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 오리엔탈리즘이란?

2 . 가까이에 산재해 있는 오리엔탈리즘의 사례

3 . 결론

본문내용

일까. 그것은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인종주의와 관련이 깊다. 인종주의란 인종이 다름을 빌미 삼아서 차별하는 태도를 말한다. 인종이 열등과 우등으로 나뉘어질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그러한 차별이 존재한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문제로 부각된 인종주의는 분명 새로운 문화 현상이다. 그것은 오래 전부터 있었던 현상이라기보다는 한국이 세계노동시장에서 비교적 높은 위상을 드러내면서부터 이다.
과거에는 노동자들을 해외로 보내면서 외화를 벌어들여야 했다. 60년대 독일의 광산과 병원으로, 70년대 중동 건설 현장으로 많은 한국 젊은이들이 나갔다. 이제 사정이 바뀌어 한국은 외국 노동력을 수입하는 위치로 발돋움하였다. 예전에 독일이나 중동으로 일을 하러 갔던 한국인들이 심한 인종차별로 고생이 많았다는 이야기는 거의 듣지 못하였다. 사정이 그런데도 우리는 노동 송출 국으로부터 인종차별이 심하다는 지탄을 받고 있다.
한국은 과거와는 다르게 당당한 자세로 세계화의 길목에 서 있다. 몇 년 전의 국가 부도위기도 어느 정도 극복했고, 인터넷 혁명에서도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경제력에 있어서 한국보다 앞선 나라보다는 뒤진 나라들이 월등히 많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앞으로도 고용 능력이 있는 한국으로 일자리를 찾아 외국인들의 유입이 지속될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우리는 세계와의 교류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행동규범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곤혹스럽게도 국제무대에서 자신의 위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에 대한 선망만 앞서고, 후진국에 대한 배려는 거의 없다. 과거 피지배, 소수민족으로서 겪은 쓰라린 역사적 경험은 쉽게 잊고 산업 후진국에 대한 우월감만 앞세우고 있다. 가난한 나라에서 왔다는 이유로, 값싼 노동력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험한 일을 한다는 이유로 한국인들은 외국인 노동자를 열등한 인종으로 대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다.
우리는 여기서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한 '정체성 상실'의 문제이다. 즉, 우리는 우리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 서구의 가치관에 물들여져 있고, 이러한 가치관으로 현재의 상황을 고정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이러한 '정체성의 상실'로 인한 오리엔탈리즘의 잠재적인 '식민성'이다. 이 '식민성'이 존재하는 한, '동양'은 '서양'과 동등한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그들의 영원한 하부 구조로서 존재할 것이다.
3 . 결론
사실 전통 문화에 대한 위기의식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전통 문화의 세계화 또한 그렇다. 따라서 종속적이고 왜곡된 문화를 단순히 폭로하고, 그 재 생산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기존의 종속되어 있던 문화 상황이 해체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든 것은 광고뿐이지만 사실 오리엔탈리즘의 재생산은 사회 전반에 걸쳐 널리 만연되어있으며 지금도 재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많은 이들이 비판에 앞장서고 문제의식을 확산시킴으로써 경각심을 높여서 현실적인 대안이 많이 나와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의 우리문화에 대한 관심은 날로 떨어져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교육에 있어서 주체적이고 객관적인 ‘좋은 선입견’을 심어주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아무런 이론적. 사상적 고민도 준비도 없이 ‘21세기에는 동양 문화가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는 식의 태도나 ‘21세기에는 기술적 발전으로 세계화가 가속되어 문화적인 동질화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진정 경쟁력 있고 독자적인 문화를 통해 종속되지 않은 주체적 문화의 창조는 막연한 주장이나 예측보다는 현실에 대한 철저하고 구별적인 인식에 내실을 기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