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환경과 건강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1. 전자파란 무엇인가 ?
2. 전자파의 발생원
3. 전자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사
4. 전자파 규제정책 및 제도
5. 전자파의 차단
6. 생활속에서의 예방 대책

3. 맺음말

본문내용

로부터 60 c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모니터보다 눈높이를 높게 하면 VDT 증후군을 줄일 수 있음.
- 일반적으로 TV 화면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자파 방출량이 증가하며, 제조시기가 오래 된 것일수록 전자파 방출량이 많음.
- 2 m 이상의 거리에서 시청할 것.
- 전자 레인지를 사용할 때 1 m 이상 떨어져 있을 것.
*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
이 병은 컴퓨터 단말기에 의해 생기는 여러 질환이다.
증상으로는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거나 이물감을 느끼게 된다. 또 눈꺼풀이 무거워지 고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목과 등이 뻣뻣해지고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이 질 환은 잘못된 사무공간 디자인, 건조한 사무실 환경, 질이 좋지 않은 VDT 및 VDT사용 자의 잘못된 시력교정과 바르지못한 자세 등에 의해 생긴다.
(2)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은 플러그를 뽑아 놓는다.
-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이 항상 예열상태에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되어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그네트론 부근에서 강한 전자파가 발생하므로 장기간 사용치 않을 때에는 플러그를 뽑아 놓을 것.
- 가정용 전원이 제대로 접지가 되어 있으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더라도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으나 우리 나라의 전원은 대체로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플러그를 뽑아놔야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는다.
(3) 사용시간 및 횟수의 제한
- 직업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임신부의 경우 유산 및 기형아 출산이 높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주당 20시간 이내로 사용할 것.
- 핸드폰 사용자 중 두통, 고막의 통증 등을 호소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또한 뇌암과의 관련성 여부도 거론되므로 10분 이내로 사용시간을 제한할 것.
- 일본에서 4,500여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학생중 25%가 견비통, 눈의 피로, 두통, 메스꺼움을 비롯하여 심지어 발작 또는 졸도에 이르기까지 하는등 여러 건강상의 문제점을 호소하였다고 하므로 비디오 게임을 자제 시키는 것이 좋음.
(4) 전자파 저방출 제품의 선택
- 컴퓨터 모니터의 경우 15인치 보다는 17인치 모니터가 전자파 및 정전기가 덜 발생한다.
- 노트북 컴퓨터는 전자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LCD 모니터)
-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된 전자파 저방출 전기요의 경우 자계는 일반전기요의 1/100 이하, 전계는 1/5이하로 방출된다.
-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자파 차폐섬유는 대략 전계 차단률이 50% 정도로서 고압선로 주변 주택의 커튼이나 벽지로 활용하면 어느 정도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음. 이러한 섬유는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초고주파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가 착용할 경우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5) 주거환경
- 침대나 침구 주위에는 전기제품을 머리에서 멀리 두고 취침 시에는 모든 플러그를 뽑아둔다.
- 고압선로 부근의 주택에서는 고압선로에서 멀리 떨어진 방을 아이들 방 및 침실로 사용하고, 고압선로 쪽에 잎이 큰 활엽수를 놓는다.
- 전기요 및 전기온돌을 사용할 때는 5 cm 정도의 두꺼운 요를 깔면 전자파가 감소된다.
3. 맺음말
여러 교수님의 강의를 통해 매주 생활 환경의 여러 유해요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하면서, 특히 나의 관심을 끈 토픽은 "전자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주제가 전공과 관련이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급변하는 디지털 세계의 산물인 전파통신 산업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자파와 건강'에 대하여 좀더 조사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혹자는 기술의 발전은 '양날의 검'이라고도 표현한다. 우리의 삶을 편안하고 안락하게 해주는 휴대폰,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의 모든 전자 제품은 전자파를 뿜어낸다. 우리는 생활 속에서 전자파를 흡수하고, 전자파를 이용하며, 전자파의 바다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위해 참고문헌과 관련 사이트를 조사하며 수학적 계산과 공학적 접근만을 통해 전자기학을 공부 해온 나에게 이번 보고서는 ESSD의 뜻처럼 '발전'만이 아닌 '환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 Reference
1. 알기 쉬운 전파기술 입문 -도쿠마루 시노부 저 -
2. 전파는 위험하지 않은가 (우려되는 인체에 대한 장애) -도쿠마루 시노부 저-
3. 전자기학 -Hayt 저-
4. http://www.emf.or.kr/ (EMF 전자파 웹사이트)
5. http://medunion.snu.ac.kr/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