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민족의 이질화 극복을 위하여
2. 남북한의 문학사 기술 현황
(1) 기간(旣刊)의 남한문학사 고찰
(2) 북한의 문학사 기술 양상
3. 우리 문학사 기술상의 특징과 문제점
(1) 남한의 경우
(2) 북한의 경우
4. 통일문학사를 위하여
2. 남북한의 문학사 기술 현황
(1) 기간(旣刊)의 남한문학사 고찰
(2) 북한의 문학사 기술 양상
3. 우리 문학사 기술상의 특징과 문제점
(1) 남한의 경우
(2) 북한의 경우
4. 통일문학사를 위하여
본문내용
.
-작품도 현대문학 부분에서는 동인지나 신문 또는 작품집 등에 발표된 것을 주된 대 상으로 함.
③ 대체로 민족문학적인 순수문학 성향인 점
-남한의 현대문학사는 그 주된 흐름을 민족문학적인 순수지향성을 띠고 있음.
-민족문학파 성향을 지닌 문인 중심으로 본격문학을 지향함.
(2) 북한의 경우
①철저하게 규제된 채 종합적인 통사로 쓰여진다는 점
-북한의 문학사는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서 집필
-독립된 장르별 문학사나 독자적인 현대문학사 없이 각 장르를 망라한 통합문학사로 이루어짐.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 위주로 공식적인 기관의 통제 밑에서 이루어진 문학사이므 로 그 정치목적적인 합일성을 경계해야함.
②문학 밖의 특정인 위주로 편술되었다는 점
-특정한 김씨 부자와 그 일가는 물론이요 일가 일부와 수령의 처에 걸친 비문학적인 삶까지 다루었음.
-문명개화와 문학작품보다는 특정인의 사회 투쟁적인 행적을 주로 했음.
③문학사적 사실 기술이 각도에 따라 수시로 변동된다는 점
-31운동도 러시아의 혁명 영향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족운동으로 기록하며 카프문학 보다는 김일성의 사회운동이나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하고 있음.
-『조선문학통사』에서 부상했던 한설야 평가도 극히 소외된 대신 김씨 일가가 전면 에 부각되었음.
④ 철저한 배제론과 추앙의 원칙에 의해 쓰여졌다는 점
-작품 선정을 할 때 부르조아 성향의 문인이나 숙청 문인은 배제하거나 혹독하게 매 도함.
-김부자 관계 작품과 일부 사회주의 문인의 작품은 찬사로 일관함.
-동시대 남한 문단을 외면함.
⑤ 항일혁명문학을 문학사의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점
-항일 혁명문학을 주로 하고 있음.
-김일성의 항일투쟁을 선전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는 면에서 오늘날의 문학에 강화하 는 태도에는 부정적인 반면에 식민지시대 당시의 항일문학성은 높이 평가해야함.
⑥ 식민지시대 당시에 구전된 익명성의 작품을 중시하는 점
-일제 강점기의 특수성에 비추어 당시 활자화된 제도권의 문학 작품보다는 항일유격 대나 비문인 등에 의한 구전적인 인민창작 작품을 중요시하고 있음.
-항일투쟁 중인 비문인들에 의해 절실한 내용을 집체적으로 쓴 작품이 많음.
4. 통일문학사를 위하여
남북한의 기본적인 문학 여건과 문학사 기술 방법이 매우 상이함.
문학사 접근의 기조와 자율성, 기점 및 시대구분 등의 쟁점은 새로운 과제로 남음.
남북한을 아우른 통일문학사의 구체적인 작업을 모색해야 할 것임.
-작품도 현대문학 부분에서는 동인지나 신문 또는 작품집 등에 발표된 것을 주된 대 상으로 함.
③ 대체로 민족문학적인 순수문학 성향인 점
-남한의 현대문학사는 그 주된 흐름을 민족문학적인 순수지향성을 띠고 있음.
-민족문학파 성향을 지닌 문인 중심으로 본격문학을 지향함.
(2) 북한의 경우
①철저하게 규제된 채 종합적인 통사로 쓰여진다는 점
-북한의 문학사는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서 집필
-독립된 장르별 문학사나 독자적인 현대문학사 없이 각 장르를 망라한 통합문학사로 이루어짐.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 위주로 공식적인 기관의 통제 밑에서 이루어진 문학사이므 로 그 정치목적적인 합일성을 경계해야함.
②문학 밖의 특정인 위주로 편술되었다는 점
-특정한 김씨 부자와 그 일가는 물론이요 일가 일부와 수령의 처에 걸친 비문학적인 삶까지 다루었음.
-문명개화와 문학작품보다는 특정인의 사회 투쟁적인 행적을 주로 했음.
③문학사적 사실 기술이 각도에 따라 수시로 변동된다는 점
-31운동도 러시아의 혁명 영향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족운동으로 기록하며 카프문학 보다는 김일성의 사회운동이나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하고 있음.
-『조선문학통사』에서 부상했던 한설야 평가도 극히 소외된 대신 김씨 일가가 전면 에 부각되었음.
④ 철저한 배제론과 추앙의 원칙에 의해 쓰여졌다는 점
-작품 선정을 할 때 부르조아 성향의 문인이나 숙청 문인은 배제하거나 혹독하게 매 도함.
-김부자 관계 작품과 일부 사회주의 문인의 작품은 찬사로 일관함.
-동시대 남한 문단을 외면함.
⑤ 항일혁명문학을 문학사의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점
-항일 혁명문학을 주로 하고 있음.
-김일성의 항일투쟁을 선전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는 면에서 오늘날의 문학에 강화하 는 태도에는 부정적인 반면에 식민지시대 당시의 항일문학성은 높이 평가해야함.
⑥ 식민지시대 당시에 구전된 익명성의 작품을 중시하는 점
-일제 강점기의 특수성에 비추어 당시 활자화된 제도권의 문학 작품보다는 항일유격 대나 비문인 등에 의한 구전적인 인민창작 작품을 중요시하고 있음.
-항일투쟁 중인 비문인들에 의해 절실한 내용을 집체적으로 쓴 작품이 많음.
4. 통일문학사를 위하여
남북한의 기본적인 문학 여건과 문학사 기술 방법이 매우 상이함.
문학사 접근의 기조와 자율성, 기점 및 시대구분 등의 쟁점은 새로운 과제로 남음.
남북한을 아우른 통일문학사의 구체적인 작업을 모색해야 할 것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