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직접 가게 주인과 상담을 통하여 고용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그외에도 각종 산업체(전기기구 생산공장, 봉제공장 등)에서는 산업체 내에 지역전환학급 설치를 통해 직접 실습을 함으로써 그 일을 익히고 취업을 알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지역전환학급을 설치한 산업체에 대한 지원
지역전환학급을 설치한 산업체의 고용주에게는 손해가 가지 않도록 국가에서 각종 혜택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즉, 전환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인건비, 시설활용에 대한 보상비 등의 지원이 그것이다. 이러한 보상비의 엽출은 장애인고용촉진법에 의해서 부담금으로 모아진 재원으로 보상하는 방안도 강구해 볼만하다. 또한 이러한 산업체에 대해서 장애인 의무고용을 면제해 주는 방안도 있을 것이다.
(3) 예산 절감 및 다양한 직종개발
지역전환학급이나 기술교육을 위해서 별도의 시설을 갖췄을 경우에는 국가 예산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시설을 설치했다하더라도 몇 년 가지 않아서 더 좋은 첨단 기계를 도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번거러움과 시설투자의 효율성을 감안하더라도 산업체에 의한 지역전환교육 학급을 설치해 놓을 경우 투자에 대한 예산절감을 통해 다양하고 보다 많은 장애인들의 고용창출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방안이라 하겠다. 이는 산업체의 현장에서 바로 전환교육이 이루어지므로 직종에 적응할 수 있는 훈련을 이중으로 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Ⅶ. 맺는 말
고등학교, 중등 후기 서비스 및 고용후 첫 몇 년간을 함께 전환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목표는 장애인 개인이 의미 있는 수준의 임금을 받으며, 고용되고, 지역사회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앙 및 지방 정부, 지역의 다양한 기관들의 역할과 책무의 재구조화와 재사고화로 중복되지 않은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중등 후기 환경에서 전환교육은 장애의 정도 때문에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Wilcox와 Bellamy(1982)는 전환교육 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개별화된 종합적인 전환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케이스 관리 접근을 이용할 것. 둘째, 최종 학년에서 시작할 것 셋째, 성인 서비스와 연계시킬 것 넷째, 지역 중심으로 설계할 것 다섯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등이다.
이제 우리의 전환기 교육도 생활중심 전환교육(Life-Career Education Model), 경험중심 전환교육(The Experience-Based Career Education Model), 학교중심 전환교육(The School-Based Comprehensive Career Education Model)등 다양한 모형을 검토하고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보다 경주해야 하겠지만, 전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장애인을 위한 보다 많은 고용창출에 있으므로 지역사회의 각종 산업체가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전환학급을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전환학급을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 지역전환학급을 설치한 산업체에 대해서는 인건비, 시설비 등을 국가차원에서 지원해야 될 것이다. 지역전환학급 설치의 운영을 장애인들의 적성에 맞는 직종을 빠른 시일내에 찾아 적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종에 종사할 수 있어서 장애인고용 창출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산업체에서는 장애인고용촉진법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아울러 다양한 혜택을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1993). 특수학교 직업지도의 이론과 실제
오진승 (199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고용 지침서,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이효자 외 (1996). 특수교육요구학생 진로교육 강화방안. 국립특수교육원
Helperm, A.S. (1985). Transition A look at the founda-tion Exceptional Children. 51(6), 479-486.
Wehman, P. et al (1988).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Baltimore Paul Brookes.
Will, M. C. (1984). OSERS programming for the transi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Bridge from school to working life. Washington, DC: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 U.S.department of Education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4.2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