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범주와 결속이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배범주와 결속이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절 서 론

제 2 절 본 론
2.1. 결속이론의 세 가지 원리
2.2. 지배 범주
2.3. 지배자
2.4. 접근가능대주어
2.5. 결속이론의 예

제 3 절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예시가 그것이다.
14) *[s'1 Whoi [s1 does hei think [s'2 t'i that [s2 Henry liked ti]]]]
위의 13)의 변항의 정의를 따르면 14)의 ti 는 의문사구의 흔적으로 [NP e]이며, like의 목적어이기 때문에 문법기능을 갖는 A(rgument)-position에 있으며 COMP속의 Whoi ( )가 중간흔적 t'i 를 통해 ti ( )를 국부적으로 결속하고 있으므로 결국 세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변항(variable)이다. 그런데 결속원리 1C)에 의하면 이 변항 ti 는 '모든' 영역에서 자유로워야 하는데 S1에 공지표시된 대명사 hei 에 의해 결속되어 있으므로 비문이 된다. 특히 이 문장에서 한 가지 유의할 점은 ti 와 같은 변항은 자기를 성분통어(c-command)하는 어떤 대명사와도 공지표화(coindexed)될 수 없다는 것이다(A variable cannot be coindexed with any of the c-commanding pronoun). 다시 말해 대명사는 자기와 공지표화된 변항(coindexed variable)을 c-command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론을 Strong Crossover
) Strong Cross Over : 강교차. 대명사는 공지표된 t를 성분통어해서는 안된다.
Weak Cross Over : 약교차. 대명사는 공지표된 t를 선행해서는 안된다.
라고 하는데 이 조건을 어겼기 때문에도 역시 14)는 비문으로 판단된다.
제 3 절 결 론
지금까지 지배자와 접근가능대주어를 포함하는 지배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결속원리를 논의하였다. 여기서 '결속'이란 자신과 공지표시 되고 자신을 성분통어하는 선행를 갖는다는 뜻이다. 조응사, 대명어, 지시표현은 각기 문장 안에서 결속되는 원리가 다르다. 이들의 특징은 본론에서 여러 가지 예문을 제시하면서 논증하였다. 조응사는 지배범주 안에서 선행사 결속되어야 하며, 대명어는 지배범주 안에서 선행사 결속되지 말아야 하며, 지시표현은 '모든 범주'에서 선행사 결속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결속원리를 가능케 하는 지배범주(governing category)의 설정은 중요하다. 지배범주는 지배자(governor)와 피지배자(governee), 그리고 접근가능대주어(accessible SUBJECT)등으로 구성된다. 지배자가 될 수 있는 핵요소들은 INFL, V, P, A, N이다. INFL은 문장의 주어 NP와 VP를, V는 PP와 NP를, P는 NP를, A는 NP 및 NP-t(공범주 원리에 따른 고유지배)를, N은 of-insertion이나 Move- 의 적용을 받은 NP를 지배하여 지배범주의 구성요소가 된다. 부정사의 주어, 명사구의 주어, 소절의 주어로 대변되는 접근가능대주어 역시 지배범주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쉽게 말해서 지배범주는 조응사나 대명어류가 자신과 연결(linking)될 수 있는 지배자와 대주어를 찾는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Abstract in English
We have discussed Binding theory with priority given to a governing category including governor and accessible SUBJECT. In this paper, Binding means is coindexed and has antecedents c-commanding itself. And anaphor, pronominal, R-expression has different Binding principle in a sentence. I demonstrated features of these by showing various examples in the main subject. I found that an anaphor must be bound in its governing category, a pronominal must be free in its governing category and an R-expression must be free in all domain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find a governing category making Binding theory possible. Governing category consists of a governor, a governee and an accessible SUBJECT. The heads acting a governor are INFL, V, P, A, N. INFL governs VP and NP(a subject of sentence), V governs PP and NP, P governs NP, A governs NP or NP-t(proper government by Empty Category Principle) and N governs NP applied by of-insertion or Move- . Accessible SUBJECT including a subject of infinitive, a subject of noun phrase, a small phrase is an important element, too. That is, finding Governing category means finding a governor or a SUBJECT linked up with an anaphor and a pronominal.
□ 참고문헌
1. 국내서적
신인철. {영어 통사론}. 서울 : 한신문화사, 1987
전형진. {영어의 생성문법}. 서울 : 신론사, 1991
우윤식. {현대 통사론의 기초}. 부산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88
이두원. {영어 통사론}. 서울 : 한국문화사, 1999
조석종. {영어 통사론}. 서울 : 신아사, 1997
서석룡. {통사이론 입문}. 부산 :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6
2. 번역서적
Chomsky N./이홍배(역). {지배 결속이론 피사강좌}. 서울 : 주간종교사, 1987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5.0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