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고용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지원고용의 가치전제와 등장배경

Ⅲ.지원고용의 개념과 모형

Ⅳ.각국의 지원고용 사례

Ⅴ.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 Casual worker(시간제 직원)등의 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CAREERPLAN SVCS(CPS)
1991년도에 설립된 기관으로 보호작업장에서 지원고용으로 전환하는 단계에 있는 기관이다. 일반지역사회에서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한 고용창출 및 유지를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의 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총 20명의 직원 중 14명이 지원고용 전문가들로 68명의 정신지체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 장애인의 개별적인 생산능력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 장애인의 개별적인 생산능력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 장애인의 개별적인 생산능력을 고려한 차등 임금 지원, Co-worker를 활용한 지원 등을 특성으로 장애인 고용에 대한 긍정적 시각의 제공, 고용주 관리, partnership에 의한 다각적인 지원체계의 확립 등의 고용전략을 갖고 있다.
마.Workright
퍼시스의 조용한 주택가에 자리잡은 아담한 기관으로 연방정부의 지원으로 1993년도에 설립, 운영되고 있다. 정신질환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의 지원고용을 다루는 기관이다. 호주에서는 1992년도에 정신질환자 차별금지법이 통과된 상황으로 이 기관은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기회를 주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다. 60여명 정도를 지원하고 있으며 대기자도 35명 정도 있었는데 이는 재발이 빈번한 정신질환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클라이언트들이 흥미 있어 하는 직업에 직접 데리고 가서 안내와 자문을 받도록 하고 취업시 직무지도원은 그 직종을 잘 아는 사람들을 활용하고 있다. 이 직무지도원들은 전문가적 태도 보다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스탭들도 클라이언트들과 친구처럼 함께 활동, 평가하고 서비스도 제공한다. 매니저, 구직을 위한 시장조사 직원, 정보조정자 등의 정식직원이 6명이고 직업에 대한 안내와 코치를 담당하는 15명의 Casual worker로 구성되어 있다.
3. 우리 나라의 사례
우리 나라에서 지원고용을 시도한 기관으로는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과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등 장애인복지관들을 꼽을 수 있겠다.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은 1993년을 기점으로 약 10년 동안 실시해왔던 공과중심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에서 지원고용을 중심으로 하는 직업적응훈련과 현장훈련체제로 상당한 전환을 이루었다. 이러한 전환은 기존의 공과중심의 직업훈련이 현장과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복지관은 1994년도부터 서구 여러 나라의 지원고용 프로그램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적용하기 위한 모델개발에 주력하면서 시험적으로 9명의 사례에 지원고용을 적용하였다. 1995년도와 1996년도에는 1994년도의 적용 경험을 토대로 30명의 대상자들에게 본격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18명의 장애인이 안정적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1997년도부터는 삼성전자의 후원을 받아 지원고용 대상자들의 고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직접 지도하게 될 직무지도원 양성과정을 설치,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다.
Ⅴ.맺음말
지금까지 지원고용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기저에 깔려있는 철학과 기치, 지원고용의 개념과 모형, 각국의 지원고용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일반고용에 대한 기대와 보호작업장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부터 활성화된 지원고용은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고용프로그램으로 자리를 잡았고 우리 나라의 경우 1990년을 기점으로 도입, 시행 중에 있다.
지원고용의 역사가 20년을 넘고 있는 외국의 사례들을 살펴보면 안정적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관건은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자에 달려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이나 호주의 경우 직업재활의 역사가 길고 정부의 지원도 다양하다는 점에서는 우리 나라와 근본적 차이가 있지만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장애인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장애인 가족들의 활발한 활동, 자원봉사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들을 고려 해 볼 때 그 적용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겠으나 어느 정도의 사례축적 경험과 검증 과정은 필요할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 침체와 외국 노동자들의 국내 유입등으로 노동시장 상황이 억압되어 있는 현실에서 장애인의 고용 문제는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시설중심의 보호고용 형태인 보호작업장 운영에도 애로가 많은 현시점에서 지속적인 투자를 필요로 하는 지원 고용제의 시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까 하는 염려도 앞서지만 장애인 고용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서는 좀 더 바람직한 고용의 형태로서 지원고용의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여겨진다. 또 고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증장애인들에게 지속적인 사후지도와 관리가 필요하고 안정적 고용에 실패한 장애인에게는 실패요인 분석과 실패 이후의 적절한 대안 모색과 제시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위영(1993), 중증 장애인을 위한 지원 고용프로그램의모형, 직업재활연구 제3집, 한국 직업재활학회
강위영(1993), 조인수, 정대영, 직업재활과 지원고용, 성원사
김승아(1996), 정의문제와 장애인고용, 장애인고용 96 여름호, 장애인고용촉진공단
나운환(1996), 중증장애인의 고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 장애인고용 96봄호, 장애인고요촉진공단
박희찬 외(1996), 지원고용의 실천적 이론 지원고용, 특수교육
박희찬(1995), 지원고용 워크샵 자료,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변경희(1996), 지원고용과 우리나라에서의 향후전망, 장애인고용 96 겨울호, 장애인고용 촉진공단
한국재활재단(1990),Supported Employment : Models, methods, and issues, Sycamore Publishing
Power, T.H., Pancsofar, E. L., Steere, D.E.,Butter worth, J.H., Rainforth, B., Itzkowitz J.S(1988), Supported employment in Connecticut : DEveloping integrated imployment opportunity, Conn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