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란치스코의 길
-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껴안지 못하는 기독교
- 성 프란치스코-우리의 동시대 사람
- 사회적 적의의 중요성
-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껴안지 못하는 기독교
- 성 프란치스코-우리의 동시대 사람
- 사회적 적의의 중요성
본문내용
라도-에 기초하는 체제가 스스로를 개혁하고, 자비로운 것이 될 가망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때로는 단호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우리는 그러한 체제를 도울 필요가 있다. 여기서 또다시 우리의 형제 프란치스코의 분명하고 어김없는 중요성이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새로운 <프란치스코의 혁명>이 필요하다.
우리에게는 자본주의를 하나의 영성적이며 공경스러운 힘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영성적 이상에 의해 고무된 강력한 사회운동이 필요하다. 새로운 형태의 사회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나는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으로 <프란치스코적 사회주의>를 제안한다. 맑스주의적 방정식은 간단히 말하여 너무나 편협하다. 물질적 재충족과 사유재산의 철폐는 <새로운 인간>-아무도 착취당하지 않는 사회체제를 창조할-의 창조로 자동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인간적 방정식은 궁극적으로 영성적인 것이다. 사회적 정의는 인간 존엄성의 고양과 함께 나란히 가야만 한다. 인간의 궁극적인 해법(解法)은 우리의 영성 속에 있다. 우리가 신성한 우주 속의 신성한 입자로서 인간을 보지 않는 한, 인간 존엄성과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회정의의 근거는 희박한 것이 될 것이다. 장차 폭력적 혁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리는 공격(恭敬)의 경제학을 창조할 필요가 있다.
프란치스코적 사회주의는 모순적인 요소들을 화해시키려는 마술적 행동에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현재의 서양문명의 곤경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로부터 나온 개념이다. 물질적 진보만으로는 낙원의 문에 도달할 수 없다. 소비주의가 천국의 한 형태가 된다는 것은 진정한 행복의 희화화(戱畵化)이다.
우리는 야만적인 공산주의 관료독재에 의해서, 또는 광고산업의 교묘한 기술에 의해서- 그 둘은 모두 우리에게서 진정한 선택의 자유와 정신적 충족을 박탈한다. -조작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운명을 소유할 자격이 있다.
우리의 현재의 싸움은 삶의 의미를 위한 싸움이며, 우리의 생명과 모든 종(種)의 생명을 지키려는 싸움이다. 우리는 지금 영성적 결핍, 실존적 불안, 가치의 진공상태로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것은 모두 자연으로부터 분리되고, 영성적 내용이 비어버린 한 문명의 붕괴의 결과이다. 우리 자신을 소비를 탐하는 마네킹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새 스키너의 비둘기에게 적합한 세계에 거주하기를 선택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것은 3중의 위기이다. 기독교의 위기, 맑스주의의 위기, 그리고 자본주의의 위기가 그것이다. 이들 종교(이들 각각은 종교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의 그 어느 것도 다른 것이 붕괴했다고 해서 위안을 얻을 처지가 못된다. 우리에게는 실제로 새로운 영성적 혁명이 필요하다. 우리의 상상력에 불을 지르고 지속적인 해결 방법을 우리에게 동시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형태의 영성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영성이 프란치스코의 이상에 의해 고취되고 힘을 얻게 될 수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 시대에 참으로 적절한 영성은 단순히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의 부활일 수는 없다. 우리의 기진맥진한 지구의 괴로운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고 동시에 우리의 개인적 삶에 실존적 길잡이를 제공하는 생태적 영성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영성이란 어떤 주어진 시대에 있어서 인간조건의 결정화된 본질이다. 우리 시대에는 지구의 보존을 위한 십자군 원정이 하나의 영성적 기획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현대적 영성은 생태적 의식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구의 치유와 자아의 치유는 우리의 영성적 탐구의 중심에 있다. 생태적 영성이란 오늘날 우리가 하느님을 섬기기 위해서 지구를 섬길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지금 신(新)의 녹색화를 보고 있는 증인이 된다.
우리에게는 자본주의를 하나의 영성적이며 공경스러운 힘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영성적 이상에 의해 고무된 강력한 사회운동이 필요하다. 새로운 형태의 사회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나는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으로 <프란치스코적 사회주의>를 제안한다. 맑스주의적 방정식은 간단히 말하여 너무나 편협하다. 물질적 재충족과 사유재산의 철폐는 <새로운 인간>-아무도 착취당하지 않는 사회체제를 창조할-의 창조로 자동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인간적 방정식은 궁극적으로 영성적인 것이다. 사회적 정의는 인간 존엄성의 고양과 함께 나란히 가야만 한다. 인간의 궁극적인 해법(解法)은 우리의 영성 속에 있다. 우리가 신성한 우주 속의 신성한 입자로서 인간을 보지 않는 한, 인간 존엄성과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회정의의 근거는 희박한 것이 될 것이다. 장차 폭력적 혁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우리는 공격(恭敬)의 경제학을 창조할 필요가 있다.
프란치스코적 사회주의는 모순적인 요소들을 화해시키려는 마술적 행동에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현재의 서양문명의 곤경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로부터 나온 개념이다. 물질적 진보만으로는 낙원의 문에 도달할 수 없다. 소비주의가 천국의 한 형태가 된다는 것은 진정한 행복의 희화화(戱畵化)이다.
우리는 야만적인 공산주의 관료독재에 의해서, 또는 광고산업의 교묘한 기술에 의해서- 그 둘은 모두 우리에게서 진정한 선택의 자유와 정신적 충족을 박탈한다. -조작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운명을 소유할 자격이 있다.
우리의 현재의 싸움은 삶의 의미를 위한 싸움이며, 우리의 생명과 모든 종(種)의 생명을 지키려는 싸움이다. 우리는 지금 영성적 결핍, 실존적 불안, 가치의 진공상태로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것은 모두 자연으로부터 분리되고, 영성적 내용이 비어버린 한 문명의 붕괴의 결과이다. 우리 자신을 소비를 탐하는 마네킹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새 스키너의 비둘기에게 적합한 세계에 거주하기를 선택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것은 3중의 위기이다. 기독교의 위기, 맑스주의의 위기, 그리고 자본주의의 위기가 그것이다. 이들 종교(이들 각각은 종교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의 그 어느 것도 다른 것이 붕괴했다고 해서 위안을 얻을 처지가 못된다. 우리에게는 실제로 새로운 영성적 혁명이 필요하다. 우리의 상상력에 불을 지르고 지속적인 해결 방법을 우리에게 동시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형태의 영성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영성이 프란치스코의 이상에 의해 고취되고 힘을 얻게 될 수 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 시대에 참으로 적절한 영성은 단순히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의 부활일 수는 없다. 우리의 기진맥진한 지구의 괴로운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고 동시에 우리의 개인적 삶에 실존적 길잡이를 제공하는 생태적 영성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영성이란 어떤 주어진 시대에 있어서 인간조건의 결정화된 본질이다. 우리 시대에는 지구의 보존을 위한 십자군 원정이 하나의 영성적 기획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현대적 영성은 생태적 의식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구의 치유와 자아의 치유는 우리의 영성적 탐구의 중심에 있다. 생태적 영성이란 오늘날 우리가 하느님을 섬기기 위해서 지구를 섬길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지금 신(新)의 녹색화를 보고 있는 증인이 된다.
추천자료
환경교육에 관한 고찰 및 환경문제에 대한 사례
환경오염으로 인한 환경권의 위협실태와 대처방안
[환경윤리] 지구촌 환경위기 문제와 환경윤리학
[환경보건경영]환경경영시스템의 대두배경과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체계
[환경공학]환경공학과 환경문제
[해양환경오염][바다오염][적조][해양오염][해양오염방제시스템]해양환경오염(바다오염)의 실...
[환경, 환경문제]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인적자원영향평가][성별영향평가]영향평가의 일반적 절차 고찰과 ...
[환경윤리학]환경윤리학의 정의와 필요성, 환경 윤리적 대책
[환경보존과 과학발전의 관계] 환경의 중요성, 과학의 필요성 및 환경과 과학의 공동 발전 방...
[형사법, 형사법과 경제범죄, 형사법과 기업범죄, 형사법과 환경범죄, 형사법과 성범죄, 경제...
[사회복지행정론] 환경문제가 사회복지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하고, 우리사회의 환경문...
[친환경 농산물 유통] 친환경 농산물 유통의 개선방안 ; 친환경 농산물 유통의 마케팅 사례 분석
(환경법 B형) 종합적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에 대해 설명하시오 (환경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