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양오염의 자정작용
1. 토양오염이란?
2. 토양의 조성과 성질
3. 토양오염 물질
4. 토양오염의 경로 및 원인
5. 토양오염에 의한 영향
6. 토양오염원
7. 토양오염 방지대책
8.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9. 자연토양의 수질 정화기능 : 총괄
*수질오염의 자정작용
1. 물의 자정작용
2. 하천의 자정단계
3. 수질오염
4. 수질오염의 형태
5. 수질오염의 예방대책
*대기오염의 자정작용
1. 대기오염
2. 대기오염의 원인과 피해 그리고 대책
3. 대기의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
*식물오염의 자정작용
1. 식물의 오염정화 기능
1. 토양오염이란?
2. 토양의 조성과 성질
3. 토양오염 물질
4. 토양오염의 경로 및 원인
5. 토양오염에 의한 영향
6. 토양오염원
7. 토양오염 방지대책
8.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방법
9. 자연토양의 수질 정화기능 : 총괄
*수질오염의 자정작용
1. 물의 자정작용
2. 하천의 자정단계
3. 수질오염
4. 수질오염의 형태
5. 수질오염의 예방대책
*대기오염의 자정작용
1. 대기오염
2. 대기오염의 원인과 피해 그리고 대책
3. 대기의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
*식물오염의 자정작용
1. 식물의 오염정화 기능
본문내용
사되었으며 각 가정, 학교, 음식점, 호텔 등의 세탁장, 화장실, 조리실 등에서 나오는 폐수(유기물, 세제 화공약품)의 정수처리(여과, 침전), 쓰레기 양 줄이기와 제대로 버리기를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공장, 공업단지, 병원, 연구소 등의 폐수와 쓰레기 처리
전국의 산업장 및 병원, 연구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폐수 정화시설을 반드시 설치하고 오염물질(유기물, 약품, 약병, 중금속류 등)을 하수로 무단방류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농축산 사육장, 골프장, 농축산물 가공업소의 정수시설
분뇨, 소독 살균, 약 품 등의 폐수를 무단 방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학교, 아파트의 물탱크
음용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물탱크는 수시로 적정 시기에 깨끗이 청소하고 상 하수도를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여 수질오염 예방 을 실천해야 한다.
수질오염 감시, 기술개발
정부의 해당 기관에서는 지역별로 악성 폐수의 무 단방류 현상을 감시 단속하고 대 국민 계몽을 철저히 하며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 도입하여 지역별로 방지대책을 실천해야 한다.
대기오염의 자정작용
1.대기오염
대기오염이란,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농도 및 지속시간이 그 지역 주민의 불특정 다수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공중보건상 해를 미치고 인간, 식물, 동물의 생활에 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자연활동과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대기오염은 발생하며, 대부분은 시간이 경과하면 대기의 자정작용(自淨作用)에 의해서 스스로 정화되어 인간과 동·식물이 살기에 적합하게 된다. 그러나 자정능력에도 한계가 있어 좁은 지역에 대량의 오염물질이 한꺼번에 혹은 계속해서 방출되면, 자연의 자정능력만으로는 오염물질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게 되므로 대기오염현상이 생기게 된다.
2.대기오염의 원인과 피해 그리고 대책
1. 스모그
공장 및 빌딩의 연소시설이나 일반 가정난방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매연과 같이 직접 굴뚝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에 의하여 발생되어 식물의 성장에 장애요인이 되고 눈,코등의 호흡기의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소위 런던형 스모그와 주로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많이 나오는 질소산화물, 탄화수소등이 햇빛(자외선)과 작용하여, 오존, 알데히드, 팬(PAN)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산화성 물질(옥시단트)을 생성 맑은 날에도 안개가 낀 것과 같은 상태의 로스앤젤리스형 스모그로 구분되어진다.
우리 나라의 사례 : '91.12.10 구로동 전철 불통(30분간)은 철도청 구로기지변전소의 정전사고 원인이 차량배기가스로 인한 아연도강선 부식으로 밝혀짐. 도심지내 전차선 및 급전선이 지방에 비해 2.2배정도 조기 부식으로 교체에 따른 경제 적 손실 초래
대책 :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화합물등의 물질의 배 출량규제, 예보규제등이 있다. 그러나 눈앞에 피해와 이익에 눈이 멀어 대부분 차선의 길로 실천되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2. 산성비
pH5∼6이하의 강산의 비. 가장 대표적인 대기오염의 하나로서 우리실생활에서 가장 가까이에서 접할수 있는 오염중의 하나이다.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이산화황(자동차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기타 대기오염
물질 등이 대기중으로 다량 배출되었고, 이렇게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은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산성비의 의한 피해로는 첫째로 토양의 산성화 및 영양분의 용출로 인하여
산림피해가 일어나며, 둘째로는 호수 등이 산성화에 의해 어패류의 감소와
중금속용출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다. 이외에 섬유제품의 퇴색, 금속의
부식, 문화재 및 각종 구조물의 훼손 등 자연 및 생활 환경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대책 : 각국은, 탈황장치 설치등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해서 이산화황 배출량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3. 대기의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
대기의 자정작용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대기 스스로 제거하는 능력이다.
1 공기 자체의 희석작용
2 강우, 강설에 의한 대기 중의 용해성 가스 및 부유분진의 세정작용
3 산소, 오존 및 과산화수소 등에 의한 산화작용
4 태양광선 중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
5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의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교환
식물오염의 자정작용
식물의 오염정화 기능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는 연안을 따라 여러 도시와 산업지역이 형성되어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갯벌의 정화기능에 때한 가치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갯벌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으로, 염생식물(칠면초, 갈대 등)과 저서규조류, 미생물에 의한 흡수와 분해가 일차적으로 활발히 진행된다.
먼저 공원 입구에는 한강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배경으로 수질정화원이 자리잡고 있다. 원래 이곳은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 앉혀 제거하는 역할을 했던 제2 침전지이다. 지금은 부레옥잠, 줄, 부채붓꽃 등 수생식물들의 자정작용(물을 오염시키는 유기물과 인, 질소 등을 뿌리를 통해 흡착·흡수해 물을 깨끗이 하게 함)을 통해 한강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곳에서 정화된 물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환경물놀이터로 흘러 들어간다. 자그마한 모래사장과 발을 담그고 앉아 있을 수 있는 돌이 중간중간에 놓여 있어 간이 물놀이 공간으로 손색없어 보인다.
<<모든 생명체는 자정작용을 한다.>>
모든 생명체는 태어날 때 자정작용을 지닌다. 즉, 탄생과 더불어 독소배출능력을 지니게 되는데, 식물이 발아도 하나의 생명체 탄생으로 식물도 싹이 남과 동시에 자정작용이 일어난다. 아무리 농약으로 길러진 식물일 지라도 일단 발아되면 무 농약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발아는 새로운 영양소의 비축, 영양소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 인터넷 site>>
김좌관 지음 "수질오염 개론" p.112∼113
http://infocom.chonan.ac.kr/~heachol/b/b3.htm
http://myhome.naver.com/environlab/water4.htm
http://venus.semyung.ac.kr/~jmc65/envidata/water/water1.htm
공장, 공업단지, 병원, 연구소 등의 폐수와 쓰레기 처리
전국의 산업장 및 병원, 연구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폐수 정화시설을 반드시 설치하고 오염물질(유기물, 약품, 약병, 중금속류 등)을 하수로 무단방류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농축산 사육장, 골프장, 농축산물 가공업소의 정수시설
분뇨, 소독 살균, 약 품 등의 폐수를 무단 방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학교, 아파트의 물탱크
음용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물탱크는 수시로 적정 시기에 깨끗이 청소하고 상 하수도를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여 수질오염 예방 을 실천해야 한다.
수질오염 감시, 기술개발
정부의 해당 기관에서는 지역별로 악성 폐수의 무 단방류 현상을 감시 단속하고 대 국민 계몽을 철저히 하며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 도입하여 지역별로 방지대책을 실천해야 한다.
대기오염의 자정작용
1.대기오염
대기오염이란,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농도 및 지속시간이 그 지역 주민의 불특정 다수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공중보건상 해를 미치고 인간, 식물, 동물의 생활에 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자연활동과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대기오염은 발생하며, 대부분은 시간이 경과하면 대기의 자정작용(自淨作用)에 의해서 스스로 정화되어 인간과 동·식물이 살기에 적합하게 된다. 그러나 자정능력에도 한계가 있어 좁은 지역에 대량의 오염물질이 한꺼번에 혹은 계속해서 방출되면, 자연의 자정능력만으로는 오염물질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게 되므로 대기오염현상이 생기게 된다.
2.대기오염의 원인과 피해 그리고 대책
1. 스모그
공장 및 빌딩의 연소시설이나 일반 가정난방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매연과 같이 직접 굴뚝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에 의하여 발생되어 식물의 성장에 장애요인이 되고 눈,코등의 호흡기의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소위 런던형 스모그와 주로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많이 나오는 질소산화물, 탄화수소등이 햇빛(자외선)과 작용하여, 오존, 알데히드, 팬(PAN)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산화성 물질(옥시단트)을 생성 맑은 날에도 안개가 낀 것과 같은 상태의 로스앤젤리스형 스모그로 구분되어진다.
우리 나라의 사례 : '91.12.10 구로동 전철 불통(30분간)은 철도청 구로기지변전소의 정전사고 원인이 차량배기가스로 인한 아연도강선 부식으로 밝혀짐. 도심지내 전차선 및 급전선이 지방에 비해 2.2배정도 조기 부식으로 교체에 따른 경제 적 손실 초래
대책 : 광화학스모그의 생성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화합물등의 물질의 배 출량규제, 예보규제등이 있다. 그러나 눈앞에 피해와 이익에 눈이 멀어 대부분 차선의 길로 실천되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2. 산성비
pH5∼6이하의 강산의 비. 가장 대표적인 대기오염의 하나로서 우리실생활에서 가장 가까이에서 접할수 있는 오염중의 하나이다.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이산화황(자동차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기타 대기오염
물질 등이 대기중으로 다량 배출되었고, 이렇게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은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산성비의 의한 피해로는 첫째로 토양의 산성화 및 영양분의 용출로 인하여
산림피해가 일어나며, 둘째로는 호수 등이 산성화에 의해 어패류의 감소와
중금속용출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다. 이외에 섬유제품의 퇴색, 금속의
부식, 문화재 및 각종 구조물의 훼손 등 자연 및 생활 환경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대책 : 각국은, 탈황장치 설치등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해서 이산화황 배출량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3. 대기의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
대기의 자정작용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대기 스스로 제거하는 능력이다.
1 공기 자체의 희석작용
2 강우, 강설에 의한 대기 중의 용해성 가스 및 부유분진의 세정작용
3 산소, 오존 및 과산화수소 등에 의한 산화작용
4 태양광선 중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
5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의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교환
식물오염의 자정작용
식물의 오염정화 기능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는 연안을 따라 여러 도시와 산업지역이 형성되어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갯벌의 정화기능에 때한 가치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갯벌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으로, 염생식물(칠면초, 갈대 등)과 저서규조류, 미생물에 의한 흡수와 분해가 일차적으로 활발히 진행된다.
먼저 공원 입구에는 한강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배경으로 수질정화원이 자리잡고 있다. 원래 이곳은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 앉혀 제거하는 역할을 했던 제2 침전지이다. 지금은 부레옥잠, 줄, 부채붓꽃 등 수생식물들의 자정작용(물을 오염시키는 유기물과 인, 질소 등을 뿌리를 통해 흡착·흡수해 물을 깨끗이 하게 함)을 통해 한강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곳에서 정화된 물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환경물놀이터로 흘러 들어간다. 자그마한 모래사장과 발을 담그고 앉아 있을 수 있는 돌이 중간중간에 놓여 있어 간이 물놀이 공간으로 손색없어 보인다.
<<모든 생명체는 자정작용을 한다.>>
모든 생명체는 태어날 때 자정작용을 지닌다. 즉, 탄생과 더불어 독소배출능력을 지니게 되는데, 식물이 발아도 하나의 생명체 탄생으로 식물도 싹이 남과 동시에 자정작용이 일어난다. 아무리 농약으로 길러진 식물일 지라도 일단 발아되면 무 농약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발아는 새로운 영양소의 비축, 영양소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 인터넷 site>>
김좌관 지음 "수질오염 개론" p.112∼113
http://infocom.chonan.ac.kr/~heachol/b/b3.htm
http://myhome.naver.com/environlab/water4.htm
http://venus.semyung.ac.kr/~jmc65/envidata/water/water1.htm
추천자료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방지 및 해결방안
환경오염과 식품오염
[환경오염실태]우리나라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및 외국사례
코즈의 정리를 통한 환경오염 해결(환경오염 규제만이 해결책인가?)
환경오염의 실태, 수질오염에 관한 보고서
[환경오염] 중국의 산업화와 환경오염
[도심][도시][빌딩리모델링][재개발사업][재개발][항만][소공원][환경오염][진드기류]도심의 ...
환경오염 - 수질오염을 중심으로
[A+ 완성]ppt 발표본 (수질오염과 해양오염에 대해서 )-환경오염원인-
[환경오염][환경오염영화]지구가 멈추는 날+불편한진실+더코브-슬픈돌고래의진실 영화감상문
[환경오염과 에너지개발] 환경오염에 따른 문제와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및 전망
환경오염기본진단과 환경오염정밀진단
전남의 환경오염에 대한 레프트(영산강의 환경오염)
[환경과 오염] 4대강 개발로 인한 환경오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