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2. 인터넷과 인터넷 사업
(1) 인터넷의 정의
(2) 사업적 관점의 인터넷
(3) 기업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3. 인터넷 사업의 주요 수익 원천
(1) 인터넷 광고 수입
(2) 재화 및 서비스의 판매수입
(3) 중개수수료
(4) 회비
(5) 기타
4. 인터넷사업 모형 구성의 핵심
5. 인터넷 상거래(커머스)의 종류
6. 인터넷 사업의 유형
(1) 상거래 절차에 따른 분류
(2) 사업목적 따른 분류
(3) 인터넷 활용방식에 따른 분류
(4) 경제행위 주체별 분류
(5) 사업 활동영역에 따른 분류
2. 인터넷과 인터넷 사업
(1) 인터넷의 정의
(2) 사업적 관점의 인터넷
(3) 기업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3. 인터넷 사업의 주요 수익 원천
(1) 인터넷 광고 수입
(2) 재화 및 서비스의 판매수입
(3) 중개수수료
(4) 회비
(5) 기타
4. 인터넷사업 모형 구성의 핵심
5. 인터넷 상거래(커머스)의 종류
6. 인터넷 사업의 유형
(1) 상거래 절차에 따른 분류
(2) 사업목적 따른 분류
(3) 인터넷 활용방식에 따른 분류
(4) 경제행위 주체별 분류
(5) 사업 활동영역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접 제공하는 판매자(sellers), 인터넷 상에서 전통 시장과 사이버 시장의 상품과 서비스를 중개하는 중개자(Intermediaries), 그리고 이들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구매자(Buyers) 그룹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5) 사업 활동영역에 따른 분류
인터넷 사업은 그 활동영역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계층적 구조를 지닌다. 인터넷 사업의 유형을 인터넷의 계층적인 구조의 관점에서 1, 2, 3차 산업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1) 제1차 산업 :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이 동작할 수 있는 물리적인 기반을 구축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인터넷의 1차 산업은 단순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사업을 말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정액을 수수료로 지급하고 계약을 맺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체가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 1차 산업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업체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 교포들도 많이 사용하는 아메리칸 온라인(AOL)을 들 수 있다. 미국에서 인터넷이 보편화되던 시기인 1990년대 중반에 미국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대형 3사가 경쟁을 했다. 아메리칸 온라인, 컴퓨서브(CompuServe), 프로디지(Prodigy)가 바로 그 회사들이다. 아메리칸 온라인은 이름 자체가 기억하기 쉽다는 점과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디스켓을 잡지에 끼워서 대량으로 무료 배부하는 전략으로 미국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서는 가장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컴퓨서브를 인수한 후, 넷스케이프사를 42억불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1998년)하면서 인터넷 제1차 산업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와 경쟁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회사로 떠올랐다.
2) 제2차 산업 :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Internet S/W Development)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나 시스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을 보다 쉽고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사업의 제2차 산업은 인터넷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관련 장비 생산업체, 인터넷 솔루션 제공 업체, 인터넷 교육 사업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 제2차 산업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업체는 마이크로소프트사와 넷스케이프가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 패키지를 생산하는 이 두 업체는 현재 전세계 인터넷 브라우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외에도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인 모뎀을 제작하는 US Robotics 같은 회사도 인터넷 제2차 산업에서 성공한 케이스이다.
3) 제3차 산업 : 컨텐츠 사업(Contents Business)
컨텐츠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부가가치가 있는 정보’를 뜻하는데, 신문, 잡지 등의 기사나 새로운 뉴스, 오락 게임, 교육 등을 포괄하며 넓은 의미에서 전자상거래도 정보를 제공하고 유통시키는 하나의 컨텐츠로 볼 수 있다. 제3차 산업은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 쇼핑 및 인터넷 출판, 인터넷 광고 대행,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라디오 방송, 인터넷 게임오락 등을 말한다.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등의 기반 인프라를 바탕으로 뉴스, 오락, 교육,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인터넷 제3차 산업에서 가장 성공한 업체는 인터넷에서 인터넷 주소 안내방 역할과 제반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야후라고 말할 수 있다. 스탠포드 대학에 재학 중이던 중국계 미국인인 제리양과 미국인 데이빗 파일로가 자신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시작했던 서비스 웹사이트가 이제는 전 지구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인기 인터넷 사업이 되었다.
위의 세 가지 산업 중 인터넷 사업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분야가 바로 컨텐츠 사업 분야이다. 실제 사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구체적인 모습들은 바로 컨텐츠 사업 영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사업을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반은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마련된다. 이런 의미에서 컨텐츠 사업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인터넷 산업이 발전하면서 주도적인 역할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 역시 인터넷 사업을 창출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기는 하나 경영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컨텐츠 사업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등의 하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을 응용하여 전개하는 모든 인터넷 사업을 포함한다. 컨텐트 사업은 대부분의 인터넷 사업의 참여자들이 속하는 영역으로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회를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소화해내고 영업을 창출해가는 핵심적 영역이다. 컨텐츠 사업이 이렇게 활성화되다 보니 인터넷 사업과 컨텐츠 사업을 동일시하는 경향도 존재한다. 이러한 시각이 인터넷 사업 전체를 이해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그만큼 숫적으로 보나 비지니스적 의미로 보나 컨텐츠 사업이 차지하는 위치가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하여 새로운 사업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기업이나 새롭게 인터넷에서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인터넷 사업을 컨텐츠 사업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사업은 크게 수익창출을 지향하는 형태, 비용절감을 지향하는 형태, 그리고 이들 양자의 어디에도 속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는 브랜드 구축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수익창출을 지향하는 형태의 비즈니스로는 쇼핑몰, 경매, 온라인 상점, 검색지원, 커뮤니티 관리, 온라인 광고 서비스 등이 있으며, 비용절감을 지향하는 형태로는 공급자 관리, 고객서비스, 채용, 교육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들이 이들 다양한 사업 중 하나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사업을 함께 전개하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다.
(5) 사업 활동영역에 따른 분류
인터넷 사업은 그 활동영역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계층적 구조를 지닌다. 인터넷 사업의 유형을 인터넷의 계층적인 구조의 관점에서 1, 2, 3차 산업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1) 제1차 산업 :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이 동작할 수 있는 물리적인 기반을 구축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인터넷의 1차 산업은 단순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사업을 말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정액을 수수료로 지급하고 계약을 맺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체가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 1차 산업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업체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 교포들도 많이 사용하는 아메리칸 온라인(AOL)을 들 수 있다. 미국에서 인터넷이 보편화되던 시기인 1990년대 중반에 미국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대형 3사가 경쟁을 했다. 아메리칸 온라인, 컴퓨서브(CompuServe), 프로디지(Prodigy)가 바로 그 회사들이다. 아메리칸 온라인은 이름 자체가 기억하기 쉽다는 점과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디스켓을 잡지에 끼워서 대량으로 무료 배부하는 전략으로 미국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서는 가장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컴퓨서브를 인수한 후, 넷스케이프사를 42억불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1998년)하면서 인터넷 제1차 산업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와 경쟁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회사로 떠올랐다.
2) 제2차 산업 :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Internet S/W Development)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나 시스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을 보다 쉽고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사업의 제2차 산업은 인터넷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관련 장비 생산업체, 인터넷 솔루션 제공 업체, 인터넷 교육 사업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 제2차 산업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업체는 마이크로소프트사와 넷스케이프가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 패키지를 생산하는 이 두 업체는 현재 전세계 인터넷 브라우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외에도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인 모뎀을 제작하는 US Robotics 같은 회사도 인터넷 제2차 산업에서 성공한 케이스이다.
3) 제3차 산업 : 컨텐츠 사업(Contents Business)
컨텐츠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부가가치가 있는 정보’를 뜻하는데, 신문, 잡지 등의 기사나 새로운 뉴스, 오락 게임, 교육 등을 포괄하며 넓은 의미에서 전자상거래도 정보를 제공하고 유통시키는 하나의 컨텐츠로 볼 수 있다. 제3차 산업은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 쇼핑 및 인터넷 출판, 인터넷 광고 대행,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라디오 방송, 인터넷 게임오락 등을 말한다.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등의 기반 인프라를 바탕으로 뉴스, 오락, 교육,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인터넷 제3차 산업에서 가장 성공한 업체는 인터넷에서 인터넷 주소 안내방 역할과 제반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야후라고 말할 수 있다. 스탠포드 대학에 재학 중이던 중국계 미국인인 제리양과 미국인 데이빗 파일로가 자신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시작했던 서비스 웹사이트가 이제는 전 지구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의 인기 인터넷 사업이 되었다.
위의 세 가지 산업 중 인터넷 사업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분야가 바로 컨텐츠 사업 분야이다. 실제 사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구체적인 모습들은 바로 컨텐츠 사업 영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사업을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반은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마련된다. 이런 의미에서 컨텐츠 사업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인터넷 산업이 발전하면서 주도적인 역할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 역시 인터넷 사업을 창출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기는 하나 경영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컨텐츠 사업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등의 하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을 응용하여 전개하는 모든 인터넷 사업을 포함한다. 컨텐트 사업은 대부분의 인터넷 사업의 참여자들이 속하는 영역으로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회를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소화해내고 영업을 창출해가는 핵심적 영역이다. 컨텐츠 사업이 이렇게 활성화되다 보니 인터넷 사업과 컨텐츠 사업을 동일시하는 경향도 존재한다. 이러한 시각이 인터넷 사업 전체를 이해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그만큼 숫적으로 보나 비지니스적 의미로 보나 컨텐츠 사업이 차지하는 위치가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하여 새로운 사업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기업이나 새롭게 인터넷에서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인터넷 사업을 컨텐츠 사업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사업은 크게 수익창출을 지향하는 형태, 비용절감을 지향하는 형태, 그리고 이들 양자의 어디에도 속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는 브랜드 구축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수익창출을 지향하는 형태의 비즈니스로는 쇼핑몰, 경매, 온라인 상점, 검색지원, 커뮤니티 관리, 온라인 광고 서비스 등이 있으며, 비용절감을 지향하는 형태로는 공급자 관리, 고객서비스, 채용, 교육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들이 이들 다양한 사업 중 하나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사업을 함께 전개하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다.
추천자료
교육 Agency 사업계획서 - 인터넷 비지니스
인터넷 쇼핑몰 사업전략과 성공요인 분석
[사업계획] 인터넷비즈니스
[사업계획서] 인터넷 실시간법률상담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인터넷 상 중고책 매매사이트 운영)
인터넷 시스템 사업-화상채팅 프로그램 개발 기획서
[컨텐츠산업]디지털컨텐츠(콘텐츠)의 개념, 인터넷컨텐츠(콘텐츠)사업 영역, 디지털컨텐츠(콘...
[도메인][도메인네임][인터넷주소]도메인(도메인네임) 정의, 다국어 도메인(도메인네임) 시스...
[사업계획서 완전정리]세련된 사업계획서 작성법과 사업계획서 예문(인터넷 쇼핑몰/음식점 등...
(주) HJC의 인터넷 마케팅 사업계획서
[한국벤처기업][벤처기업]한국벤처기업의 역사, 한국벤처기업의 정보화, 한국벤처기업의 금융...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관을 선택하여 인터넷 홈페이지 상에 나타나있는 복지관 기본사업 및...
부동산거래서비스(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 대한주택공사 인터넷청약, 한국토지공사 인터넷...
부동산정보서비스업의 분류(부동산거래정보사업, 부동산정보제공업, 부동산인터넷광고대행업,...
소개글