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장애인 복지의 상호연관성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언론비판

2. 자본주의 사회의 언론구조비판

3. 언론전달주체(언론기관과 언론인) 비판

4. 언론 내용의 비판

5. 언론 수용 주체비판

6. 언론전달의 결과비판

7. 장애인문제의 보도와 논평 및 프로그램의 문제

본문내용

stereotyping) 작용을 한다.
2. TV프로그램에서의 장애인 묘사방식이 비참한 장애인이나 장애인으로 2분적 대별되어 정형화되고 있다. 장애인이 보통사람처럼 다양한 삶을 살지 못할 것처럼 보게 한다.
① 비참한 장애인 : 무능력한데다 사회적 시선으로 말미암아 낙담하고 비통해 하는 모습→행복은 육체적으로 온전할 때만 올 수 있다는 암묵적인 MSG를 나타낸다.
② 초인적인 장애인 :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해내는 초인(Helen Keller) 또는 일반인이 지각할 수 없는 소리나 냄새를 기억해내어 복잡한 범죄사건을 해결하는 앞 못보는 소녀의 모습.(Katter the untold stories of Africa; why
TV is missing some big ones. TV Guide 1986 May 24. pp.2-12)
◐ TV의 소수집단 묘사 방식의 변천 4단계
Cedric Clark, Television and Social controls; some observation of the portrayal of ethnic minorities Television Quarterly-
① 부인(否認)의 단계(nonrecognition) : 사회에 장애인이 존재할지라도 TV에는 부존재(不存在)한다.
② 조소의 단계(ridicule) : 무능하고 비지성적인 푼수. 일반인의 우월성만 나타냄.
③ 조정의 단계(regulation) : 현존하는 질서의 옹호자(정부관료, 탐정, 스파이, 판검사) 등
④ 존중의 단계(respect) : 등장인물들의 유형이 다양화됨.
3.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장애인 등장이 어느 단계에 있는가?
① 장애인에 대한 기존(旣存)의 편견을 보강하는 경향이 크다.
② 특히 TV는 그것이 제시하는 상징적 세계가 시청자의 실세계에 대한 개념을 만들어주고 유지하여 배양시키기도 한다.(Mainstreaming과 Resonance).
③ 의제설정기능 : 장애인 문제에 대한 정확하고 편견 없는 보도는 수용자의 의제설정과 올바른 여론형성에 기여하는 바 클 수 있다.
4. 장애인의 인권문제에 대한 배려
① 정신을 육체의 특정부문(뇌수)의 고유한 기능이라고 볼 때 육체장애인과 정신장애인의 구분은 육체 각부문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를 매겨 장애인간 층위를 생산하여 장애인들에게도 비장애인과 같은 약육강식의 법칙에 순응하도록 길들일 수 있다 : 언론의 장애인문제 취급을 그래서 더욱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② 이 세심한 배려는 곧 장애인에게 참다운 인권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참다운 언론권이란
Right to communicate (Jean d'Arty 제안 1960)
1) Right to speak
2) Right not to speak
3) Right to hear
4) Right not to hear
1)은 장애인이 하고 싶은 얘기, 할 수 있는 능력을 보태는 것. 2)는 장애인의 비밀, 장애인 가족, 본인의 아픔을 드러내고 싶지 않은 것. to be let alone 3)은 장애인 복지문제에 대한 관심. 장애인문제를 은폐하고 사각지대화(死角地帶化). 4)는 장애인에 대한 값싼 동정을 보도하여 강자(强者)의 자선(慈善)이 마치 공공복지를 위한 것인 양하는(강자의 천당 가겠다는 속셈) 내용을 보도, 왼손 하는일 오른손 모르게 즉 드러낼 것은 드러내고 감추고 싶은 것은 감추게 해야...
5. 장애인과 언론 문제의 개선방안
① 적극적인 장애인 대항언론 체제의 구축은 자본주의 언론제도유지에 필요한 자금력을 풍부하게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성이 덜하다. 조달방법, 국가보조한계, 장애인 및 그 가족들이 상부상조도 한계, 교회나 사찰등의 협조도 필요하다.
② 장애인이 참다운 언론인(Right to Communicate)을 보장하여 장애인의 인권이 왜곡없이 발현되게 꾸준한 의식향상 노력이 계속되어야하며 公共언론분야의 시청자 대표로 장애인의 소수자 대표 파견이 필요하다.(방송위원회 등에)
③ 장애인의 사회문제에 대한 보도.논평의 사각(四角) 지대화를 막기 위해서는 장애인 본인이나 가족의 복지요구를 명분으로 장애인과 그 가족에게 아픔을 주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사생활을 보호받고 싶을 때는 보호받게 하고, 열등감이나 좌절감을 자극하는 일 등은 그만두게 하여야 하고, 일반인에게 장애인이 온갖 슬픔과 재난, 카타르시스를 받도록 해서는 안된다. 장애인 돕는 일은 은밀하게 해야지 속이 뻔히 들여다 보이는 자선은 정상인 자신의 행복추구에 장애인을 이용하려는 배덕 행위이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