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1. 북아일랜드 소개
2. 북아일랜드 분쟁의 발단
① 아일랜드와 영국의 관계 형성
② 영국의 아일랜드 점령
③ 아일랜드 분리독립
3. 분리독립 이후 정황과 분쟁 원인
① 분리독립 그 이후
② 분쟁의 원인
4. 북아일랜드 정당
① 다수 정당의 창설과 의의
② 신교계 정당
③ 구교계 정당
④ 중립 정당
5. 평화로의 단계와 노력
① 북아일랜드 분쟁의 정전과정
② 평화협정 체결과정
③ 평화협정 체결 그 이후
6. 북아일랜드 추후 전망과 결론
관련자료1
관련자료2
참고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2. 북아일랜드 분쟁의 발단
① 아일랜드와 영국의 관계 형성
② 영국의 아일랜드 점령
③ 아일랜드 분리독립
3. 분리독립 이후 정황과 분쟁 원인
① 분리독립 그 이후
② 분쟁의 원인
4. 북아일랜드 정당
① 다수 정당의 창설과 의의
② 신교계 정당
③ 구교계 정당
④ 중립 정당
5. 평화로의 단계와 노력
① 북아일랜드 분쟁의 정전과정
② 평화협정 체결과정
③ 평화협정 체결 그 이후
6. 북아일랜드 추후 전망과 결론
관련자료1
관련자료2
참고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본문내용
일랜드 정부의 공동통치가 가능할 수도 있음을 경고
10.9. 오마하 테러 사태의 주범인 4명의 신원 공개
10.25. IRA는 무기 재사찰 허용 용의 표명
12.4. 존 흄 SDLP 당수 사임
12.12. 클린턴 미대통령 벨파스트 방문, 평화유지중재자 역할 자임 천명
2001년- 1.23. 블레어 영국 총리는 경찰개혁, 무장해제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강조
1.24. 만델슨 북아일랜드 장관 사임
1.21. 트림블 IRA의 무장해제 약속 불이행으로 평화협정 재검토 주장
3.5. BBC방속국 외곽에서 대규모 폭발사건 발생
3.8. IRA 무장해제위원회 샤스텔렝 장군과의 회담 제의
4.12. 구교도계 인구가 46% 정도라는 통계 발표
5.8. 트림블 수석장관 공동자치정부에서 사임 천명
5.23. 대통령에서 물러난 클린턴 북아일랜드 방문, 화해와 조정 역설
6.7. 영국 총선 결과, 강경파 입지 확대
6.18. 블레어 영국 총리와 아헌 아일랜드 총리간 회담 개최
7.1. 트림블 수석장관직 사임, 8월 12일까지 후계자 지명 불가시 북아일랜드 의회 기능 중지 및 선거 실시, 또는 영국의회의 직접 통치 불가피
7.2. 샤스텔렝 장군 IRA 무장해제의 실질적 진전 없음을 발표
7.8. 오렌지 행진 평화적으로 실시
7.9. 영국/아일랜드 총리간 회담 개최, 진전 없음
7.13. 최근 수년동안 있었던 폭력사태중 최악의 사태 벨파스트에서 발생
7.14. IRA는 3개의 무기 은닉처 폐쇄를 발표, 영국 및 아일랜드 정부는 최종합의안 제시
7.17. 부시 미대통령, 북아일랜드 사태 해결의 적극적 의지 표명
7.29. 북부 벨파스트에서 18세 청소년 총격 사망
8.1. 영국/아일랜드 정부는 무장해제가 평화정착과정의 핵심임을 재차 강조
8.2. REAL IRA 소행으로 의심되는 대규모 자동차 폭발 웨스트런던에서 발생, 7명 부상
8.7. 트림블 IRA의 제안 일축
8.9. IRA 무장해제에는 동의, 구체적인 일정표 제시 거부
8.10. 영국정부는 북아일랜드 의회의 24시간 기능 정지를 선언
8.13. 콜롬비아 정부는 REAL IRA 소속원들을 폭탄제조물 및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
8.14. IRA 기제의한 무장해제 제안을 철회
8.21. SDLP 및 지역 가톨릭 주교들 북아일랜드의 경찰개혁안에 대한 지지의사 표명
8.30. 트림블 당수 공화주의자들의 정책변경 불가시 평화정착 구조 붕괴 경고
9.2. 북부 벨파스트 지역에서 경찰에 대한 폭탄 공격 위험 고조
9.3. 200여명의 가톨릭계 학생들 테러위험 공포에 직면
9.5. 벨파스트 북부지역에서 학생 보호를 담당한 4명의 경찰관 부상
9.7. 부시 미대통령 리차드 하스 특별대사 파견, 평화협상 중재 모색
※관련자료2
-사진, 그림, 그래프, 문서-
1. <1981년부터 1998년 까지의 북아일랜드 주요 4개정당의 투표율 결과>
2. <힐스보로에서 1985년 11월 15일 체결된 앵글로-아이리쉬 협정의 문서>
3. <1861년과 1991년 아일랜드의 신교도 분포 변화>
4. <1641년에서 1703년 사이에 크롬웰의 아일랜드 가톨릭 교도들의
말살정책으로 인한 인구 변화>
5. <북아일랜드 실측도>
6. <신페인의 무장단체인 IRA의 테러로 폐허로 변한 더블린 시내>
7. <무장단체인 IRA의 시내 훈련 모습>
8. <1969년 데리(현 런던데리)로 진입하는 영국군대>
9. <1970년 영국군 부대의 진입을 반대하는 북아일랜드 시민>
10. <1972년 1월 30일 시위대를 향해 바리케이드를 치고 발포하는 영국군>
11. <1972년 1월 30일에 영국군의 총격에 부상당한 북아일랜드 시민>
12. <1972년 1월 30일에 영국군의 총격으로 부상당한 시민을 후송>
13. <1972년 1월 30일 영국군에 총격에 사망한 북아일랜드 시민>
13. <가톨릭 시가지를 통과하는 오렌지 오더의 연례 행진>
14.
14.
15. <거리시위에 나서는 아일랜드 어린이>
16. <가톨릭 교도와 신교도 간의 분쟁의 단면을 보여주는 벨파스트 장벽>
※참고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박지향 (2002). “슬픈 아일랜드” - 새물결
윤정묵 (1994). “예이츠와 아일랜드” - 전남대학교 출판부
피터 그레이 (1998). “아일랜드 대기근” 장동현(역) - 시공사
이명철 (2001). “북아일랜드 분쟁의 성격과 한계” - 한국국방연구원
유영철 (2000). “북아일랜드 평화는 없는가” -한국국방연구원
이병곤 “평화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 평화교육 연구모임
강순원 “꼬리밀라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본 북아일랜드의 평화교육의 실체”
국제이해교육원 (web site). http://ceiu.unesco.or.kr/aceiu_data/europe/ireland_02.html
매일선교소식 (web site). http://www.songdojeil.or.kr/da_mission/view1201.htm
국방저널 (web site). http://www.dema.go.kr/jour/jour01.html
한국국방연구원 (web site). http://www.kida.re.kr/new/index.asp
북아일랜드 소개 (web site). http://my.netian.com/~doogie74/nation/nireland.htm
아일랜드 국가 개황 (web site). http://segero.hufs.ac.kr/eu/ireprofile.htm
Belfast hompage (web site). http://www.belfast.net
CNN.com special (web site). http://europe.cnn.com/SPECIALS/2000/n.ireland
CAIN web service (web site). http://cain.ulst.ac.uk/events
Irish history (web site). http://wwwvms.utexas.edu/~jdana/irehist.html
Ireland hompage (web site). http://www.ireland.com
10.9. 오마하 테러 사태의 주범인 4명의 신원 공개
10.25. IRA는 무기 재사찰 허용 용의 표명
12.4. 존 흄 SDLP 당수 사임
12.12. 클린턴 미대통령 벨파스트 방문, 평화유지중재자 역할 자임 천명
2001년- 1.23. 블레어 영국 총리는 경찰개혁, 무장해제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강조
1.24. 만델슨 북아일랜드 장관 사임
1.21. 트림블 IRA의 무장해제 약속 불이행으로 평화협정 재검토 주장
3.5. BBC방속국 외곽에서 대규모 폭발사건 발생
3.8. IRA 무장해제위원회 샤스텔렝 장군과의 회담 제의
4.12. 구교도계 인구가 46% 정도라는 통계 발표
5.8. 트림블 수석장관 공동자치정부에서 사임 천명
5.23. 대통령에서 물러난 클린턴 북아일랜드 방문, 화해와 조정 역설
6.7. 영국 총선 결과, 강경파 입지 확대
6.18. 블레어 영국 총리와 아헌 아일랜드 총리간 회담 개최
7.1. 트림블 수석장관직 사임, 8월 12일까지 후계자 지명 불가시 북아일랜드 의회 기능 중지 및 선거 실시, 또는 영국의회의 직접 통치 불가피
7.2. 샤스텔렝 장군 IRA 무장해제의 실질적 진전 없음을 발표
7.8. 오렌지 행진 평화적으로 실시
7.9. 영국/아일랜드 총리간 회담 개최, 진전 없음
7.13. 최근 수년동안 있었던 폭력사태중 최악의 사태 벨파스트에서 발생
7.14. IRA는 3개의 무기 은닉처 폐쇄를 발표, 영국 및 아일랜드 정부는 최종합의안 제시
7.17. 부시 미대통령, 북아일랜드 사태 해결의 적극적 의지 표명
7.29. 북부 벨파스트에서 18세 청소년 총격 사망
8.1. 영국/아일랜드 정부는 무장해제가 평화정착과정의 핵심임을 재차 강조
8.2. REAL IRA 소행으로 의심되는 대규모 자동차 폭발 웨스트런던에서 발생, 7명 부상
8.7. 트림블 IRA의 제안 일축
8.9. IRA 무장해제에는 동의, 구체적인 일정표 제시 거부
8.10. 영국정부는 북아일랜드 의회의 24시간 기능 정지를 선언
8.13. 콜롬비아 정부는 REAL IRA 소속원들을 폭탄제조물 및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
8.14. IRA 기제의한 무장해제 제안을 철회
8.21. SDLP 및 지역 가톨릭 주교들 북아일랜드의 경찰개혁안에 대한 지지의사 표명
8.30. 트림블 당수 공화주의자들의 정책변경 불가시 평화정착 구조 붕괴 경고
9.2. 북부 벨파스트 지역에서 경찰에 대한 폭탄 공격 위험 고조
9.3. 200여명의 가톨릭계 학생들 테러위험 공포에 직면
9.5. 벨파스트 북부지역에서 학생 보호를 담당한 4명의 경찰관 부상
9.7. 부시 미대통령 리차드 하스 특별대사 파견, 평화협상 중재 모색
※관련자료2
-사진, 그림, 그래프, 문서-
1. <1981년부터 1998년 까지의 북아일랜드 주요 4개정당의 투표율 결과>
2. <힐스보로에서 1985년 11월 15일 체결된 앵글로-아이리쉬 협정의 문서>
3. <1861년과 1991년 아일랜드의 신교도 분포 변화>
4. <1641년에서 1703년 사이에 크롬웰의 아일랜드 가톨릭 교도들의
말살정책으로 인한 인구 변화>
5. <북아일랜드 실측도>
6. <신페인의 무장단체인 IRA의 테러로 폐허로 변한 더블린 시내>
7. <무장단체인 IRA의 시내 훈련 모습>
8. <1969년 데리(현 런던데리)로 진입하는 영국군대>
9. <1970년 영국군 부대의 진입을 반대하는 북아일랜드 시민>
10. <1972년 1월 30일 시위대를 향해 바리케이드를 치고 발포하는 영국군>
11. <1972년 1월 30일에 영국군의 총격에 부상당한 북아일랜드 시민>
12. <1972년 1월 30일에 영국군의 총격으로 부상당한 시민을 후송>
13. <1972년 1월 30일 영국군에 총격에 사망한 북아일랜드 시민>
13. <가톨릭 시가지를 통과하는 오렌지 오더의 연례 행진>
14.
14.
15. <거리시위에 나서는 아일랜드 어린이>
16. <가톨릭 교도와 신교도 간의 분쟁의 단면을 보여주는 벨파스트 장벽>
※참고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박지향 (2002). “슬픈 아일랜드” - 새물결
윤정묵 (1994). “예이츠와 아일랜드” - 전남대학교 출판부
피터 그레이 (1998). “아일랜드 대기근” 장동현(역) - 시공사
이명철 (2001). “북아일랜드 분쟁의 성격과 한계” - 한국국방연구원
유영철 (2000). “북아일랜드 평화는 없는가” -한국국방연구원
이병곤 “평화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 평화교육 연구모임
강순원 “꼬리밀라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본 북아일랜드의 평화교육의 실체”
국제이해교육원 (web site). http://ceiu.unesco.or.kr/aceiu_data/europe/ireland_02.html
매일선교소식 (web site). http://www.songdojeil.or.kr/da_mission/view1201.htm
국방저널 (web site). http://www.dema.go.kr/jour/jour01.html
한국국방연구원 (web site). http://www.kida.re.kr/new/index.asp
북아일랜드 소개 (web site). http://my.netian.com/~doogie74/nation/nireland.htm
아일랜드 국가 개황 (web site). http://segero.hufs.ac.kr/eu/ireprofile.htm
Belfast hompage (web site). http://www.belfast.net
CNN.com special (web site). http://europe.cnn.com/SPECIALS/2000/n.ireland
CAIN web service (web site). http://cain.ulst.ac.uk/events
Irish history (web site). http://wwwvms.utexas.edu/~jdana/irehist.html
Ireland hompage (web site). http://www.ireland.com
추천자료
[사회과학] 한국 라디오의 역사
인간관계 심리학<해피엔드> 와 <스토리오브어스> 비교 및 분석
우리나라 정책결정에 있어서의 제약요인과 합리성 제고 방안
[공연예술]극장운영의 전문적 정비와 운영재정 확보의 문제점과 개선
생애개발에서 개인이 해야할 부분과 조직이 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비교 - 생애개발 교육, 라...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정의와 특징,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장단점, 자바스크립트...
초고층건물의 관련설비
[국경일, 국경일 개념, 국경일 종류, 국경일 예절, 국경일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
기업분석(한국기업분석)의 경영평가항목, 홈페이지평가항목, 기업분석(한국기업분석)의 교육...
[평생교육방법론 공통] 1. 평생교육의 개념을 기술, 평생교육의 대상과 내용에는 어떠한 것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