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술답사에 대한 요구 조사
2. 답사의 기본 방향과 목표
3. 학습 방법
4. 학습 내용 선정
5. 학습 진행
6. 평가 방법 및 평가
설문조사 예
2. 답사의 기본 방향과 목표
3. 학습 방법
4. 학습 내용 선정
5. 학습 진행
6. 평가 방법 및 평가
설문조사 예
본문내용
이유였다고 생각합니다.
내년에 좀 더 나은 답사를 준비하기 위해 올 답사에 대한 여러분의 소리를 듣고자 몇 가지 질문을 준비했습니다. 더 나은 모습으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돌아올 수 있는 내년 답사가 되기 위해서 여러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2000년도 답사의 전반적 상황에 대해
1. 올 답사는 충청남도 공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올 해 초 실시되었던 설문조사의 결과-제주도 42.3%, 충청도 38.1%, 경상도 9.5% 기타-중 현실성을 염두에 두 고 선택했던 것이었습니다. 답사 지역의 선택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2. 답사기간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것도 지역 선택과 마찬가지로 올 초의 설문조사에 따랐습 니다. (2박 3일 46.7%, 3박 4일 39.8%, 4박 5일 4.4%, 기타)올 학습 내용과 전체적인 기간 이 적당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3. 숙소는 계룡산 갑사 근처의 숙소를 사용하였습니다. 숙소의 전반적인 상황은 어떠했습니 까?
·방 문제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식사 문제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4. 교통편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동하신 버스는 어떠셨습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5. 답사 일정은 어떠했습니까?
①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② 약간 짧았다 ③ 적당했다
④ 약간 긴 듯했다 ⑤ 너무 긴 시간이었다
◈ 답사 학습에 대하여
6. 전체 학습에 대한 질문입니다. 올 해 답사의 전체 분과는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갑사, 공주박물관, 연정국악원, 선학리 마을 지게소리 노동요 학습. 이렇게 네 개의 프로그램으 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첫째 날 연정국악원에서 우리 나라의 정가에 대한 학습과 전통 국악기에 학습 및 실습이 있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둘째 날 저녁 시간에 선학리 마을에 갔었습니다. 선학리 마을에서 그 마을의 지게 소리 노동요를 보고 지게 놀이 체험도 해보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마지막 날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을 다녀왔는데, 아쉽게도 수리 중이라서 내부에까진 들 어가지 못했지만 같이 고분군을 한 번 돌아보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마지막날 서울로 출발하기 전 갑사에 들러서 당간지주를 비롯한 공우탑 등을 보고 가바 주지 스님의 설명도 듣고 왔는데 갑사 방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마지막날 공주박물관을 들러서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비롯한 충남 지역 발굴 유물 등을 보았는데, 이것이 답사의 성격이나 혹은 전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만약 전체 일정에 대해 지적하시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8. 분과학습에 대한 질문입니다. 2000년도 답사는 총 세 개의 분과로 나누어져 활동하였습니 다. 자신이 속한 분과에 표시를 해주시고 분과 내용에 대한 설문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 다.
① 도자기 분과 ② 설화 분과 ③ 현대 작가 분과
·분과 학습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은 어느 것입니까?
① 분과별 사전 학습 ② 참여에 대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자세
③ 분과 내용의 참신성 ④ 답사 준비자들의 준비 정도 ⑤ 기타
·분과의 학습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만족하지 않으신다면 밑의 기타라네 써주시기 바랍니 다.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분과 학습 후 확실한 결과물을 얻어내셨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9. 이번 답사에서 가장 흥미를 가지고 참여했던 순서는 무엇이었습니다.
10. 이번 답사에서 가장 아쉬웠던 점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 2001년 답사에 대하여
11. 2001년 답사 지역에 대한 문항입니다. 어느 지역이 좋을 지 희망 지역을 적어주시기 바 랍니다.
12. 며칠의 답사 기간이 학습을 하는데 효과적인 시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1박 2일 ② 2박 3일 ③ 3박 4일 ④ 4박 5일 ⑤ 기타
13. 전체 학습 형태는 어떤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전체 분과로만 진행 ② 분과 활동으로만 진행
③ 분과 학습과 전체 학습의 적절한 조화 ④ 기타
14. 어떤 학습이 이루어지길 바라십니까?
① 구비·고전 문학 ② 현대 문학 ③ 방언학 ④ 국어학 ⑤ 기타
15. 참여 형태는 어떤 것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가하십니까?
① 체험 ② 강연 ③ 관람 ④ 기타
16. 답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답사 지역 및 내용의 참신성 ②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성
③ 학습내용의 다양성 ④ 답사 학습의 사전 준비성
⑤ 학습 내용의 학술성
내년에 좀 더 나은 답사를 준비하기 위해 올 답사에 대한 여러분의 소리를 듣고자 몇 가지 질문을 준비했습니다. 더 나은 모습으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돌아올 수 있는 내년 답사가 되기 위해서 여러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2000년도 답사의 전반적 상황에 대해
1. 올 답사는 충청남도 공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올 해 초 실시되었던 설문조사의 결과-제주도 42.3%, 충청도 38.1%, 경상도 9.5% 기타-중 현실성을 염두에 두 고 선택했던 것이었습니다. 답사 지역의 선택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2. 답사기간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것도 지역 선택과 마찬가지로 올 초의 설문조사에 따랐습 니다. (2박 3일 46.7%, 3박 4일 39.8%, 4박 5일 4.4%, 기타)올 학습 내용과 전체적인 기간 이 적당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3. 숙소는 계룡산 갑사 근처의 숙소를 사용하였습니다. 숙소의 전반적인 상황은 어떠했습니 까?
·방 문제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식사 문제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4. 교통편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동하신 버스는 어떠셨습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5. 답사 일정은 어떠했습니까?
① 너무 짧은 시간이었다 ② 약간 짧았다 ③ 적당했다
④ 약간 긴 듯했다 ⑤ 너무 긴 시간이었다
◈ 답사 학습에 대하여
6. 전체 학습에 대한 질문입니다. 올 해 답사의 전체 분과는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갑사, 공주박물관, 연정국악원, 선학리 마을 지게소리 노동요 학습. 이렇게 네 개의 프로그램으 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첫째 날 연정국악원에서 우리 나라의 정가에 대한 학습과 전통 국악기에 학습 및 실습이 있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둘째 날 저녁 시간에 선학리 마을에 갔었습니다. 선학리 마을에서 그 마을의 지게 소리 노동요를 보고 지게 놀이 체험도 해보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마지막 날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을 다녀왔는데, 아쉽게도 수리 중이라서 내부에까진 들 어가지 못했지만 같이 고분군을 한 번 돌아보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드셨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본인의 의지가 있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이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면 어느 점을 지적하시겠습니까?
① 내용의 참신성 ② 흥미성 ③ 체험의 다양 ④ 사전 준비성 ⑤ 학술성
·마지막날 서울로 출발하기 전 갑사에 들러서 당간지주를 비롯한 공우탑 등을 보고 가바 주지 스님의 설명도 듣고 왔는데 갑사 방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 ② 그저 만족 ③ 보통 ④ 조금 불만족 ⑤ 매우 불만족
·마지막날 공주박물관을 들러서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비롯한 충남 지역 발굴 유물 등을 보았는데, 이것이 답사의 성격이나 혹은 전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만약 전체 일정에 대해 지적하시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8. 분과학습에 대한 질문입니다. 2000년도 답사는 총 세 개의 분과로 나누어져 활동하였습니 다. 자신이 속한 분과에 표시를 해주시고 분과 내용에 대한 설문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 다.
① 도자기 분과 ② 설화 분과 ③ 현대 작가 분과
·분과 학습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은 어느 것입니까?
① 분과별 사전 학습 ② 참여에 대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자세
③ 분과 내용의 참신성 ④ 답사 준비자들의 준비 정도 ⑤ 기타
·분과의 학습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만족하지 않으신다면 밑의 기타라네 써주시기 바랍니 다.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분과 학습 후 확실한 결과물을 얻어내셨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9. 이번 답사에서 가장 흥미를 가지고 참여했던 순서는 무엇이었습니다.
10. 이번 답사에서 가장 아쉬웠던 점을 써 주시기 바랍니다.
◈ 2001년 답사에 대하여
11. 2001년 답사 지역에 대한 문항입니다. 어느 지역이 좋을 지 희망 지역을 적어주시기 바 랍니다.
12. 며칠의 답사 기간이 학습을 하는데 효과적인 시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1박 2일 ② 2박 3일 ③ 3박 4일 ④ 4박 5일 ⑤ 기타
13. 전체 학습 형태는 어떤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전체 분과로만 진행 ② 분과 활동으로만 진행
③ 분과 학습과 전체 학습의 적절한 조화 ④ 기타
14. 어떤 학습이 이루어지길 바라십니까?
① 구비·고전 문학 ② 현대 문학 ③ 방언학 ④ 국어학 ⑤ 기타
15. 참여 형태는 어떤 것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가하십니까?
① 체험 ② 강연 ③ 관람 ④ 기타
16. 답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답사 지역 및 내용의 참신성 ②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성
③ 학습내용의 다양성 ④ 답사 학습의 사전 준비성
⑤ 학습 내용의 학술성
추천자료
[교육심리학]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콜버그...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
(교육심리학 2015)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에...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교육심리학4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의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 2)에릭슨(Er...
[교육敎育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 교...
[2016 교육심리학]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