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건축에서의 포스트 모던 이해
■ 건축에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 우리나라의 포스트-모더니즘
■ Michael Graves
■ Portland Building(1982)
■ 건축에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 우리나라의 포스트-모더니즘
■ Michael Graves
■ Portland Building(1982)
본문내용
에는 $50이었던 것이 오늘날에는 $135에야 살 수 있다. Graves는 그가 디자인한 좋아하는 물건들 가운데 하나로 이 주전자를 꼽는데 이 주전자의 열 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파티가 있었고 새로운 작품이 만들어졌다. 아직도 그 디테일이 완성되지 않았고 계속 새로 디자인되고 있다. 그는 주전자에 자필 사인하는 특별한 기계가 있는데, 이 사인은 작가가 하는 것처럼 디자이너의 명성을 나타낸다. 매력적인 팔찌, 키친 타이머, 액자, 램프, 개인용품, 꽃병, 티셔츠, 소금후추 셰이커 등 일상적이지 않은 것에서부터 일상적인 것까지 그의 작품이 있다. 그는 자신이 디자인한 제품이 결코 취미가 아니라 시각세계에서의 그의 열정의 파생물이라고 주장한다.
이탈리아의 제조업자인 Alessi는 Graves에게 그의 회사를 위해 디자인하도록 하였는데, 최근에 이 60대의 건축가는 Alessi를 위해 2개의 중국패턴과 은제품을 디자인했다. 그는 Dripless 커피메이커를 디자인하고 Lenox chia를 위해 새로운 회사 이미지를 디자인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요구를 받았으며 그 중 몇몇은 거절하였다. Graves는 "물건을 만드는 사람을 찾는 것과 그것을 잘 만드는 사람을 찾는 것은 별개의 일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그의 회사 사업의 30%는 모험적인 것이라고 한다.
Graves가 처음 제품디자인을 한 것은 로마에서 가난한 학생으로서 였는데 그것이 건축가로서 해야 할 작은 목표로서 고려되었는지는 그 자신도 모르겠다고 하였으나, 1900년대 초 Walter Gropius와 Bauhaus에 참가한 사람들이 취미삼아 했던 것처럼 그도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Bauhaus와 Graves의 차이점은 마케팅에 있는데, 제품 위의 건축가 이름이 그 제품의 가치를 높인 1980년대에 운 좋게 그도 그 명성을 얻었고, 현재의 번영된 상태로 그 자신을 끌어왔다.
Michael Graves는 20세기 건축과 디자인에 다채롭고 지울 수 없는 한 획을 그은 사람이다. 그는 대중적인 상상력을 그 자신의 전문적인 방법에 의해서 그의 디자인의 산물에 적용한다. 그는 건축되기 위해서 어떠한 건축언어는 항상 기술적인 표현과 형식과 상징의 표현이 평행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건축 전문가인을 강조하였는데, 오늘날 그가 있기까지 끊임없는 드로잉 훈련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정신, 디자인 마케팅, 정체성 확립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Architect : Michael Graves
Location : Fort Wayne, Indiana
Date : 1967
Building Type : house
Climate : temperate
Context : suburban
Style : Block massing.
Notes : Modern
부부와 네 자녀를 위한 이 주택은 시냇물이 비스듬히 가로 질러 흐르는 지역의 한쪽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시냇물 바로 앞의 주택과 공간은 평면에서는 두 개의 사각형으로 나타나고, 입면에서는 두 개의 볼륨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개방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폐쇄되어 있다.
한셀만의 주택은 세개의 주요한 파사드를 가지고 있다. 그 하나는 파이프 레일 프레임(pipe rail frame)과 스튜디오실(지어지지 않음)의 정면으로 주택의 바깥쪽 구역을 한정하고 있으며 지면과 출입구층을 연결해주는 계단은 하나의 문과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두번째 파사드는 주택의 주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되는데 전체 구성물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이 입구 지점에는 2층의 옥상 테라스가 돌출되어 있다. 가장 오밀조밀한 세번째 파사드는 건물의 후면 벽으로 벽화가 그려져 있다.
1층의 실외 테라스는 비스듬히 흐르는 시냇물의 각도와 관련되어 있으며, 주택의 보다 큰 구성 틀을 암시하고 있다. 또 주택의 기하학적 형태는 자연 조경과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의 말
"… 형상건축에 대한 옹호론을 펴면서 우리는, 작품의 가장 주된 성격은 자연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동시에 토템적이고 인간형태론적인 관습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벽의 성격에 대해 분석해 보면 이러한 이중적 표현의 예를 찾을 수 있다. 창문이 방안에서 기하학적 평면임과 동시에 우리 자신의 크기와 존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듯이, 벽 역시 실용적인 면과 상징적인 면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만일 징두리 널(wainscot)이나 의자에 벽이 상하지 않도록 벽에 댄 긴 판자(chair rail)를 창문턱(window sill)과 같은 높이에 두고 생각한다면, 벽의 하단부와 우리 신체와의 관계를 쉽게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땅바닥을 딛고 하늘을 향해서 있는 것처럼 벽도 마루바닥에서 천장으로 서 있는 것이다. 그래서 벽도 하체, 몸통, 머리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문자 그대로 인간의 신체를 모방한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러한 형태가 벽을 안정감있게 만든다고 할 수 있다.… "
남서쪽 전경 모형
입구 파사드
1층 입구
남서쪽 코너
3층 내부 전경 1
3층 내부 전경 2
site plan
벽화의 거실
first level
Axonometric
second level
third level
이 건물은 1979년에서 1980년에 걸쳐 콤페에 의해 건축된 포틀랜드 시청사의 별동이다. 그레이브스는 근대주의에 의해 빼앗긴 상징적 의미를 되찾는 것을 의도하여, 고전적 형태를 이용한 의미론적 조작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면의 기단, 동부, 두부와 같은 고전적 3분할의 구성은 건물의 공공성을 강조하여, 각각의 부분에 점포, 시의 업무시설, 렌탈 오피스가 충만된다. 그리고 정면의 1쌍의 필라스터가 거대한 키스톤을 떠받치는 모습은 시의 경제활동이 시행정에 의해 지지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또, 창의 반사 유리가 거리의 풍경을 비춤으로써 오피스내의 작업의 공동체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대규모의 공공건축이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찬반양론을 불러일으켜 포스트-모던 선풍의 중심에 섰다.
이탈리아의 제조업자인 Alessi는 Graves에게 그의 회사를 위해 디자인하도록 하였는데, 최근에 이 60대의 건축가는 Alessi를 위해 2개의 중국패턴과 은제품을 디자인했다. 그는 Dripless 커피메이커를 디자인하고 Lenox chia를 위해 새로운 회사 이미지를 디자인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요구를 받았으며 그 중 몇몇은 거절하였다. Graves는 "물건을 만드는 사람을 찾는 것과 그것을 잘 만드는 사람을 찾는 것은 별개의 일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그의 회사 사업의 30%는 모험적인 것이라고 한다.
Graves가 처음 제품디자인을 한 것은 로마에서 가난한 학생으로서 였는데 그것이 건축가로서 해야 할 작은 목표로서 고려되었는지는 그 자신도 모르겠다고 하였으나, 1900년대 초 Walter Gropius와 Bauhaus에 참가한 사람들이 취미삼아 했던 것처럼 그도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Bauhaus와 Graves의 차이점은 마케팅에 있는데, 제품 위의 건축가 이름이 그 제품의 가치를 높인 1980년대에 운 좋게 그도 그 명성을 얻었고, 현재의 번영된 상태로 그 자신을 끌어왔다.
Michael Graves는 20세기 건축과 디자인에 다채롭고 지울 수 없는 한 획을 그은 사람이다. 그는 대중적인 상상력을 그 자신의 전문적인 방법에 의해서 그의 디자인의 산물에 적용한다. 그는 건축되기 위해서 어떠한 건축언어는 항상 기술적인 표현과 형식과 상징의 표현이 평행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건축 전문가인을 강조하였는데, 오늘날 그가 있기까지 끊임없는 드로잉 훈련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정신, 디자인 마케팅, 정체성 확립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Architect : Michael Graves
Location : Fort Wayne, Indiana
Date : 1967
Building Type : house
Climate : temperate
Context : suburban
Style : Block massing.
Notes : Modern
부부와 네 자녀를 위한 이 주택은 시냇물이 비스듬히 가로 질러 흐르는 지역의 한쪽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시냇물 바로 앞의 주택과 공간은 평면에서는 두 개의 사각형으로 나타나고, 입면에서는 두 개의 볼륨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개방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폐쇄되어 있다.
한셀만의 주택은 세개의 주요한 파사드를 가지고 있다. 그 하나는 파이프 레일 프레임(pipe rail frame)과 스튜디오실(지어지지 않음)의 정면으로 주택의 바깥쪽 구역을 한정하고 있으며 지면과 출입구층을 연결해주는 계단은 하나의 문과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두번째 파사드는 주택의 주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되는데 전체 구성물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이 입구 지점에는 2층의 옥상 테라스가 돌출되어 있다. 가장 오밀조밀한 세번째 파사드는 건물의 후면 벽으로 벽화가 그려져 있다.
1층의 실외 테라스는 비스듬히 흐르는 시냇물의 각도와 관련되어 있으며, 주택의 보다 큰 구성 틀을 암시하고 있다. 또 주택의 기하학적 형태는 자연 조경과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의 말
"… 형상건축에 대한 옹호론을 펴면서 우리는, 작품의 가장 주된 성격은 자연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동시에 토템적이고 인간형태론적인 관습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벽의 성격에 대해 분석해 보면 이러한 이중적 표현의 예를 찾을 수 있다. 창문이 방안에서 기하학적 평면임과 동시에 우리 자신의 크기와 존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듯이, 벽 역시 실용적인 면과 상징적인 면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만일 징두리 널(wainscot)이나 의자에 벽이 상하지 않도록 벽에 댄 긴 판자(chair rail)를 창문턱(window sill)과 같은 높이에 두고 생각한다면, 벽의 하단부와 우리 신체와의 관계를 쉽게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땅바닥을 딛고 하늘을 향해서 있는 것처럼 벽도 마루바닥에서 천장으로 서 있는 것이다. 그래서 벽도 하체, 몸통, 머리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문자 그대로 인간의 신체를 모방한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러한 형태가 벽을 안정감있게 만든다고 할 수 있다.… "
남서쪽 전경 모형
입구 파사드
1층 입구
남서쪽 코너
3층 내부 전경 1
3층 내부 전경 2
site plan
벽화의 거실
first level
Axonometric
second level
third level
이 건물은 1979년에서 1980년에 걸쳐 콤페에 의해 건축된 포틀랜드 시청사의 별동이다. 그레이브스는 근대주의에 의해 빼앗긴 상징적 의미를 되찾는 것을 의도하여, 고전적 형태를 이용한 의미론적 조작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면의 기단, 동부, 두부와 같은 고전적 3분할의 구성은 건물의 공공성을 강조하여, 각각의 부분에 점포, 시의 업무시설, 렌탈 오피스가 충만된다. 그리고 정면의 1쌍의 필라스터가 거대한 키스톤을 떠받치는 모습은 시의 경제활동이 시행정에 의해 지지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또, 창의 반사 유리가 거리의 풍경을 비춤으로써 오피스내의 작업의 공동체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대규모의 공공건축이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찬반양론을 불러일으켜 포스트-모던 선풍의 중심에 섰다.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배경,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더...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이론][포스트모더니즘 문학][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이론...
포스트모던(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포스트모던(포스트모더니즘)과 정보사회, 포스트모던(포...
[포스트모더니즘][과학기술][포스트모더니즘 한국적 현실 접합]포스트모더니즘 정의, 포스트...
[포스트모더니즘][모더니즘]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문학적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정...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개념][포스트모더니즘 특성][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포스...
모더니즘의 배경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및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갈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더니즘의 중요성, 포스트모더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