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계통과 형성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언어의 계통적 분류

2. 알타이 제어

3. 알타이 어족설

4. 한국어의 형성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들이 있었던 듯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함.
1. 한반도 남부 : 마한 진한 변한 신라 백제 가야
2. 한반도 북부 : 예맥 동옥저
3. 만주 남부 : 고구려 부여 읍루
-역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에서 나와 예맥과 동옥저와 부여를 정복해서 고대국가 성립(5세기). 백제는 고구려에서 나와 마한 당을 지배하게 되고, 신라는 진한에서, 가야는 변한에서 나와 각각 그 옛 땅을 지배하다가 6세기 경 가야가 신라에 복속됨. 신라 민족의 기원을 현재로서는 소상히 알 수 없지만, 신라와 진한이 같은 계통의 민족이었다면, 위의 여러 민족 중 읍루를 제외한 다른 민족들은 비교적 친근한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느껴짐. 그후 7세기 말에 고구려와 백제는 신라에 병합됨으로써 명실공히 민족의 통일을 이루고, 이점은 그 이전 삼국의 언어가 같고 다름에 상관없이 한국어의 통일된 언어를 형성한 계기라는 데서 큰 의미가 있음.
- 삼국 이전의 삼한과 부여·예맥 동옥저 읍루등의 언어에 관한 자료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이들 언어가 고대 한국어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알 수 없음. 그러나 삼국 시대의 지명에 공통적 어휘나 접미사가 보이고 그 인명에도 뚜렷한 공통 경향이 잇는 것을 보아 삼국의 언어는 그 이전 시대부터 커다란 차이를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함. 다만 독립된 왕국을 7세기동안 유지해 온 만큼 삼국의 문화적 어휘 - 에컨대 관직 명칭·제도 명칭 등-는 서로 차이를 드러내게 되었다고 봄. 이러한 차이들이 신라의 삼국통일에 의해 고대 한국어에 흡수·융합되었고, 이어 고려 건국에 다른 경기도 개성으로의 수도 옮김은 옛고구려의 방언이 고대 한국어 공통어 형성에 다소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됨. 결국 고대 한국어는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 언어를 주축으로 하여 10세기경 옛 고구려의 방언이었던 경기도 방언을 흡수하여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러한 점도 구체적인 언어 자료로써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 외적 역사로 추정하는 데 그칠 뿐임.
참 고 문 헌
李其文 (1961) : 《國語史槪說》 ( 서울, 民衆書館 )
李其文 (1972) : 《國語史槪說(改訂版)》(서울, 民衆書館)
류창돈(1975) : 李朝國國語史 硏究(1987)
이길주(1989) : 《 한국어사 증보판 》 ( 서울, 개문사 )
김동소(1990) : "한국어 역사의 시대 구분에 대하여 ".
《 제3차 조선학 국제 학술 토론회 논문집 》(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회 )
김동소(1991) : " 한국어의 변천 ".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 기념 논문집 》 (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
姜吉云(1993) : 《 國語史情設 》(대구, 형설출판사)
김동소(1993) : 역사와 계통 《 신국어학》 (대구, 형설출판사)
김동소(1995) : " 고대한국어의 종합적 연구 ". 《한글》227호 ( 서울, 한글 학회 )
김동소(1996) : " 중세 한국어의 종합적 연구 ".《한글》231호 ( 서울, 한글 학회 )
김동소 (1997) : " 한국어 역사의 시대 구분에 관한 연구 ".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