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족보 : 계통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의 족보 : 계통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계통론에 관한 일반론.

2. 한국어의 계통에 관하여.

3. 맺음말

본문내용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인도-유럽어를 확립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가 기본 숫자 1, 2, 3의 공통점이었다면, 같은 논리로 한국어는 아리란어의 일종인 다리어와 함께 분류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한국어가 관련성이 더 있어 보이는 인도-아리안 어족보다 왜 알타이어족과 더 친족관계에 있다고 보는지 의심을 가져보아야 할 것이다.
3. 맺음말
여기에서는 한국어의 계통론에 대한 이전의 알타이어족 정설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이론에 대한 반론, 한국어가 인도-아리안계통일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은 우리의 조상이 해로를 따라 인도대륙 쪽에서 한반도로 이동해왔을 가능성을 동시에 제기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한민족은 바이칼호 유역에서 발생한 북방의 스키타인들이 따뜻한 남쪽으로 이주하여 한반도에 정착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정설이었다. 이러한 견해는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속한 것으로 보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와 인도-아리안계통의 언어들과의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은 한민족의 일부는 인도로부터 동방의 빛을 따라, 배를 타고 해류를 따라 흘러와 이주하여 이루어졌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인류학자들이 현재 한국인의 골격의 생김새를 보고 북방인과 남방인의 흔적을 찾아내기도 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중세 한국어의 변천 과정을 볼 때 주로 중국과 몽골, 만주어 등의 영향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다른 언어와의 관련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잘 이해하고 알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언어들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2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