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론적 배경

2. 전환교육의 개념

3. 전환교육의 필요성

4. 전환교육 과정

5. 전환교육 모형

6. 우리나라 전환교육 운영 현황

7.한국 전환교육의 문제점

8. 전환교육 실천 방안

9. 한국의 전환교육 발전방안

본문내용

습 환경을 조성해 주는 일이 중요하다.
② 학교장은 전환교육이 특수교육요구학생에게 실제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조직을 강화하고 실천에 필요한 시설 환경, 자료 수집과 개발, 교과할동을 통한 지도가 가능하도록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③ 전환교육 담당 교사에게 전환교육에 관련한 연수 기회를 주어 체계적인 전환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④ 모든 교과의 지도 속에 전환교육의 목표를 우선 순위로 정하고 교과활동, 특별활동, 학교행사 시간에도 연계 지도를 하도록 강화시켜야 한다.
⑤ 지역사회 자원 인사 및 졸업생들의 참여로 전환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지원, 연수 강화, 행·재정적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2) 전환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역할
① 학부모는 가정에서 자녀들로 하여금 일에 대한 좋은 습관을 형성과 적극적인 가치관과 건전한 직업인으로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② 자녀와의 대화를 통하여 자녀들이 장애 특성과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 및 학교에서 사회로 전환에 성공 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해준다.
③ 자녀와 함께 자녀가 선호하는 직업에 세계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산업체, 졸업생 선배들이 일하는 곳의 견학을 가도록 한다.
3)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①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사회의 자원 인사 및 취업한 졸업생들의 인적자원을 활용한다.
② 지역사회는 교사 및 학생들을 위하여 일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③ 학생들에게 자기가 선택한 직업의 "직무 분석"을 하도록 한다.
④ 학생들에게 자기가 선택한 직업군에 관련된 직업에서 시간제(part time)로 참여하도록 한다.
⑤ 진로의 성공에 필요한 자질에 관하여 관리자나, 감독관 위치에 있는 고용주와 면담할 기회를 주고 학생들로 하여금 관찰한 직업과 관련되어 있는 자료나 도구, 과정 등을 열거하도록 한다.
⑥ 특별활동 시간이나 학교행사 시간에 지역사회에 있는 산업체 견학을 통하여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도록 한다.
⑦ 지역사회에 산업체에서 운영하는 취업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교를 적극 지원하도록 한다.
⑧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직업훈련원을 방문하여 직업안정 및 장애인고용촉진 경향, 실업률, 이직률, 기타 장애인 취업에 관련한 지원고용에 관한 문제를 토의하도록 한다.
⑨ 학생들 자신의 진로 유형을 검토하기 위해서 외부의 자원 인사 초빙을 하고 취업에 성공한 졸업생들이 일하는 곳을 방문하여 그들의 고충과 장애인으로서 취업하기 위한 진로 정보방법을 이해하고 토의하도록 한다.
9. 한국의 전환교육 발전방안
1) 지원체제적 접근
① 전환교육 지역 지원센터의 설립
②개별화 전환교육계획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ITP)의 법적 의무화
③ 전문인 양성 및 연구개발 체제 확립
2) 학교교육적 접근
①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② 직업 훈련/교육의 분리
③ 지역사회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3) 사회적 접근
(1)전환교육을 위한 기업의 역할
①기업과 보호작업장·자립작업장 ·복지공장의 연계.
②경증장애인을 위한 인턴사원제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2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